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활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
1.1. 활음화
활음화는 활음인 'j'와 'w'가 다른 모음과 결합하여 새로운 음절을 형성하는 현상이다. 'j'화와 'w'화로 구분되는데, 'j'화는 전설모음과 결합하여 이중 모음을 만들고, 'w'화는 원순 모음과 결합하여 이중 모음을 만든다.
'j'화의 대표적인 예로는 '마-+-시-+=오'가 '마쇼'로 활음화되는 경우와 '더디-+-어'가 '더뎌'로 활음화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처럼 'j'는 모음 '이'가 약화된 것으로 간주된다.
'w'화의 경우 '맞추-+-어'가 '맞춰'로 활음화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w'는 모음 '오, 우'가 약화된 것으로 간주된다.
활음화가 일어나는 이유는 이중 모음이 활음과 단모음 또는 단모음과 활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단모음은 조음 시 조음 기관의 변화가 없는 소리이지만, 이중 모음은 조음 시 조음 기관의 변화가 생기는 소리이다. 활음은 이러한 이중 모음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활음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1.2. 활음 탈락
활음 탈락은 j나 w 발음이 완전히 탈락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평소 자주 사용되지만 어떤 모음의 한 종류가 탈락된다는 느낌이 크게 들지 않는 경우를 살펴볼 수 있다. 활음 탈락에는 j탈락과 w탈락이 있다.
j탈락의 경우, '다지-+-어'가 '다져'로 j가 탈락할 수 있다. 또한 평소 많이 쓰이는 '안녕하세요'도 j탈락으로 인한 활음화가 일어난 경우이다. '안녕하-+-시-+-에요'가 '안녕하시에요'에서 활음화되어 '안녕하셰요'가 되었고, 여기서 j가 탈락하여 '안녕하세요'가 된 것이다. '금새' 또한 마찬가지로 '금시+에'가 '금시에'에서 활음화되어 '금세'가 된 뒤 j가 탈락하여 '금새'가 된 경우이다. '영향을 미쳐'의 경우도 '미치-+-어'가 '미치어'가 되었다가 j가 탈락하여 '미쳐'가 된 것이다.
w탈락의 경우를 살펴보면, '과자'에서 w이 탈락하면 '가자'가 되고, '놓-+-아'가 '놓아'에서 활음화되어 '놔'가 되었다가 w이 탈락하여 '나'가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가자'와 '나'는 발음상으로만 가능한 표현이며 표기상으로는 오류가 된다.
이처럼 활음 탈락은 일상적인 언어 사용에서 자주 일어나는 음운 현상이지만, 그 과정에서 발음과 표기의 차이가 발생하여 주의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활음 탈락을 통해 한국어의 유동적이고 역동적인 음운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1.3. 활음 첨가
활음 첨가는 j가 첨가되거나 w가 첨가되는 경우를 말한다"". j 첨가는 주로 선행 음절이 전설모음인 경우에 일어나는데, '어서 오십시오'의 경우 '오십-+-시-+-오'가 '오십쇼'로 활음화가 가능하지만, j가 첨가되어 '오십시요'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아니-+-오'의 경우에도 '아니오'가 '아니요'로 j가 첨가되어 발음되기도 한다"".
w 첨가는 선행 음절이 원순 모음인 경우에 일어나는데, '놀아줘'의 경우 '놀-+-아 줘'가 [노라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