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김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백범 김구와 경찰
1.1. 경찰의 날을 변경하자?
1.2. 백범 김구와 충남 공주 마곡사
1.3. 백범 김구와 경찰의 날
1.4. 백범 김구와 초대 임시정부 경무국장
1.5.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기 경찰제도
1.6. 임시정부 경무국의 경찰활동
2. 백범 김구의 일생
3. 백범 김구의 리더십
4. 백범 김구 일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백범 김구와 경찰
1.1. 경찰의 날을 변경하자?
경찰의 날을 변경하자"
강창일 의원은 현재 경찰의 날인 10월 21일은 한국 정부 수립 전인 1945년 미군정 시기에 경무국이 창설된 날을 기준으로 삼고 있어 대한민국의 독립성을 경찰 스스로 부정하는 셈이라며, 경찰의 날을 11월 5일로 변경하는 내용의 경찰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강 의원은 "한국 경찰의 효시는 1919년 11월 5일 임시정부가 임시관제를 선포하면서 내무국에 경무국을 두고 경무국장 산하에 경호부장과 경호원을 둔 것이 효시"라며, "경찰의 날을 이날로 변경하는 것이 임시정부의 법통을 잇는다고 명시된 헌법정신은 물론 식민잔재 청산의미에 부합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현행 경찰의 날이 미군정 시기에 경무국이 창설된 날을 기준으로 삼고 있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역사와 법통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경찰의 날을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절인 1919년 11월 5일로 변경하는 것이 헌법정신과 식민잔재 청산의 의미를 담아내기에 더 적합하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경찰 조직의 역사적 정통성과 독립운동의 의의를 드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 백범 김구와 충남 공주 마곡사
백범 김구와 충남 공주 마곡사는 깊은 인연이 있다. 마곡사는 백범 김구 선생이 애송하던 시 "답설야중거 불수호난행 금일아행적 수작후인정"을 직접 써놓았던 곳이다. 또한 마곡사에는 백범 김구 선생이 심은 향나무와 함께 그의 사진, 관련 물품들이 전시되어 있어 그의 발자취를 엿볼 수 있다.
백범 김구 선생은 1898년 마곡사에서 출가하여 잠시 승려로 생활한 적이 있다. 당시 백범 선생은 치하포 사건 이후 붙잡혀 인천형무소에서 옥살이를 하다가 탈옥하여 마곡사에 몸을 숨겼던 것이다. 마곡사에 3일간 머무르며 자신을 찾아온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무궁화와 향나무를 한 그루씩 심었다고 한다. 이후 백범 선생은 마곡사를 떠나 다시 독립운동의 길로 나섰다.
백범 선생이 마곡사에 심은 향나무는 지금도 그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마곡사 대광보전 마당에는 "김구는 위명(僞名)이요 법명은 원종(圓宗)이다"라는 표지판과 함께 그 향나무가 자리하고 있다. 이처럼 마곡사는 백범 김구 선생의 삶과 독립운동의 발자취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장소이다.
최근에는 공주경찰서에서 마곡사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예방' 토론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이는 백범 김구 선생의 정신을 이어받아 경찰이 학생들과 소통하며 사회 문제 해결에 나선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마곡사는 백범 김구 선생과 경찰의 역사적 연관성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소라 할 수 있다.
1.3. 백범 김구와 경찰의 날
백범 김구와 경찰의 날은 깊은 관련이 있다."" 백범 김구는 중국 상해 임시정부의 경무국장을 역임하며 경찰 관련 업무를 담당했기 때문이다.
경찰의 날은 1945년 10월 21일 미군정 시기에 경무국이 창설된 날을 기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경찰의 날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경무국 창설 날인 1919년 4월 22일로 변경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 헌법이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명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
참고 자료
도진순 주해, 백범일지, 2002, 돌베게
허남오ㆍ이승주, 한국경찰제도사, 2010, 지구문화사
박배근, 경찰정신, 1984, 치안본부
한영우, 다시찾는 우리역사, 2004, 경세원
차길진, 빨치산토벌대장 차일혁의 수기, 2002, 보안기획
허남오, 너희가 포도청을 아느냐, 2001, 가람기획
연합뉴스, 대구신문 기사
최규식 의원 홈페이지, 마곡사 홈페이지
백범 김구와 초대 임시정부 경무국장
경찰청, 경찰 50년사, 1995
경찰청, 한국경찰사, 1994
백범김구기념관, 교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