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퇴전자간골절치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대퇴골 전자간 골절
1.1. 골절의 정의 및 해부학
1.2. 원인 및 위험요인
1.2.1. 1차 예방
1.2.2. 2차 예방
1.2.3. 3차 예방
1.3. 분류 및 증상
1.4. 진단 검사
1.4.1. 영상검사
1.5. 치료
1.5.1. 비수술적 치료
1.5.2. 수술적 치료
1.5.2.1. 수술 전 준비
1.5.2.2. 수술 과정
1.6. 합병증
2. ORIF(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2.1. 정의
2.2. 적응증 및 금기증
2.3. 수술 과정
2.4. 합병증
2.5. 수술 후 간호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대퇴골 전자간 골절
1.1. 골절의 정의 및 해부학
골절은 외부적 힘에 의해 골조직의 연속성이 완전 또는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한다.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골절을 근위부, 간부, 원위부, 대퇴전자부골절, 과골절, 과상부 골절, 관절내골절로 분류할 수 있다. 골절선이 관절면을 침범할 경우에는 관절내 골절로 정의한다. 따라서 대퇴골 전자간 골절이란 대퇴골 상부에서 옆으로 돌출된 부위 쪽에서 발생하는 골절을 의미한다.
1.2. 원인 및 위험요인
1.2.1. 1차 예방
모든 여성, 특히 폐경기 여성에게 칼슘을 섭취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1차 예방 방법이다"" 골다공증은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주요 위험요인이므로, 칼슘 섭취를 통해 골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금연도 1차 예방의 한 방법이다"" 니코틴은 골다공증을 유발하여 골절 위험을 높이기 때문이다"" 노인들의 낙상 예방을 위해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도 1차 예방에 도움이 된다"" 밝은 조명, 미끄럽지 않은 바닥 등이 대표적인 예이며, 가족 및 친지가 없는 경우에는 침상난간을 올리고 침대를 낮게 유지하는 등의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운전이나 운동 시 안전벨트 및 보호장구 착용도 골절 예방에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 유방암과 전립선암의 조기 발견은 골절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암 질환들은 골전이가 발생하여 병적 골절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1.2.2. 2차 예방
골절 환자의 2차 예방은 골절의 원인이 되는 골종양의 전이가 있는 경우에 중요하다"" 골종양의 전이가 있는 환자는 쉽게 골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적 안전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예방적 안전 조치를 취함으로써 2차 골절을 예방할 수 있다""
1.2.3. 3차 예방
3차 예방은 골절이 발생한 이후 재발 및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이다.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골다공증과 같은 기저질환이 있거나 노인 환자에게 많이 발생하므로, 골절 발생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와 재활이 필요하다.
첫째, 골절 후 신속한 치료와 수술이 이루어져야 한다.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정복과 고정이 어려운 골절 유형이므로 조기에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 후에는 통증 관리와 함께 조기 보행 훈련을 통해 기능 회복을 도모해야 한다. 특히 고령 환자의 경우 장기 와상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수술 후 가능한 빨리 환자를 일으켜 세우고 재활훈련을 시작해야 한다.
둘째, 골다공증과 같은 기저질환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골다공증 환자에게 흔히 발생하므로, 수술 후에도 지속적으로 칼슘과 비타민D 섭취, 운동 등의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낙상 예방을 위해 안전한 환경 조성과 근력 강화 운동이 권장된다.
...
참고 자료
대한골대사학회
대한정형외과학회
김금순 외(2016.02.26.). 성인간호학Ⅰ. 경기도 파주시: 수문사.
김금순 외(2016.02.26.). 성인간호학Ⅱ. 경기도 파주시: 수문사.
최순희 외(2014.02.20.). 간호과정. 서울시 강남구: 현문사.
드럭인포. "druginfo". www.druginfo.co.kr.
원종순 외(2018.08.08.).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제2판: 현문사.
네이버 의약품 사전.
양선희 외(2017.02.22.). 기본간호학Ⅱ. 서울시 강남구: 현문사.
황옥남 외(2018.01.10.). 성인간호학(상). 서울시 송파구: 현문사.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1011-1031
김연하(2019), 임상간호입문, 부산여자대학교 간호학과, p.11-17
서울아산병원, 개방정복술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02
대한정형외과학회, 고관절(hip)
https://www.koa.or.kr/info/index_1.php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