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기개발휴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저출산 문제의 심각성
1.2. 일-가정 양립의 필요성과 여성 경력 개발의 중요성
2. 육아휴직 제도의 개요
2.1. 육아휴직 제도의 개념
2.2. 육아휴직 제도의 법적 근거
3. 공공기관의 육아휴직 제도
3.1. 국가공무원법상 육아휴직 제도
3.2. 육아휴직 수당
3.3. 육아휴직자 결원 보충
4. 공공기관 육아휴직 활용 실태와 문제점
4.1. 공공기관의 육아휴직 활용 실태
4.2. 공공기관 육아휴직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5.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저출산 문제의 심각성
우리나라의 출산율 저하는 매우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다. 우리나라는 지난해에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앞서게 되면서 인구의 자연 감소가 나타났다. 이것을 '데드크로스'라고 부르는데, 우리나라는 2020년을 기전으로 데드크로스에 진입한 셈이다. 행정안전부의 발표에 따르면 2020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주민등록인구가 2019년의 5,184만 9,861명에서 2020년에는 5,182만 9,023명으로 줄어들었다. 한 해 동안 우리나라의 인구가 2만 838명이 줄어든 것이다.
이러한 인구의 데드크로스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출생아 수의 지속적인 감소이다. 우리나라는 인구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사망자 수가 눈에 띄게 늘어나서 인구의 자연감소가 나타났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렇다면 출생아의 수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인구가 자연감소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출생아 수는 2002년부터 2016년까지는 40만 명 대를 유지해 왔지만, 2017년에 30만 명대로 떨어진 이후로 해마다 매우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2017년에 30만 명대였던 것이 3년 만에 20만 명 대로 진입했다.
합계출산율로 보아도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는 심각해 보인다. 합계출산율이란 여성 한 명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의 평균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0명대이다. 2018년에 0.98명으로 처음으로 1.0명대가 무너진 데 이어서 2019년에는 0.92명, 2020년에는 이것이 다시 0.84명으로 줄어든 것이었다. 이러한 합계출산율은 대한민국 여성이 가임기간 동안 아이를 한 명도 낳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게다가 OECD 회원국 37개국 가운데 합계출산율이 1명 미만인 곳은 대한민국이 유일하기 때문에 아무리 저출산 문제가 전 세계적인 추세라고 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이 문제가 다른 나라보다 훨씬 심각한 문제인 것을 알 수 있다.
1.2. 일-가정 양립의 필요성과 여성 경력 개발의 중요성
일-가정 양립의 필요성과 여성 경력 개발의 중요성은 점점 더 대두되고 있는 문제이다. 우리나라의 출산율 저하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여성들이 경력과 출산·양육의 충돌로 인해 출산을 기피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전통적인 성 역할 분담 구조 속에서 여성의 주된 역할이 가사와 육아였다. 그러나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늘어나면서,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여성들이 배우자와 자녀에 대한 돌봄 및 가사 책임을 병행해야 하는 이중 부담에 시달리게 되었다. 이는 여성들의 출산과 양육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켜 결과적으로 낮은 출산율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성의 경력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된다. 여성들이 경력을 포기하지 않고 일과 가정의 양립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의 교육 수준과 사회적 지위가 높아지면서 자신의 경력 개발에 대한 욕구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들이 출산과 양육으로 인해 경력 개발의 기회를 잃지 않도록 다양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일-가정 양립을 위한 육아휴직 제도는 여성의 경력 개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육아휴직 제도를 통해 여성들은 자녀 양육에 전념하면서도 근로자로서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여성들은 출산과 양육으로 인한 경력 단절...
참고 자료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조직이론과 설계 : Richard L. Daft 저 / 김광점 역 / 한경사 / 2016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실제 / 이광자 저 / 신광출판사 / 2019
조직문화 통찰 : 김성준 저 / 클라우드 나인 / 2019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인간관계 심리학 / 김종운 저 / 학지사 / 2017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 안효자 저 / 수문사 / 2018
조직문화가 경쟁력이다 : 로저 코너스, 톰 스미스 저 / 서상태 역 / 2013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도복늠 저 / 정담미디어 / 2016
학습하는 조직 : 피터 센게 저 / 강혜정 역 / 에이지21 / 2014
데일리메디, 2021.4.5. 출산율 최저... 2020년 사상 첫 ‘인구 데드크로스’ 진입
세계일보, 김동환, 2020.4.17. 출산하지 않는 이유.. 미혼·기혼, 경제적 불안정 최다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6. 임은정, 육아휴직 제도의 인식과 활용에 관한 연구 –포항시 공무원을 대상으로-
지방행정연구, 2005, 금창호, 이세진, 여성 공무원 육아휴직에 따른 대체인력의 확보방안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국가공무원법,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연합뉴스, 전명훈, 2016.7.12. 육아휴직 사용률... 공무원 75%, 회사원 35%
베이비타임즈, 김은교, 2021.2.23. 남성육아휴직 지속 증가.. 공무원 사용률, 민간보다 높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