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여성성 남성성이 적용된 가정폭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문화가정과 결혼이주여성의 가정폭력·성폭력 및 지원대책
1.1. 서론
1.2. 결혼이주여성의 가정폭력과 성폭력 실태
1.3. 생애주기 기반 지원대책
1.3.1. 연구와 조사
1.3.2. 다문화가정 지원체계의 방향
1.3.3. 사전교육 활성화와 대처방안 교육
1.4. 결론
1.5. 참고문헌
2. 성역할 고정관념과 가족생활
2.1. 서론
2.2. 성역할과 성역할 고정관념의 개념
2.3. 성역할이 가족생활에 적용되는 측면
2.4. 결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다문화가정과 결혼이주여성의 가정폭력·성폭력 및 지원대책
1.1. 서론
최근에 있어서 우리 사회에서는 한국 남성, 외국인 여성 사이에 국제결혼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다문화 가정과 다문화주의 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동안 이루어진 순수혈통과 단일민족 그리고 단일문화라고 하는 독특성을 유지한 한국 사회에서 이들과 같은 결혼이주여성의 증가는 단순한 국제결혼가정의 양적 증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인종과 민족 그리고 문화 등을 수용해 통합하는 다문화 사회로의 시대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통계청의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의 결혼 수 중에서 국제결혼의 비율이 이미 1%를 넘어가고 있다. 그중에서 한국 남성이 외국인 여성과 결혼한 경우가 80%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과거 2018년에 비해서 4배 이상 증가한 수준이다. 또한 한국 남성과 결혼하는 외국인 여성의 국적을 보게 되면 과거에 중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경향에서 필리핀과 베트남 그리고 태국과 캄보디아 등에 이르기까지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급격하게 증가하는 국제결혼의 건수에 비해서 국제결혼을 위하여 필요한 사전 준비는 전무해서 이들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인 배우자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준비과정도 없이 입국하고 있고 동시에 한국인 남성도 역시 외국인 배우자의 나라에 관련한 기본적인 지식과 그들의 언어, 문화 등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결혼에 이르게 된다.
1.2. 결혼이주여성의 가정폭력과 성폭력 실태
외국인 아내를 대상으로 하는 남편의 폭력사례는 이주여성 단체들이 끊임없이 지적하는 문제에 해당한다. 외국인 아내의 30% 정도가 남편에게 폭언과 폭행 등과 같은 상습적인 가정폭력을 당했다고 했다. 그리고 상당수의 혼인이주 여성이 가정폭력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나 별거상태이거나 혹은 이혼을 한 여성을 보면 가정폭력을 이유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폭력의 유형을 보면 언어폭력이 가장 많은 수치를 차지하고 있었고, 물건을 던지거나 혹은 세게 미는 것도 역시 신체적, 물리적인 폭력으로 포함된다고 하면 오히려 직접, 간접적인 신체적 폭력을 행사하는 수치 자체가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외에 성행위를 일반적으로 강요하거나 변태적 성행위를 강요하는 등의 비율도 역시 25% 정도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특히나 현재 별거하고 있거나 이혼한 국제여성들을 보면 언어폭력을 경험하는 경우가 70%에 육박했으며 신체적 폭력이 50% 이상 그리고 성폭력의 경우도 40%를 상회하는 등 가정폭력을 부부해체가 일어나는 주요 원인이라고 볼 수 있을 정도이다.
국제결혼을 중개하는 업체와 종교단체 등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국제결혼 가정을 보면 다수의 남성이 돈을 지불하고 여성을 사온다는 인식이 강해서 종종 부부 사이에 갈등이 일어나게 되면 이를 폭력으로 해결하려고 하는 성향이 더욱 강해진다. 일면에서 보면 남성의 이...
참고 자료
결혼이주여성의 가정폭력 실태와 사례를 바탕으로 한 개선방안/장순남/동아대학교/2012
결혼이주여성의 인권보호를 위한 기독교사회복지 역할 연구/박란이/서울장신대학교/2016
김소정(2008). 청소년 성역할 고정관념에 관한 연구 - 성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김은경, 심준섭(2016). 성역할 태도가 일-가정 양립 갈등에 미치는 효과. 국가정책연구.
김효진, 신현우, 홍세희(2020). 부부의 성역할 인식과 가정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상호매개효과: APIMeM의 적용. 보건사회연구.
이나련(2023). 경기도민의 가족 역할은 평등한가?: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김소정. (2008). 청소년 성역할 고정관념에 관한 연구-성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36, 129-149.
김은경, & 심준섭. (2016). 성역할 태도가 일-가정 양립 갈등에 미치는 효과. 국가정책연구, 30(4), 323-347.
김효진, 신현우, & 홍세희. (2020). 부부의 성역할 인식과 가정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상호매개효과: APIMeM 의 적용. 보건사회연구, 40(3), 459-491.
이나련. (2023). 경기도민의 가족 역할은 평등한가?: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경기도여성가족재단. https://www.gwf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