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망간법 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1.1. COD의 정의와 중요성
1.2. COD와 BOD의 비교
1.3. COD 측정 방법
1.3.1. 과망간산칼륨법
1.3.2. 중크롬산칼륨법
1.4. 망간법을 이용한 COD 측정
1.4.1. 실험원리
1.4.2. 역적정 방법
1.4.3. 황산은 첨가의 이유
1.5. COD 측정 실험
1.5.1. 실험 방법
1.5.2. 실험 결과 및 분석
1.5.3. 실험 고찰
1.6. 하천 및 호소의 COD 기준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1.1. COD의 정의와 중요성
COD는 화학적 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의 약자로, 수중에 존재하는 유기물질을 화학적으로 산화시킬 때 소모되는 산소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값이다. 이는 수질오염의 정도를 측정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이다.
COD는 수중의 유기물 함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산화제(주로 과망간산칼륨이나 중크롬산칼륨)를 이용하여 유기물질을 산화시킨 후 소비된 산소량을 계산하여 나타낸다. 이를 통해 수중 유기물의 오염 정도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COD 값은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과 비교하여 해당 수계의 수질을 판단하는데 활용된다.
COD 측정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COD는 수질 관리의 핵심 지표로써 수질오염의 정도를 나타내어 수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둘째, COD는 BOD와 함께 공장폐수, 하수 등의 유기물 오염도를 평가하는데 널리 이용된다. 특히 독성물질이 많은 공장폐수의 경우 BOD 측정이 어려워 COD 측정이 유용하다. 셋째, COD는 측정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 단기간에 수질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COD는 유기물의 총량을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어 수질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된다.
따라서 COD는 수중 유기물 오염도를 측정하고 수질을 관리하는데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2. COD와 BOD의 비교
COD와 BOD의 비교는 다음과 같다.
COD는 수중의 유기물 함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질오염의 지표이다. 화학적으로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데 필요한 산소의 양을 의미한다. COD 측정 시 산화제로 중크롬산칼륨(K2Cr2O7)이나 과망간산칼륨(KMnO4)을 사용한다. COD는 생물학적으로 산화될 수 있는 유기물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분해가 불가능한 물질까지 강제적으로 산화가 가능하므로, 일반적으로 COD값이 BOD값보다 크게 나타난다. 또한 COD는 최소 5일이 소요되는 BOD 측정과 달리 약 3시간 내에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BOD는 호흡에 의한 유기물의 산소소비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유기물을 생물학적으로 산화시키는데 필요한 산소의 양을 의미한다. BOD 측정을 위해서는 일정 기간 동안 시료에 담지된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는데 필요한 산소량을 측정한다. 따라서 BOD는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유기물만을 대상으로 한다.
공장폐수 등 독성물질이 많이 포함된 시료의 경우 BOD 측정이 어려워 COD를 측정하게 된다. 또한 BOD 측정에 5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반면 COD 측정은 약 3시간 정도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종합하면, COD는 수중의 유기물 함량을 화학적으로 산화시켜 측정하는 지표이고, BOD는 유기물을 생물학적으로 분해하는데 필요한 산소량을 측정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두 지표 모두 수질오염 정도를 파악하는데 활용되고 있으나, 각각의 특성에 따라 적용 대상이 다르다고 볼 수 있다.
1.3. COD 측정 방법
1.3.1. 과망간산칼륨법
과망간산칼륨법은 수중의 유기물 함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측정 방법 중 하...
참고 자료
환경화학및실험1, 화학적 산소요구량 프린트, 2021.04.21.
수질오염공정시험법, 환경부 고시 제2017-4호 (국립환경연구원) 241-246p
김덕찬 외 3인, 『환경화학』, 동화기술, 2005. 618-628p
안승구 외 공저, 『최신 환경화학』, 초판, 동화기술, 2001
Sawyer, “Chemistry for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 science” 2th ed, 2000
환경화학, 김덕찬 외 2명, 동화기술, 서울, p.578~579, 2000
폐수처리공학, 김동민 외 8명, 동화기술, 서울, p.48, 2001
환경부 홈페이지, 부서마당 → 수질보전국 → 수질정책과 → 수질환경기준
Clair Sawyer, Perry McCarty, Gene Parkin, 『환경화학』, 김덕찬, 배재호, 문경환 공역, 제 5판; 파주: 동화기술, 2005
http://water.nier.go.kr/publicFront/easyWater/policy/easyPolicy01.jsp?menuIdx=1_4_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25960&categoryId=42361&cid=42361&tkFrom=tlist&tkListId=138416&tkTocId=206404&tkSort=
환경화학 및 실험 프린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