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에멀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계면활성제와 에멀젼
1.1. 계면활성제
1.1.1. 정의
1.1.2. 종류
1.2. 마이셀과 역마이셀
1.2.1. 마이셀의 정의와 특징
1.2.2. 역마이셀의 형성
1.3. 에멀젼
1.3.1. 정의
1.3.2. 종류 (O/W, W/O)
1.4. 표면장력
1.5. 혼탁도
1.6. 빛의 산란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계면활성제와 에멀젼
1.1. 계면활성제
1.1.1. 정의
계면활성제의 정의는 섞이지 않는 물질이 같이 있을 때 양쪽에 다 잘 녹아 한 쪽의 표면장력을 낮춰 계면의 경계를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또한 계면에서 두 물질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이끄는 촉매의 역할을 하는 성분을 말한다. 즉, 계면활성제는 한 분자 안에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물과 기름과 같은 서로 섞이지 않는 물질들의 경계면에 흡착되어 이들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키는 물질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1.2. 종류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나뉜다.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다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분된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이 원자단인 계면활성제로, 강한 살균력을 가지고 정전기를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친유기성 부분이 해리되며 세정력이 우수하다. 또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성기와 음이온성기를 동시에 가지고 있어 향균성을 가지고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온으로 해리하지 않는 것을 말하며, 다른 종류의 계면활성제들과 비교하면 피부에 닿을 때 자극이 가장 적다. 또한 세포내 효소와 세포벽 부착효소를 분비시키는 효과가 높아 반추위 미생물들의 효소 분비를 촉진시키는 특징이 있다.
이처럼 계면활성제는 이온성과 비이온성으로 크게 나뉘며,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다시 양이온성, 음이온성, 양쪽성으로 세분화된다. 각 종류별로 고유한 특성과 용도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1.2. 마이셀과 역마이셀
1.2.1. 마이셀의 정의와 특징
마이셀의 정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마이셀은 고분자 물질과 같은 비결정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미소 결정입자를 말한다. 특정 분자나 이온들이 자발적으로 자가군집을 통해 콜로이드 크기 입자 클러스터를 형성할 때 이 클러스터를 마이셀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모두 가지고 있는 분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마이셀 구조...
참고 자료
대한화학회, 표준일반화학실험 제 7개정판, 천문각, 2011, pp298~304
중성자 소각 산란을 이용한 미셀의 구조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es of micelles in aqueous solutions by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김화중,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p.4
Pearson, Chemistry, The Central Science, 14th Edition (2018) Theodore E. Brown et al., p348
경상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박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반추위 미생물 효소 분비 촉진제의 개발 및 산업화 연구,2007, 이신자, p.7
대한 화학회, 표준일반화학실험 제 7판, 천문각, 2011, p298-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