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연세대학원 경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 경영학의 발전과정
1.1. 한국 경영학의 형성
1.1.1. 일제시대의 경영학 연구
1.1.2. 8.15 해방 후
1.1.3. 공인회계사제도 도입
1.1.4. 경영학과 및 경영대학원의 창설
1.1.5. 한국경영학회의 창립과 교환교수 파견
1.1.6. 경영대학원의 창설과 산·학 협동교육
1.2. 한국 경영학의 발전
2. 인구절벽 마주한 한국, 국가성장을 위해 필요한 인재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2.1. 인구 절벽에 이은 인재 절벽의 도래(到來)
2.2. 정부,기업 우수인재 확보 총력전(總力戰) 나서
2.3. 인재절벽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이민 활성화를 통한 우수 인재 영입임
2.4. 미국, 성공적 이민정책의 표본(標本)국가
2.5. 코로나 팬데믹 상황속에서 이민자들의 역할은 더욱 돋보여
2.6. 국가차원의 적극적 이민 정책 및 다문화 가정에 대한 포괄적 지원 필요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 경영학의 발전과정
1.1. 한국 경영학의 형성
1.1.1. 일제시대의 경영학 연구
1.1.2. 8.15 해방 후
15 해방 후 각 대학에서 상업통론, 상업개론, 상업경제 등의 명칭과 아울러 경영학총론, 경영경제학 등이 개설되기는 하였으나 그 중요성이 그다지 인정되지 못하였다"". 한편, 1948년 3월 서울대 상과대학(현 경영대학)에서 정수영 교수가 강의를 시작하였고, 1954년 9월 국내 최초로 우리말로 된 "경영경제학" 교재가 출간되어 경영학 발전에 기여하게 되었다"".
1.1.3. 공인회계사제도 도입
1950년 계리사법(1968년 12월 현 공인회계사법으로 개정) 제정을 계기로 경영학 연구가 가속화되었다. 즉, 계리사 2차 시험에 경영학이 응시과목으로 지정됨으로써 경영학 연구에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경영학이 실무계에서 더욱 중요성이 인정받게 되었고, 경영학 연구가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1.1.4. 경영학과 및 경영대학원의 창설
1955년 4월 고려대학교 상과대학에 한국 최초로 상학과가 창설되면서 경영학 전문교육이 시작되었다. 이후 1959년 이후 연세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서울대학교 등 거의 모든 대학에서 경영학과 및 경영대학원이 신설되었다. 이는 경영학이 대학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1963년 11월 고려대학교에 경영대학원(석사과정 및 연구과정)이 창설되었다. 경영대학원의 설립은 유능한 경영자 양성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으며, 이후 많은 대학에서 경영대학원이 신설되어 우리나라 산·학 협동교육에 큰 공헌을 하게 되었다.
이처럼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걸쳐 경영학과와 경영대학원이 속속 설립되면서 경영학이 전문 학문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는 해방 후 경영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경영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1.1.5. 한국경영학회의 창립과 교환교수 파견
한국경영학회의 창립과 교환교수 파견은 한국 경영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국경영학회가 1957년 12월에 창립되어 연구발표 등 많은 활동을 하게 되었고, 1957년 말부터 고려대학교와 연세대학교가 미국 워싱턴 대학교와 교수 교환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실질적인 미국경영학의 도입계기를 마련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교수들이 미국으로 유학을 다녀오게 되고, 또 미국인 교수들이 우리나라에 와서 경영학 발전에 도움을 주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미국경영학의 본질적 연구와 방법론적 연구가 우리나라 경영학계의 새로운 과제가 되었다. 이와 같이 한국경영학회의 창립과 교환교수 파견은 한국 경영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다.
1.1.6. 경영대학원의 창설과 산·학 협동교육
유능한 경영자 양성을 목적으로 1963년 고려대학교에 경영대학원(석사과정 및 연구과정)이 창설되었다. 이후 많은 대학에서 경영대학원을 신설하였는데, 이는 우리나라 산·학 협동교육에 큰 공헌을 하게 되었다. 경영대학원의 설립을 통해 유능한 경영자 양성 및 재교육이 이루어졌고, 이는 기업과 대학 간의 긴밀한 산·학 협동교육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대학에 설립된 경영대학원은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경영 전문가를 양성함으로써 기업의 경영 문제 해결과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고려대학교의 경영대학원이 가장 먼저 설립되어 그 모범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경영...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초격차 ㅣ 권요현 지음 ㅣ 샘앤파커스
인재절벽 해법은 ㅣ 전자신문
이민강국 ㅣ 모종린 지음 ㅣ 한국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