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태반조기박리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태반조기박리
1.1. 정의
1.2. 원인
1.3. 병태생리
1.4. 증상 및 징후
1.5. 진단
1.5.1. 혈액 검사
1.5.2. 영상 검사
1.5.3. 기타 검사
1.6. 분류
1.6.1. 박리 정도에 따른 분류
1.6.2. 박리 부위에 따른 분류
1.6.3. 증상에 따른 분류
1.7. 치료
1.7.1. 보존요법
1.7.2. 수술적 치료
1.8. 간호
1.8.1. 신체 사정
1.8.2. 태아 감시
1.8.3. 수액 및 수혈 관리
1.8.4. 산소 공급
1.8.5. 통증 관리
1.9. 예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태반조기박리
1.1. 정의
태반조기박리란 임신 20주 이후 정상적으로 착상된 태반이 태아 만출 전에 자궁에서 부분적 또는 완전히 박리되어 떨어지는 것이다.""
1.2. 원인
태반조기박리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태반조기박리 위험인자 중 가장 큰 것은 고혈압이다. 이는 자궁 나선 세동맥의 선천적 결함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발생률은 초임부에 비해 5회 이상의 경산부가 3배 높고, 생식기관의 소모경력(유산, 조산, 산전출혈, 사산, 신생아 사망 등)이 있는 여성이 2배 높다. 코카인 복용도 혈관파열을 초래하므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그 외에도 교통사고, 구타 등에 의한 복부외상, 흡연, 다태임신, 과거 태반조기박리 경험, 조기양막파수, 자궁기형 및 섬유종, 혈전성향증 등이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전에 태반조기박리를 경험한 임부가 다음 임신 시 태반조기박리가 재발할 확률은 약 25%로 매우 높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태아가 둔위에서 두정위로 바꿀 때 태반을 잡아당겨 박리가 되기도 하고 자궁크기가 갑자기 줄어들 때, 양수과다로 파막 시에도 발생한다. 또한 자궁 나선세동맥의 선천적 결함에 의한 고혈압과 자간전증도 원인이 된다. 코카인 복용도 혈관파열을 초래하므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그 외 교통사고, 구타 등에 의한 복부외상, 흡연, 다태임신, 과거 태반조기박리경험 등도 위험요인이다.
1.3. 병태생리
태반조기박리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태반조기박리는 탈락막 기저층 내 출혈에 의해 유발된다. 그러면 탈락막은 찢어져 근층에 접한 얇은 층만 남게 된다. 결과적으로 초기에 탈락막 혈종이 형성되어 주위의 태반을 박리, 압박 및 파괴한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으면 단지 태반의 모체 측 표면에 응혈혈액으로 덮여진 직경이 수 cm인 짓눌린 부위를 관찰함으로써 알 수 있다. 때로는 탈락막 용수동맥이 파열되어 후태반 혈종을 형성하는데 확대되면 더 많은 혈관이 파열되어 태반이 더 넓게 박리된다. 신속하게 박리되는 부위가 보다 확대되고 태반의 변연까지 도달하게 된다.
자궁은 여전히 수태물에 의해 확장되어 있으므로 태반 부위를 공급하는 찢어진 혈관을 압박하기 위한 수축을 충분히 할 수 없다. 출혈이 계속되면 자궁벽과 양막을 분리하게 되며 외부로 유출되거나 자궁 내에 잠복하게 된다.""
1.4. 증상 및 징후
태반조기박리 시 질출혈, 복부통증, 심한 자궁압통 및 수축이 나타난다.""태반이 분리되면 탈락막 기저층에 출혈이 생기고 이로 인해 탈락막이 찢어져 자궁근층에 접한 얇은 층만 남게 된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지만 점점 태반이 더 박리되면서 혈액이 고이게 되어 자궁 내 압박을 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배부 통증이 생기고 수축이 강해지며 심한 경우에는 자궁근층까지 출혈이 진행되어 자궁이 푸르스름하게 변하는 자궁태반졸증(couvelaire uterus)이 발생할 수 있다.""태반조기박리 시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질출혈이며, 전체 태반조기박리 환자의 약 80%에서 나타난다. 출혈은 태반이 떨어지면서 드러난 부분에서 나오거나 태반과 자궁벽 사이에 고인 혈액이 태반을 통해 스며나오기도 한다.""자궁 압통 및 강직도 특징적인 증상으로, 태반이 분리되면서 자궁근층에 출혈이 발생하여 자궁이 강직되고 압통이 심해진다. 또한 과다한 자궁수축으로 인해 태아 또한 질식될 수 있다.""그 외에도 갑자기 나타나는 강한 복부통증, 태아 활동 감소 및 태아심음 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중앙부 박리의 경우 출혈이 은닉되어 있어 증상과 실제 출혈량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따라서 임신부가 갑자기 심한 복통을 호소하며 질출혈이나 태아활동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반드시 태반조기박리를 의심해 보아야 한다.""
1.5. 진단
1.5.1. 혈액 검사
태반조기박리 환자의 혈액 검사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혈액 검사를 통해 태반조기박리의 진단 및 중증도 평가, 합병증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일반적인 혈액 검사인 전혈구계산(CBC)이 시행된다. 태반조기박리로 인한 출혈로 인해 혈색소(Hb), 적혈구(RBC) 수치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혈소판 수치 또한 감소할 수 있는데, 이는 범발성 혈관내 응고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
참고 자료
대한산부인과학회. (2021). 산과학 (제 6판). 군자출판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2020). 여성건강간호학 II. 수문사.
서민정, 김옥경, 김두만, 유희정, 박철훈, 노덕영, 김태응. (2006). 태반조기박리의 임상적 고찰. PERINATOLOGY, 17(1), 77-83.
허혁, 황지영, 김도균, 이형종, 심재철, 양회생. (2004). 35세 이상 고령산모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임상적 연구.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47(3), 458-463. .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삼성서울병원. 태반조기박리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35b&CONT_SRC=CMS&CONT_ID=1746&CONT_CLS_CD=00102000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