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화학설비 사고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위험물질 관리와 산업안전
1.1. 위험물질 관리
1.1.1. 위험물질의 종류와 특성
1.1.2. 위험물질 누출 사고 사례
1.1.3. 위험물질 사고의 문제점
1.1.4. 위험물질 관리 및 사고 예방 방안
1.2. 산업 현장의 안전
1.2.1.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현황 및 문제점
1.2.2. 산업안전보건법의 발전과 주요 내용
1.2.3. 기계기구의 안전 관리 기준
1.2.4. 화학물질의 위험성 분류와 안전 대책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위험물질 관리와 산업안전
1.1. 위험물질 관리
1.1.1. 위험물질의 종류와 특성
위험물질의 종류와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폭발성 물질이다. 이는 화학적 불안정으로 인해 압력 및 열, 충격 등의 요인에 의해 쉽게 폭발할 수 있는 물질이다. 대표적인 폭발성 물질로는 다이나마이트, TNT, 니트로글리세린 등이 있다. 이러한 폭발성 물질은 취급 및 운반, 저장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둘째, 인화성 물질이다. 이는 공기 중에서 발화되거나 연소할 수 있는 물질로, 액체, 기체, 고체 형태로 존재한다. 대표적인 인화성 물질로는 가솔린, 등유, 메탄, 프로판 등이 있다. 이러한 인화성 물질은 화재 및 폭발의 위험이 있어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반응성 물질이다. 이는 다른 물질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폭발, 화재, 유독가스 발생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물질이다. 대표적인 반응성 물질로는 염소, 과산화수소, 알칼리금속 등이 있다. 이러한 반응성 물질은 섞이거나 접촉되지 않도록 엄격히 관리해야 한다.
넷째, 방사성 물질이다. 이는 자연방사선 또는 인공방사선을 방출하는 물질로, 생물체에 해롭고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대표적인 방사성 물질로는 우라늄, 플루토늄, 라듐 등이 있다. 이러한 방사성 물질은 엄격한 관리와 취급 절차가 필요하다.
다섯째, 독성 물질이다. 이는 인체에 유해하거나 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물질이다. 대표적인 독성 물질로는 페놀, 벤젠, 카드뮴, 수은 등이 있다. 이러한 독성 물질은 누출 시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어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위험물질은 그 특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각 엄격한 관리와 주의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위험물질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산업현장을 유지할 수 있다.
1.1.2. 위험물질 누출 사고 사례
최근 5년 이내 위험물로 인한 사고사례 조사: 염소가스 누출사고
염소가스는 여러 산업부문에서 사용되는 대단히 빈번한 화학물질이다. 2021년 5월 16일 전남 여수시 LG화학공장에서 염소가스 누출사고가 발생했다. 가스 감지기의 작동으로 염소 누출을 파악했고 즉시 대응하여 인명피해는 없었다. 그러나 이 공장은 같은 해 4월 30일에도 염소유출 사고가 발생했으며, 사고 보름 만에 동일한 사고가 반복되었다.
이러한 염소누출사고는 화학공장에서 꽤 빈번하게 발생하는 위험물 유출사고라고 할 수 있다. 2018년 5월 17일 울산의 한화케미칼에서 염소누출사고가 발생했는데, 탱크로리에 담긴 염소가스를 저장탱크로 옮기는 과정에서 배관이 파손되어 염소가 누출된 것이다. 이 당시 사고로 직접 가스를 흡입한 직원과 간접노출된 직원 19명이 병원치료를 받았다. 부상자들은 눈에 따갑고 악취가 매우 심하며, 호흡곤란, 메스꺼움,...
참고 자료
이재욱, 『위험물질론』, 화수목, 2018.
허광무, 「울산 한화케미칼서 염소가스 누출…피해 커져 19명 부상(종합2보)」, 연합뉴스, 2018.05.17.
심경택, 「여수산단 화학공장 염소가스 누출인명, 피해 없어」, 아시아경제, 2021.05.17.
박순기, 「구미케미칼서 염소가스 누출…경증환자 26명 발생(종합3보)」, 연합뉴스, 2019.07.10.
이승현, 산업인 뉴스, [해외전문가기고] 효율적 내부감사가 중대재해사고 예방한다 뉴스 기사 참고, https://www.sanupin-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1132
산업안전, 방송대 출판문화원
마이뉴스레터 2020.06.01 '2019 산업재해발생현황 평가’
월간 노동법률 2017.6 월간 노동법률 저 | (주)중앙경제 | 2017.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