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켄 로치 감독은 영국 사회가 갖고 있는 이면의 문제점을 사실주의적으로 포착하고 고발하는 여러 작품으로 명성을 쌓은 감독이다. 2016년 개봉한 영화 "나, 다니엘 블레이크"는 영국 복지 인프라의 허점을 지적하는 영화로서 호평을 받았다. 이 보고서에서는 "나, 다니엘 블레이크"를 감상한 후 제시된 소견을 통해 해당 영화와 오늘날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해 보고자 한다.
2. 영화 "나, 다니엘 블레이크"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2.1. 사회복지제도의 문제점
사회복지제도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제도는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오히려 인간의 자존심을 훼손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영화 속 다니엘은 심장 질환으로 인해 일을 할 수 없게 되었지만, 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구직활동을 해야 한다는 요구에 직면한다. 이는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건강상의 이유로 일을 할 수 없는 다니엘의 처지를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오히려 그의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침해하고 있다. 영화의 또 다른 인물인 케이티의 경우에도 가족을 먹여살리기 위해 매춘을 고려할 정도로 궁핍한 처지에 놓여있는데, 이는 사회가 그녀의 기본적 생활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 역시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사례가 종종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사회복지제도가 실질적으로 대상자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2.2.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적 배려 부족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적 배려 부족은 영화 "나, 다니엘 블레이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영화 속 주인공 다니엘 블레이크와 케이티 가족은 정부의 복지 시스템에서 충분한 보호와 지원을 받지 못하는 사례들이다.
다니엘 블레이크는 심장 질환으로 더 이상 일을 하지 못하게 되었지만, 복지 기관의 까다로운 요건과 관료주의적 태도로 인해 장애 급여를 받기 어려운 상황에 놓인다. 그는 스스로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권리를 주장하지만, 오히려 복지 시스템에 의해 무시당하고 소외된다. 케이티 가족 또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해 생계를 위협받는 상황에서 성매매까지 고려하게 되는데, 이는 취약계층에 대한 정부와 사회의 배려가 부족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영화에서는 디지털화된 복지 신청 체계로 인해 노령의 다니엘 블레이크가 온라인 신청 절차를 따르기 어려운 것이 문제로 제기된다. 이는 디지털 격차로 인한 취약계층의 소외 문제를 잘 보여준다. 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