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병원 내 손 위생 관리 계획
1.1. 주제 선정 배경
○○병동은 소화기내과 병동으로 고령의 전신 쇠약 환자, 암 환자, 알콜성 간경변증, 장염 및 설사 등 감염에 쉽게 노출되는 질환의 환자가 주로 입원하고 있어 감염 위험성이 높다"" 이에 의료관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손 위생 증진활동을 통하여 손 위생 수행률을 높이고자 한다"" 병원 전체 교육만으로는 반드시 손 위생을 수행해야한다는 자각을 불러일으키기에 부족하고 이는 결국 행위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손 위생 수행률이 저조한 전체 교육의 한계를 드러내었다"" 따라서 물리적·환경적 요인의 개선보다는 개인적요인 개선을 위해 부서 차원에서의 교육을 통해 손 위생에 대한 개인들의 태도나 인식도를 높여주고 동기유발을 통해 간호행위와 관련된 효과적인 손 위생 수행법을 철저히 수행하여 손 위생 수행률 증진과 더불어 병원 감염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1.2. 목표 설정
활동목표는 손 위생 수행률 99% 향상이다. 병동 감염관리팀에 의해 조사된 바에 따르면 전년도 병동 손 위생 수행률 4분기 평균은 93.4%이었다. 따라서 이번 활동을 통해 손 위생 수행률을 99%까지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핵심지표는 손 위생 수행률(%)으로, 손 위생 수행건수를 손 위생 해당건수로 나누어 100을 곱한 값이다. 이를 통해 손 위생 수행실태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활동 성과를 평가할 수 있다.
1.3. 문제 분석
본 병동은 소화기내과 병동으로 고령의 전신 쇠약 환자, 암 환자, 알콜성 간경변증, 장염 및 설사 등 감염에 쉽게 노출되는 질환의 환자가 주로 입원하고 있어 감염 위험성이 높다. 이에 의료관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손 위생 증진활동을 통하여 손 위생 수행률을 높이고자 한다. 병원 전체 교육만으로는 반드시 손 위생을 수행해야한다는 자각을 불러일으키기에 부족하고 이는 결국 행위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손 위생 수행률이 저조한 전체 교육의 한계를 드러내었다. 따라서 물리적·환경적 요인의 개선보다는 개인적요인 개선을 위해 부서 차원에서의 교육을 통해 손 위생에 대한 개인들의 태도나 인식도를 높여주고 동기유발을 통해 간호행위와 관련된 효과적인 손 위생 수행법을 철저히 수행하여 손 위생 수행률 증진과 더불어 병원 감염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1.4. 개선 활동
< 개선 활동 >
병원 내 손 위생 증진을 위한 개선 활동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올바른 손 위생 6단계와 손 위생 시점에 대한 교육 자료를 배부하였고, 이를 병동 세면기와 병동 알림 게시판에 부착하여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신규 간호사를 비롯한 6A병동 간호사 전체를 대상으로 손 위생 6단계와 손 위생 시점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체크 단계에서는 전년도 병동 손 위생 수행률 4분기 평균 93.4%와 1분기 손 위생 수행도 96.1%를 조사하여 전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