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학 열성경련 간호진단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열성 경련
1.1. 열성 경련이란?
1.2. 원인
1.3. 증상
1.4. 진단
1.5. 치료
1.6. 경과 및 합병증
1.7. 대처 방법
2. 간호과정
2.1. 간호력
2.2. 진단검사
2.3. 투여 약물
2.4. 간호중재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열성 경련
1.1. 열성 경련이란?
열성 경련이란 어린이의 뇌가 미성숙하여 열에 의한 자극을 견디지 못하고 경련이 유발되는 병으로, 대부분 6개월에서 만 5세 사이의 아이에게 발생한다. 열성 경련의 대부분은 단순히 열이 나는 것에 반응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며, 이러한 열성 경련은 대체로 경증이거나 합병증이 동반되지 않는 양성 경과를 보인다. 열성 경련 환아들은 정상적인 신경 발달을 보이며, 뇌 손상이나 지능 저하 등의 심각한 후유증을 겪지 않는다. 다만 열성 경련의 재발 위험은 높은 편이며, 일부 환아들에서는 이후 간질로 이행될 수도 있다는 점에 주의가 필요하다.
1.2. 원인
열성 경련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주요 원인으로 유전적 요인과 감염성 질환이 거론되고 있다"
유전적 요인의 경우, 부모나 형제가 열성 경련의 병력이 있으면 일반인보다 3~4배 정도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유전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열성 경련을 유발하는 감염성 질환은 약 70%가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으로 편도염, 인후염, 중이염 등이 대부분이며, 그 밖에 위장염, 기관지염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드물게 예방접종 후 발열로 인해 열성 경련이 일어날 수도 있다"
1.3. 증상
열성 경련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열성 경련을 하는 환자는 37.8도 이상의 발열이 있을 때 의식을 잃고 전신에 힘을 주며 팔다리를 떨게 된다. 얼굴이 창백해 보이거나, 입에 거품을 물거나, 눈이 돌아갈 수도 있으며, 구토를 하거나 본인도 모르게 소변 또는 대변을 볼 수도 있다. 대부분 5분 이내에 발작은 멈추지만, 발작 후 1시간까지는 졸려 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다. 열성 경련은 열이 나고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열성 경련은 크게 단순열성경련과 복합열성경련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순열성경련은 가장 흔한 형태로, 열성 경련이 수초에서 15분 이내로 지속된다. 발작은 24시간 이내에 1번만 발생하고, 몸의 일부분에 국한되어서 나타나지 않는다. 복합열성경련은 발작이 15분 이상 지속되거나, 24시간 이내에 2번 이상 발생하거나, 또는 몸의 한 쪽에서 보이는 등의 국소 발작을 보일 경우로 분류한다. 복합열성경련이 있는 경우 향후 발열 시 발작의 재발가능성이 높고, 나이가 들어 비열성경련의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4. 진단
열성 경련의 진단은 주로 병력 청취가 가장 중요하다. 열성 경련은 주로 짧게 일어나기 때문에 의사가 환자의 경련하는 모습을 대개는 볼 수 없다. 따라서 얼마나 발작이 지속되었는지, 어떤 모양으로(팔다리 모양, 얼굴 모양, 의식이 있었는지) 발작을 했는지, 1시간 이내에 의식을 완전히 회복하였는지, 이전에도 발작을 한 적이 있었는지 등의 병력 청취가 진단에 가장 중요하다. 의사의 판단에 따라 기본 혈액검사 및 소변 검사, 뇌파 검사, 뇌척수액 검사, 뇌 영상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발작 전이나 후에 지속적인 의식변화 혹은 국소 신경학적 증상이나 신경계 진찰의 이상 소견 등이 있거나 뇌수막염과 뇌염을 의심할 수 있는 소견이 있을 경우에 뇌척수액검사나 뇌영상 촬영이 필요하다.""
1.5. 치료
열성 경련의 치료는 다음과 같다.
열성 경련을 겪은 환자들이 외래나 응급실에 도착하였을 때는 이미 경련이 멈춘 상태가 많고 지속 시간이 짧아 대부분의 경우 경련에 대한 약물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발열의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고, 앞으로 있을 열성 경련을 예방하기 위...
참고 자료
<저서> 저자명(연도), 책명, 출판사명, page
김정미 외 14명(2022,개정). 최신아동건강간호학 II. 수문사: 서울. 24장. 293p~300p
양영옥 외 4명(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서울. 318p/ 336p,
양영옥 외 29명(2021,개정). 최신 기본간호학 II. 수문사, 407p~414p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약물검색
JS Kang, SR Kim, DW KIM, et al.(2009), 복합 열성 경련에 대한 임상적 고찰, Korean Joumal of Pediatrlce, Vol. 52, No. 1, page.81-86
Kang, J. S., Kim, S.-R., Kim, D. W., Song, T. W., Kim, N. H., Hwang, J. H., … Lee, C. G. (2009). Complex febrile convulsions: A clinical study.Korean Journal of Pediatrics. Korean Pediatric Society. https://doi.org/10.3345/kjp.2009.52.1.81
김영혜 외(2011). 아동간호학 각론(Unit 11). 현문사
김수연(2012). ‘열성경련 재발 예방을 위한 저용량 경구 diazepam 요법의 효과’.
을지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학위논문(학사)
김은주(2009). ‘열성경련 환아 어머니의 불확실성과 불안’. 동아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학위논문(학사)
대한소아과학회. ‘열성경련 시 응급조치’. May 31 2014 Retreived from
http://www.pediatrics.or.kr/info/search/viewbody.php?tbl_name=notice_tbl&page=1&number=5038&keyfield=subject&key=%BF%AD%BC%BA%B0%E6%B7%C3
대한소아과학회. ‘[열성경련] 열성경련을 보이는 아이’ May 31 2014 Retrieved from
http://www.pediatrics.or.kr/info/search/viewbody.php?tbl_name=notice_tbl&page=1&number=8869&keyfield=subject&key=%BF%AD%BC%BA%B0%E6%B7%C3(image)
차영남 외(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최순희(2013), 간호과정, 현문사
홍경자 외(2013). 영아와 아동을 위한 아동간호학 Ⅱ. 수문사
Medippt. May 31 2014 Retrieved from http://medipptx.blogspot.kr/2012/11/febrile-convulsions.html(image)
University of MARYLAND MEDIAL CENTER. May 31 2014 Retrieved from
http://umm.edu/health/medical/ency/articles/cyanotic-heart-disease(image)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 질환정보 https://www.amc.seoul.kr/asan/depts/child/K/bbsDetail.do?menuId=4342&contentId=259896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87
아동간호학 교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