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왕의남자 전통문화감상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전통문화와 민속문화의 요소 분석
1.1. 영화 '왕의 남자'의 전통문화 및 민속문화 요소
1.1.1. 광대와 남사당패
1.1.2. 줄타기
1.1.3. 토시와 도롱이
1.2. 영화 '서편제', '축제', '도리화가'의 전통문화 요소
1.2.1. 판소리와 흥
1.2.2. 한(恨)과 기운(氣)
1.2.3. 공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전통문화와 민속문화의 요소 분석
1.1. 영화 '왕의 남자'의 전통문화 및 민속문화 요소
1.1.1. 광대와 남사당패
영화 '왕의 남자'에서는 전통적인 광대 집단인 '남사당패'가 등장한다. 남사당패는 본래 남자만으로 구성된 유랑 예인 집단이었으며, 이들은 꼭두쇠(우두머리)를 정점으로 풍물(농악), 보나(대접돌리기), 살판(땅재주), 어름(줄타기), 덧뵈기(가면극), 덜미(인형극, 꼭두각시놀이) 등 다양한 종류의 공연을 펼쳤다. 남사당패는 일정한 보수 없이 숙식과 다소의 노자만 제공받으며 마을의 큰 마당이나 장터에서 밤새워 놀이 판을 벌였다. 현재 남사당패는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들이 행했던 여섯 가지 연희 종목을 전승하고 있다. 이처럼 영화 '왕의 남자'는 전통 집단인 남사당패를 등장시킴으로써 조선 시대의 광대 문화를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1.1.2. 줄타기
줄타기는 널리 알려진 기예의 하나로,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곡예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전통 공연예술인 줄타기는 음악 반주에 맞추어 줄타기 곡예사와 바닥에 있는 어릿광대가 서로 재담을 주고받는다는 점에서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줄타기 연행은 야외에서 이루어지며, 줄타기 곡예사가 재담과 동작을 하며 노래와 춤을 곁들인다. 곡예사가 줄 위에서 다양한 묘기를 부리는 동안 어릿광대는 곡예사와 재담을 주고받으며, 약사들은 그 놀음에 반주를 한다. 줄타기 곡예사는 간단한 동작으로 시작하여 점점 더 어려운 묘기를 부리는데, 무려 40가지나 되는 줄타...
참고 자료
한민족문화연구, “임권택의 ‘판소리 3부작’ 연구 – 판소리의 영상화에 대해서 - ”, 2010, 광운대학
김영구(2009). 중국공연예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수진 (2006). 신여성담론 생산의 식민지적 구조와 《신여성》. 경제와사회,255-284.
정민아(2011). 상하이 여배우 롼링위의 신여성 - 되기. 현대영화연구 11권0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