본문내용
1. 음양오행
1.1. 음양오행이란
음양오행이란 음양(陰陽)설과 오행(五行)설을 함께 지칭하는 말이다. 음양설은 우주와 인간의 모든 현상이 음과 양이 확장하고 소멸함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이며, 오행설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다섯 가지 요소가 음양의 원리에 따라 움직이면서 우주의 만물이 생성되고 소멸한다는 것이다. 즉, 음양오행설은 우주와 인간 세계의 모든 현상을 음양과 오행의 원리로 설명하는 동양 철학의 핵심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1.2. 음양의 개념
태극이 둘로 나누어져서 음양이 된다. 즉, 태극이 음양으로 나누어져 하늘과 땅이 벌어지고 남자와 여자가 벌어진 것이다. 그것을 플러스(+)와 마이너스(-)로 환원시켜 플러스와 마이너스 교체 또는 소장(消長)의 변화에 의하여 우주 현상 및 인간 사회의 현상을 해석하려는 것이 음양사상이다. 음(陰)은 차가운 기운이 음이며 움직이지 않는 기운이 음이고, 어두운 기운이 음이며, 부드럽고 약한 기운이 음이다. 양(陽)은 따뜻한 기운이 양이며 움직이는 기운이 양이고, 밝은 기운이 양이며, 굳세고 강한 기운이 양이다.""
1.3. 오행의 개념
오행(五行)은 동양 철학에서 우주 만물의 변화양상을 5가지로 압축해서 설명하는 이론이다. 오행이란 역학(易學)에서 우주 만물의 걸음걸이를 가리키는 것이다. 우주 만물의 다섯 가지 걸음걸이, 그것이 바로 오행의 의미이다.
오행(五行)은 사람이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재료의 개념에서 만물을 구성하고 있는 원소의 개념으로 발전했다. 목(木)은 뭉쳐있지만 유약한 것이었고, 화(火)는 정밀하지만 적은 것이었으며, 토(土)는 실하지만 흩어져 있는 것, 금(金)은 강하고 견고한 것, 수(水)는 많으나 허한 것을 뜻했다.
오행은 음양의 강약에 따라 나눈 것으로 음기가 약해지면서 양기가 강해지기 시작하는 기운이 木이고, 양기가 가장 강한 기운이 火이며, 양기가 약해지고 음기가 강해지기 시작하는 기운이 金이며, 음기가 가장 강한 기운이 水이다. 土는 음양이 중화된 기운이다.
1.4. 오행의 다섯 가지 요소
목(木)은 한 겨울의 꽁꽁 언 눈과 얼음 속에서 따뜻한 햇살이 비치며 새싹이 돋고 꽃이 피어나는 기운, 뻗어나가는 기운, 따뜻한 기운, 곧은 기운을 의미한다. 해는 동쪽에서 떠오르므로 동쪽이 목(木)이며, 봄철에는 나무의 기운이 뿌리에서 잎으로 나온다. 목(木)은 풀, 나무, 아침, 봄, 동쪽과 연관된다."
화(火)는 봄의 따뜻한 기운이 더욱 강해지면서 여름에 더워지는 시기를 의미한다. 해가 중천에 떠오른 상태가 화(火)이며, 밝고 뜨거운 기운, 타오르는 기운이 화(火)이다. 여름에는 나무의 기운이 잎으로 나와서 힘이 약해진다. 화(火)는 불, 한낮, 여름, 남쪽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