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현대문학 작가론 이육사 광야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이육사 작가론
1.1. 서론
1.2. 작가 이육사
1.3. 대표작품
1.3.1. 광야
1.3.2. 청포도
1.3.3. 계절의 오행
1.4.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이육사 작가론
1.1. 서론
'식민지 시대 작가'라고 하면 이상하게도 이육사가 먼저 떠올랐다. 그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중·고등학교 시절 배운 그의 작품들이 마음 한 구석에 자리 잡고 있었나 보다. 이육사에 대해 배울 때는, 일본에 의해 식민지가 되어버린 조국을 위해 투쟁적이고 희생적이었던 시인으로 배웠다. 당시 많은 시인과 소설가들이 조국을 배신하고 일제에 충성을 바쳤는데, 이육사는 달랐다. 그는 온갖 고문과 협박에 시달렸지만, 끝까지 조국을 배신하지 않았다. 그런 면에서 그의 사상이나 행동이 대단하다는 것이다. 그가 조국을 위해 무슨 일을 했는지, 어떠한 사건이 있었는지, 그의 작품과 유년시절은 어떠한 지 문득 알아보고 싶었다. 그의 작품들은 유명하다. 유명한 만큼 수능이나 시험 단골 문제로 나오기도 한다. 나 역시 이육사의 시를 보고 배웠다. 그 중에서 '청포도, 광야, 절정, 꽃' 작품들은 빠지지 않고 나온다. 너무 유명해서 혹은 너무 많이 배웠기 때문에, 이 작품에 대해 더 깊게 알아보지 않아도 별 문제 없다고 생각했다면 큰 착각이다. 이 작품들을 배운 대로 말하자면, '조국독립을 위한 이육사의 굳은 의지'가 나타난다고 말했을 것이다. 물론 주제를 생각했을 때 맞는 말이다. 시를 통해 나타나는 그의 의지가 드러나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배운 대로 이육사를 평하기에는 뭔가 아쉬웠고, 그가 어떻게 무슨 생각을 가지고 저항적인 작품을 썼는지, 또 다른 면모는 없었는지 문득 궁금했다.
1.2. 작가 이육사
이육사는 1904년 5월 18일(음력 4월 4일)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원촌리 881번지에서 태어났다. 이육사는 퇴계 이황의 13대 손으로써,...
참고 자료
이육사 전집, 김용직 외, 깊은샘, 2004
김희곤, 『새로 쓰는 이육사 평전』, 지영사, 2000.
민족문학사연구소,『새 민족문학사 강좌 2』, 창비, 2009.
박호영, 「이육사의 광야에 대한 실증적 접근」,『한국시학연구』, 2001.
이육사, 『이육사의 사와 산문』, 범우사, 2003.
조창환,「이육사 시의 미적 구조와 정신적 지향」,『문예운동』, 2010.
강창민, 육사 시 연구, 연세대 박사논문, 1
김용직, 저항의 논리와 그 정신적 맥락, 한국현대 시사연구, 일지사,
이동영, 이육사의 독립운동과 생애, 나라사랑,
심원섭, 이육사 전집, 서울:집문당, 1986.
조영식, 이육사의 시와 그 역사인식 연구, 석사학위 논문,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