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코로나19 글쓰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코로나19로 인한 삶의 변화와 글쓰기의 역할
1.1.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삶 속에서 글쓰기의 중요성
1.2.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정부 대응과 비판적 논의
2. 글쓰기의 원칙과 방법론
2.1. '아시다시피'라는 표현에 대한 해석
2.2. 간략하면서도 주요 내용을 담아야 하는 글쓰기
3. 바이러스 집단 확산 예방과 대응
3.1.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대응 체계
3.2.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한 합리적 해결 방안
3.3. 코로나19 방역 정책의 효과와 의의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코로나19로 인한 삶의 변화와 글쓰기의 역할
1.1.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삶 속에서 글쓰기의 중요성
현대인들은 지나치게 행복해야한다는 강박에 시달리고 있다. 아니 좀 더 정확히 말하면 행복해 보여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생각은 자신의 행복에 대한 인정을 자신이 아닌 타인이 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된다. 그래서 현대의 많은 사람들은 소위 '보여주기식'의 행복을 자랑하는 경우가 많다. 좋은 차를 타고, 큰 집에 살고, 비싼 가방과 비싼 시계를 자랑하고, 시시 때때로 해외에 나가서 찍은 사진을 타인에게 보여주면서 자신의 행복을 과시한다. 그리고 종종 장문의 그럴듯한 글을 올리며 자신의 내적 지식을 뽐내기도 한다. 이러한 그들의 행복감 영위에 찬물을 끼얹는 일이 발생했다. 특히 여행 부분에서는 더욱 그랬다. 코로나19로 인해 하늘길이 막힌 것이다. SNS '좋아요'를 통해 행복감을 느끼던 사람들은 자신이 한 장소에 국한되어 삶을 영위하는 것을 보여주고 싶어 하지 않았다. 그래서 '과거 사진'이라는 명목 아래 옛날에 찍었던 해외 여행 사진 등을 올렸다. 그러나 과거 사진에 대한 '좋아요'는 인색했다. 이러한 솔직한 심정은 그동안 그들의 SNS 글을 보면서 대중들이 진실함을 느끼지 못했다는 것에 대한 반증이다. 반면 코로나 시국에 SNS 스타가 된 자는 자랑하는 사진이 아닌 진솔하고 재치있는 글을 이용해 사람들에게 기쁨을 주는 사람이었다.
1.2.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정부 대응과 비판적 논의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대응 조치를 시행해왔다. 특히 초기에는 등교와 근무, 각종 시험 등 모든 집합을 미루고 전 사회를 '멈춤' 상황으로 대응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정부와 지자체는 일부 개입 하에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단기간에 끝날 것 같지 않은 코로나19 상황에 대해, 일상 생활을 전면 중단시키거나 단순히 집합을 금지하는 등의 강제적인 예방법은 임시방편적인 대응이라고 볼 수 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됨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는 보다 장기적이고 합리적인 대응이 필요해졌다.
서울시의 경우 한강공원 전역에서의 야간 음주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하였다. 이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커지면서 시행된 조치이다. 해당 행정명령에 따르면 한강공원 전역에서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5시까지 음주가 금지되며, 매점의 주류 판매도 전...
참고 자료
송준호, 좋은 문장 나쁜 문장, 살림출판사, 2009.
이민규, 현대인의 적응과 정신건강(행복한 삶을 위한 심리학), 교육과학사, 2017.
나경애, 행복한 소통 이끄는 미디어 글쓰기, 한국미디어학교, 2013.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지침(지자체용_ 제9-5-1판,
http://ncov.mohw.go.kr/upload/viewer/skin/doc.html?fn=*************_*************6.pdf&rs=/upload/viewer/result/20210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 현황, http://ncov.mohw.go.kr/
[거리두기 '연장,연장,연장'에 자영업자들 "아예 '셧다운'하라"], 이용성기자, 2021.4.12.,이데일리 스뉴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64&mediaCodeNo=257&OutLnkChk=Y
심경섭. (2009). 아담스미스의 경제윤리사상에 관한 고찰: 도덕감정론을 중심으로. 전문경영인연구, 12(1), 33-47.
임미원.(2019). "칸트의 실천철학의 기초 - 자율성과 사회계약론을 중심으로." 법철학연구 22(3), 191-224.
조일수. (2020). "대의 민주주의와 참여 민주주의의 특징 및 한계 비교 연구." 敎育硏究論叢 41(3), 2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