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광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방광염의 개념 및 통계
1.2.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2.1. 방광염의 정의
2.2. 원인
2.3. 병태생리
2.4. 증상
2.5. 진단검사
2.6. 치료
2.7. 간호중재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2. 간호진단
3.3. 간호계획
3.4. 간호중재
3.5. 간호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방광염의 개념 및 통계
방광염은 방광 벽의 염증으로서 주로 상행성 세균 감염으로 일어나는 질환이다. 방광염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흔하게 발생하는데, 이는 여성의 해부학적 구조상 요도가 짧아 세균이 방광으로 쉽게 침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계에 따르면 여성의 20%에서 1년에 1회 이상 배뇨통을 경험하며, 그 중 가장 큰 원인이 방광염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2018년 방광염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는 총 1,666,978명으로 보고되어, 방광염이 매우 흔한 질환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방광염은 여성에게 특히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며, 그에 따른 사회적 비용도 크다고 할 수 있다.
1.2. 연구의 필요성
방광염은 일차적 경로인 요도로부터의 상행감염으로 흔히 발생하는 질병으로서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도가 짧은 여성들에게 질 감염을 통해 쉽게 발생하는 질환이다. 그러다 보니 주변에서나 임상에서 발병 빈도가 높았으며, 방광염의 치료법에 관한 논문 내용을 통해 여성의 20%에서 1년에 1회 이상의 배뇨통을 경험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배뇨통의 가장 큰 원인 또한 방광염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방광염이라는 질환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간호에 대해 지식이 부족하여 이 질환을 선정하여 지식을 함양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방광염의 정의
방광염은 방광벽의 염증으로서 주로 상행성 세균 감염으로 일어난다. 이는 주로 20-54세 여성에서 흔하게 발생하며, 흔히 증상이 있는 요로감염을 의미한다. 또한 무균성 혹은 간질성 방광염을 감염이 없는 방광 점막의 염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방광염은 방광 내 세균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발생한 질환으로, 급성 방광염은 요로계의 해부학적, 기능적 이상 없이 세균이 침입하여 발생한 감염으로 인해 염증이 방광 내에 국한되어 나타나고 다른 장기에는 염증이 없는 질환이다. 만성 방광염은 통상적으로 1년에 3회 이상 방광염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하며, 지속적인 또는 완치되지 않은 방광염을 의미한다."
2.2. 원인
방광염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감염 원인이 가장 흔하며, 전체 방광염의 약 80% 이상이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주된 원인균은 대장균으로, 주로 요도를 타고 상행성으로 방광에 도달하여 감염을 일으킨다. 여성의 경우 요도가 짧고 항문과 가까워 세균이 침입하기 쉽기 때문에 남성보다 훨씬 더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특히 임신 중인 여성은 방광 용적이 커지고 방광 유순도가 증가하여 요정체가 발생하기 때문에 감염에 취약하다""
기계적 손상도 방광염의 주요 원인이다. 과격한 성행위나 꽉 끼는 속옷 착용 등으로 인한 요도의 미약한 기계적 손상이 감염의 기회를 제공하여 방광염을 유발할 수 있다""
화학적 자극 또한 방광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향이 강한 비누, 목욕 거품, 질 세척제, 피임용 크림 등의 사용이 자극을 일으켜 방광염을 유발할 수 있다. 진한 차, 커피, 술, 과일 주스 등도 방광 점막을 자극하여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호르몬 결핍 또한 방광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폐경 후 여성의 경우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해 요도와 방광 점막이 얇아져 감염과 손상에 취약해질 수 있다""
그 밖에도 소변을 너무 오래 참거나 세균이 잘 자라는 따뜻하고 습한 환경을 제공하는 속옷 착용 등이 방광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병원성 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무균법이 지켜지지 않은 채 사용된 도뇨관이다.
2.3. 병태생리
방광은 골반 내, 치골 뒤쪽에 위치한 소변을 저장하고 배설하는 주머니 모양의 기관이다" 이는 소변을 저장하고 배설하는 기능을 한다.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이 좌,우 요관을 통해 방광으로 들어오면 이는 요도를 통해 바깥으로 배출하게 되며, 성인 방광의 평균용적은 약 400ml 정도이다. 방광은...
참고 자료
김금순 외 다수(2017). 성인간호학2. 수문사.
김재완, 권성원, 한만영, 이웅재, 윤혜란(1993). 방광염과 요도증후군의 감별과 치료. vol.1993 No.4(1993);14-21.
이정구(2002). 급성방광염. vol.7 No.2[2002]; 23-27
이승주, 조용현, 김법완, 이정구, 정세일, 이상돈, 이상은, 김민의, 최영득, 임정식, 심봉석, 조인래, 류수방, 김철성, 김원재, 이춘용(2003). 방광염의 원인균에 따른 항생제 감수성의 다기관 임상조사. vol.44 No.7[2003];697-701
기본간호학 하권 양선희 손영희 백훈정 원종순 유재희 전미양 외 공저
아동건강간호학
급성 방광염 – 서울아산병원
급성방광염 - 대한비뇨기과학회
CBC 검사 해석 | Lab Tests Online
요검사(UA) -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성미혜 외 공저(2018),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p249-325
윤은자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1406-1408
평생건강지킴이 국민건강보험, ‘환절기, 면역력 저하 시 자주 발생하는 방광염 바로 알기’, https://www.nhis.or.kr/static/alim/paper/oldpaper/202011/sub/s02_02.html
건강보험심사평가원, http://www.hira.or.kr/main.do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main/index.do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main.do
서울대학교병원, https://www.snuh.org/main.do
대한비뇨의학회, https://www.urology.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