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인체실험에 대한 역사적 고찰
1.1. 고대의학에서 인체실험 및 히포크라테스의 가르침
고대의학에서 인체실험은 의학 지식을 얻기 위해 불가피한 것으로 여겨졌다. 알렉산드리아의 헤로필루스(Herophilus)와 에라시스트라투스(Erasistratrus)는 B.C. 2세기에 신경계의 존재를 발견하는 등 해부학에 큰 공헌을 했다. 이들은 사형수들을 대상으로 생체 해부를 진행했는데, 이는 의학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며 소수의 죄인들의 희생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정당화했다. 그러나 이들의 잔인한 실험 방식에 대해 고대 의학자들의 비판이 있었다.
한편 히포크라테스(B.C. 4세기)는 의학의 윤리적 원칙을 제시했다. 그는 "연구, 진단, 및 치료 등, 의료와 관련된 어떤 경우에라도 환자에게 해를 주지 말라"는 원칙을 강조했다. 또한 그는 "테스트를 통해 증명되지 않은 치료법 등을 인체에 시험해 보는 것은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이처럼 히포크라테스는 의료윤리의 관점에서 인체실험에 대한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다만 히포크라테스의 의료윤리는 개인주의에 입각해 있어, 18-19세기의 공리주의 원칙에 기반한 인체실험의 논리와는 다른 맥락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당시에도 의학 교육에서 환자가 실험의 대상이 되는 등 윤리적 문제가 있었다는 기록들이 있다."
1.2. 근대 서양의학의 발전과 인체실험
근대 서양의학의 발전과 인체실험은 19세기를 통해 비약적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임상과학이 발전하면서 대학병원의 임상의사들은 규제할 만한 법규가 없는 가운데 환자들을 실험대상으로 삼았다. 그들은 "Bedside"를 의사들의 "Laboratory"라고 불렀으며, 질병을 "Nature's experiment"라고 일컬었다. 단순한 관찰을 넘어 그들은 환자의 질병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실험을 하거나, 환자의 치료와는 상관없는 시술을 통해 의학 지식을 넓히려고 하였다.
프랑스생리학자 클라우드 버나드(1813-1878)는 실험의학의 철학적 기초를 놓았고 인체실험에 대한 명확한 윤리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는 1865년에 "인체실험은 도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으나, 인체에 고통이나 어떠한 종류의 해를 가하지 않을 경우에만 가능하다. '과학의 진보'는 사람의 복지에 위협을 가하는 것에 정당성을 부여하지 못한다."라고 주장하였다. 이후 1907년 William Osler는 미국 의사협회 대회에서 "모든 새로운 치료법은 인체실험을 거친 뒤 사용되어야 한다. 단 동물실험을 통해 '절대안전'이 보장된 이후에, 상황에 대해 모든 정보를 받은 환자의 'full consent'를 받은 뒤 인체실험을 할 수 있다. 우리에게 치료를 위탁한 환자들에게 직접 이익이 없는 한, 우리는 그들을 실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이것들이 지켜지지 않았을 경우, 환자와 의사를 엮는 신성한 끈은 끊어질 것이다."라고 경고하였다.
자가 인체실험(Autoexperimentation)은 의학연구자가 환자나 일반인을 상대로 인체실험하기 전에 실험자 자신의 몸이나 그의 가족, 또는 연구팀의 일원의 몸에 실험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체실험의 역사만큼 오래되었으며, 일반적인 인체실험보다 윤리적으로 인정된다. 대표적인 예로 1789년 제너(Edward Jenner)가 자신의 1살 된 아들에게 최초로 종두법을 실험한 것, 18세기 존 헌터가 자신에게 매독균과 임질균을 주입한 것, 1847년 심슨(James Simpson)이 클로로포름을 자신에게 투여하여 마취제를 발견한 것 등이 있다.
세균학의 발전과 함께 1870년 이후 코호(Robert Koch)와 파스퇴르에 의해 인체실험이 급증하였다. 적절한 실험동물을 찾지 못한 경우가 많아 시설에 수용된 사회의 약자들에게 비인간적인 실험이 많이 행해졌다. 대표적으로 한센(G.A. Hansen)은 나병균 발견 후 병원 여환자에게 나병균을 주입하여 실험하였고, 나이세르(A. Neisser)는 1900년 8명의 여환자에게 매독 혈청을 주입하였다.
이처럼 근대 서양의학의 발전 과정에서 인체실험은 임상의사들의 실험 대상이 되었고, 사회적 약자들이 희생양이 되는 등 많은 윤리적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계기로 인체실험에 대한 윤리적 기준 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3. 2차 세계대전과 나치 독일의 비윤리적인 인체실험
2차 세계대전과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