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시적 소비문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과시적 소비문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화의 변화에 따른 과시소비의 심화
1.1. 서론
1.2. 본론
1.2.1. 현대의 대학생들이 가진 의식적이지 못한 소비습관
1.2.2. 힙합 문화의 영향
1.3. 해결방안
1.3.1. 기업·국가의 영향력을 활용한 해결방안
1.3.2. 중·고등학교 교육의 방향성 재설정
1.4. 결론

2. MZ 세대의 과시소비 문화
2.1. 서론
2.2. 본론
2.2.1. 짐멜의 관점
2.2.2. 짐멜의 문제의식
2.2.3. 짐멜의 시각으로 보는 보고서의 문제의식
2.3. 결론

3. 한국사회의 과시적 문화 : 명품소비 분석을 중심으로
3.1. 서문
3.2. 명품의 사회학적 분석
3.2.1. 명품의 의미
3.2.2. 명품 시장
3.2.3. 명품 인기의 원인과 한국사회의 특성
3.3. 명품의 인기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
3.3.1. 긍정적 인식
3.3.2. 부정적 인식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화의 변화에 따른 과시소비의 심화
1.1. 서론

우리나라는 강도높은 입시 공부에 특화된 나라이다. 때문에 스스로 마련한 소득이 아닌 부모에게서 받은 용돈으로 수동적인 소비를 할 수밖에 없었고 학교나 부모, 기타 여건에 의해서 소비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결국 청소년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전까지 돈을 벌고 쓰는 올바른 방법과 경제적 자립의 중요성에 대해 배울 기회를 갖지 못하며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20세 이후로 처음 실질적인 경제생활에 발을 내딛게 된다. 그 이전에는 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의·식·주 소비가 경제생활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대다수가 그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고 문제시 할 여지가 적었다. 그러나 현대의 대학생 소비는 분야가 매우 다양해졌으며, 고정적인 수입이 없고 대부분 아르바이트, 용돈에 의존한 소비임에도 불구하고 그 규모가 과거에 비해 매우 커졌다. 대학시절 형성된 소비 성향은 대학 졸업 이후의 소비자 행동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성은 크다 할 수 있다. 대학생의 소비에만 해당되는 내용은 아니지만 대학생의 이상적인 소비를 한마디로 표현하고자 한다면 '의식 있는 소비'이다. 앞서 언급했듯 대학생은 갓 성인이 되어 각종 제약이 완화된 데다가 신용 카드의 사용, 다양한 아르바이트 등이 가능해져 과거에 비해 소비의 분야·규모가 매우 커진다. 또한 본능을 자극하여 비합리적인 소비를 끌어내는 다양한 요소가 도사리고 있으므로 대학생은 그것들을 구별해내고 바르게 판단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1.2. 본론
1.2.1. 현대의 대학생들이 가진 의식적이지 못한 소비습관

현대의 대학생들이 가진 의식적이지 못한 소비습관은 단언컨대 '과시소비'이다. 이는 과거의 대학생들에게도 해당되는 소비습관이었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이러한 문제가 심각해졌다. 과거 대학생들의 과시소비가 자신의 수입에서 과시관련 소비가 주를 이루는 것을 의미했다면, 현대의 과시소비는 과시를 위해 자신의 수입 이상의 지출을 하는 것이다. 실제 현대의 대학생들은 일정한 수입이 없거나 미비함에도 불구하고 신용카드·학자금 대출과 같은 수단을 동원하여 수백만원을 호가하는 악세서리, 의류 등을 구매하는, 자신의 소득상태를 현실적으로 고려하지 않은 소비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형태의 소비는 결코 올바른 형태의 소비라고 볼 수 없으며, 이는 곧 잘못된 소비습관의 형성으로 이루어진다.


1.2.2. 힙합 문화의 영향

불과 2010년대만 하더라도 20대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문화는 '걸그룹'과 '보이그룹'이었다. 걸그룹의 경우 소녀시대, 카라, 원더걸스 등 '청순'이라는 컨셉을 통해 인기몰이를 했으며, 보이그룹은 흔히 말하는 '몸짱' 컨셉과 '감성'이라는 컨셉을 통해 인기몰이를 한 2PM, 2AM, 슈퍼주니어, 빅뱅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즉, 당시의 문화는 물질적인 가치보다는 비물질적인 가치를 통해 자신의 아름다움을 과시하는 문화였다.

반면 현대사회의 20대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문화는 '힙합'이다. 물론 2000년대에도 힙합이라는 문화는 존재했지만, 사실상 사회에 큰 영향력을 끼치는 문화라고 보기는 어려운 수준이었다. 하지만 2012년에 시작한 'SHOW ME THE MONEY', 2016년에 시작한 'UNPRETTY RAP STAR', 2017년에 시작한 '고등래퍼' 등 다양한 경연 프로그램을 통해 본격적으로 대중화되었다. 다음은 힙합 문화를 이끈다고 평가되는 도끼·창모·슈퍼비라는 아티스트의 노래에 나오는 가사이다.

"순수예술을 안하냐면서 나를 씹겠지. 그 동안 난 수퍼카들을 사. 이러다 나중엔 집이나 짓겠지. 니들이 그럴수록 난 오기가 발동해"(DOK2, 밖에 비온다 주륵주륵 중)

"Yeah 스물다섯 포르쉐를 샀어. 물론 일시불, 내 친구 차는 masi. 빠르면 비행기, 비행기도 살래. 못 죽여 넌 나를 죽이는 건 말레"(창모, Selfmade orange 중)

"첫 mic는 마미한테 빌린 돈. 야망이 훔쳐봐 이제 billion도. 400은 친구가 내게 빌린 돈 천천히 갚아 i got 1 million"(슈퍼비, Heu!중)

위의 가사에서는 순수예술보다는 물질적 가치에 치중하여 수퍼카·집을 사겠다고 말하며, 그것을 지켜보는 경쟁자들은 그저 지켜보기만 할 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또한 '수퍼카', '마세라티'와 같은 고가의 차량과 '말보루 레드'라는 담배를 언급하며 이것이 자신을 죽이게 될 것이라고 한다. 즉, 수퍼카·담배와 같은 유흥과 관련된 상징적 의미를 통해 정신적 가치보다는 물질적 가치에 치중된 삶을 살겠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모두가 그렇다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힙합 문화는 타인에게 감동·깨달음을 주는 정신적인 요소를 담는 것에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돈', '이성', '차' 등 물질적인 가치를 과시하는 것이 이들이 자신의 예술성을 표현하는 방식인 것이다.


1.3. 해결방안
1.3.1. 기업·국가의 영향력을 활용한 해결방안

'1.3.1. 기업·국가의 영향력을 활용한 해결방안'은 대학생의 과시소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대학생들의 과도한 과시소비는 주변의 분위기에 휩쓸려 형성되는 문화적 경향이 크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대중들의 관심을 과시소비에서 벗어나게 유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언론플레이를 통해 대중의 시선을 과시소비의 문화가 아닌 다른 긍정적인 문화로 전환시키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현재 한국사회에서는 언론플레이를 통한 이미지 개선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왔던 경험이 있기 때문에, 이를 과시소비 문제 해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 과정에서 기업과 국가 주도로 특정 문화를 과도하게 강요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기업과 국가가 제도적 차원에서 개입하여 대학생들의 문화적 성향을 보다 건전한 방향으로 이끌어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업이 대학생들의 소비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거나, 국가 차원에서 청년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소비 습관 개선을 도모하는 등의 방안을 모색해볼 수 있다.

이처럼 기업과 국가가 과시소비 문화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은 대학생들의 의식적이지 못한 소비 습관을 교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이 과정에서 개인의 자유와 자율성이 지나치게 침해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다.


1.3.2. 중·고등학교 교육의 방향성 재설정

현대의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의식적이지 못한 소비습관은 단언컨대 '과시소비'이다. 이는 과거의 대학생들에...


참고 자료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1974.『인구이동통계연보』
구해근. 1991. “한국중간계급연구의 이론적․방법론적 문제점”. 『사회계층(김채윤교수 회갑 기념논문집)』. 다산출판사. pp. 143-153.
김양희․ 신용남. 2000. 『재래시장에서 패션 네트워크로』. 삼성경제연구소.
김영모. 1978. “도시사회의 직업 및 계급구조”. 『사회복지연구』12 : 1-25.
드그라프. 존(de Graff. John). 2001. 『어플루엔자』. 박웅희 역. 한숲.
베르너. 소마트(Werner. S). 1997. 『사치와 자본주의』. 이상률 역. 문예출판사.
안치민. 1988. “사회이동과 사회불평등 체계의 특성”. 『고려사회학논집』4 : 35-57.
양춘. 1983. “경제개발과 사회이동 및 지위의식의 변화”.『산업사회와 대중문화(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p.35-71.
양춘. 2000. 『한국사회의 계층구조와 동학』.고려대학교 출판부.
유팔무. 1981. “세대간 사회이동과 사회기회 불평등”. 『한국사회학연구』5 : 65-94.
이상백․김채윤. 1966. 『한국사회계층연구』. 민조사.
존 스토리(Story. John). 1993.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박모역. 현실문화연구.
홍두승. 1992. “중산층의 성장과 사회변동”. 한국사회학회•한국정치학회편. 『한국의 국가와 시민사회』.한울. pp. 255-276.


Baxter, J. L. 1988. Social and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Economic Analysis. New York : Harvester-Wheatsheaf.
Campbell, Colin.1983. “Romanticism and The consumer ethic ; intimations of a Weber Style Thesis.”, Sociological analysis, 44(4) :279-96
Campbell, Colin. 1987. The Romanic Ethic and the Spirit of Modern consumerism. Oxford: Basil Blackwell.
Caughey, J.L. 1984. Imaginary Social worlds : A Cultural Approch. Nebraska: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Corrigan, Peter. 1997. The Sociology of Consumption. Sydney: sage publishing company.
Csikszentmihalyi, M and Rochberg-Halton, E. 1981. The Meaning of Things:Domestic Symbols and the Self.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uglas, Mary and Isherwood, Baron. 1979. The world of Goods. Towards an Anthropology of Consumption. London : Allen Lane.
Featherstone, Mike. 1991. Consumer Culture & Postmodernism. London:Sage.
Foucaul, Michel. 1981. History of Sexuality, Harmondsworth : Penguin.
Hall, S. 1988. The Hard Road to Renewal. London : Verso.
Homans, George C. 1961. Social Behavior:Its Elementary Forms, New York : Harcourt, Brace and World.
Jackson, Elton F. 1962. “Status consistency and sympton of stres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7(August) : 469-48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