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신간호학 치료적 의사소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드라마 "괜찮아 사랑이야"
1.1. 등장인물
1.2. "괜찮아 사랑이야" 줄거리
1.3. 작품 선정 이유
2. 문헌 고찰
2.1. 범불안장애
2.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2.3. 강박장애
3. 치료적 의사소통
3.1. 말문을 열게 하기
3.2. 초점 맞추기
3.3. 현실감 제공하기
3.4. 해석하기
3.5. 직면하기
3.6. 재진술하기
3.7. 개방적 질문하기
3.8. 관찰한 바를 말하기
3.9. 정보제공하기
3.10. 명료화하기
4.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10가지 적용
5. 출처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드라마 "괜찮아 사랑이야"
1.1. 등장인물
장재열 - 침대에서 자지 못하고, 색깔에 집착하는 강박증을 가진 인물이다. 또한 그는 조현병 증상을 보이며, 환각을 경험한다.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학대를 받으며 자랐고, 집에 불이 나 아버지의 죽음에 관한 진실을 모르고 살아가고 있다.
박수광 - 뚜렛증후군을 앓고 있는 인물이다.
지해수 - 어머니가 다른 남자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는 것을 목격한 후 스킨십에 대한 거부감이 생긴 PTSD와 불안장애를 가진 인물이다.
오소녀 - 품행장애를 가진 인물이다.
조동민 - 정신과 개업의 역할을 수행하는 인물이다.
한강우 - 장재열이 보는 환각으로, 자신의 어린 시절 모습을 나타낸다.
1.2. "괜찮아 사랑이야" 줄거리
장재열은 어릴 적 아버지로부터 학대를 당하며 자랐고 집에 불이 나 사라져버린 기억 속에 아버지의 죽음에 관한 진실을 모른 채 살고 있다. 학대의 기억과 어린 시절 상처들로 인해 화장실에서만 잠을 이룰 수 있다. 어릴 적 아버지를 피해 달아났을 때 화장실이 가장 안전한 장소였기 때문이다.
장재열은 환각을 본다. 한강우는 장재열이 보는 환각이다. 자신의 어린 시절 모습이 자꾸만 보이는데 문제는 장재열은 한강우가 환각인 것을 모르고 실제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처음 한강우는 스타작가인 장재열의 팬으로 등장하는데 작가지망생이라며 자기가 쓴 글을 봐달라고 한다. 그리고 그 글 내용이 어린 시절 장재열에게 있었던 일들이다.
지혜수는 어릴 적 어머니가 아픈 아버지를 두고 돈 많은 아저씨의 애인으로 살며 돈을 벌어 생계를 유지했다는 생각을 한다. 돈 많은 아저씨와 엄마의 부적절한 관계를 목격함으로 인해 스킨십에 대한 심한 거부감이 있다.
1.3. 작품 선정 이유
이 드라마를 선정한 이유는 정신병 있는 사람들을 크게 다루지 않았다는 점이 인상 깊었기 때문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정신병원에 다닌다고 하면 다른 눈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지만, 이 드라마에서는 "우리는 모두 때로는 미치면서 살아가잖니"라는 대사를 통해 누구나 마음의 병을 가지고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드라마 초반에는 주인공 장재열이 예민하고 강박적인 부분이 있긴 하지만 전혀 문제가 없어 보이는 평범한 사람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점차 그가 겪었던 어린 시절의 상처와 가정환경으로 인한 정신적 문제가 드러나게 된다. 이는 현대인들의 모습과 유사하다고 여겨져 작품 선정의 이유가 되었다.
또한 지혜수가 "나 미쳤나봐"라며 자신을 자책하자 오소녀가 "우리는 모두 때로는 미치면서 살아가잖니"라고 말하는 장면은 인상 깊었다. 이를 통해 우리가 힘들어하거나 이겨내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때로는 미친 듯이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2. 문헌 고찰
2.1. 범불안장애
범불안장애는 지속적이고 과도한 걱정과 불안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범불안장애의 발병은 잠행성이며, 많은 환자가 만성적인 걱정을 호소한다. 범불안장애는 모든 연령의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며, 특히 20세 이하에서 발병이 흔한 것으로 나타난다. 범불안장애 환자는 직장, 가정의 재정, 가족구성원의 건강 또는 가정의 사소한 일이나 약속에 늦는 것과 같은 간단한 일에 대해 지속적으로 염려한다. 이러한 걱정의 강도가 계속 변화하며 스트레스는 걱정과 불안 증상을 더 심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범불안장애 환자는 불쾌한 기분과 같은 경한 우울증상을 나타내기도 하며, 신체적 불평이 많고 근육통, 통증, 위장 불쾌감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체증상을 호소한다. 이처럼 범불안장애는 일상생활의 기능을 손상시키고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는 질환이다.
2.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죽음, 심각한 손상이나 성폭력과 같은 실제의 또는 위협받는 외상사건에 노출한 후 발생한다. 외상...
참고 자료
박현숙 외 공저,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2016년, P.368, P.382, P.357
임수빈 외 공저,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2017년, P.189-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