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개요
1.1. 사업의 배경 및 필요성
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신혼부부들의 평균 결혼비용은 총 2억4,996만원으로 집계됐으며 이 가운데 남성은 1억5,598만원, 여성은 9,398만원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항목별로는 주택 마련에 전체 비용의 절반을 웃도는 1억8,028만원이 들었다. 특히 응답자들의 연소득이 2,000만원 미만에서 5,000만원 이상으로 상당한 격차가 있음에도 소득별 평균값은 1억5,800만원에 최대 2억1,500만원에 달해 집값이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현실을 여실히 드러냈다. 그 밖에 지출이 많은 항목은 예물(1,670만원), 예식장(1,594만원), 예단(1,555만원), 혼수용품(1,411만원), 허니문(441만원) 순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결혼을 하기위해 빚을 지는 일이 발생하게 되었고 '웨딩 푸어' 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이에 따라 고착된 결혼 절차를 허례허식이라 생각하며 '실용주의 웨딩' 을 추구하는 젊은 층이 늘어나게 되었다. 대학 졸업 후에는 취업난에 시달리고, 결혼 후에는 하우스 푸어로 고통 받는 요즘 세대의 현실이 웨딩에서 거품을 빼려는 시도로 이어졌다. 또한 요즘 젊은 층은 이전 세대에 비해 남에 시선을 덜 의식하고 개인의 가치를 추구하면서 실속 있는 소비를 원하는 경향이 있기에 이러한 배경에서 '스몰 웨딩' 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1.2. 사업 개요 및 목표
본 사업은 결혼을 앞두고 있는 예비 신혼부부들을 대상으로 스몰 웨딩(Small Wedd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근 젊은층을 중심으로 결혼 비용 절감과 개성 있는 결혼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몰 웨딩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사업은 기존의 획일적이고 고비용의 웨딩 문화에서 벗어나, 저렴하고 독특한 결혼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꽃가게와 야외 가든 웨딩 공간을 결합한 "스몰 플라워샵 웨딩홀"을 창업하여, 소규모의 가족과 지인들만이 참석하는 저렴하면서도 개성 있는 결혼식을 개최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단기적으로는 스몰 웨딩 수요를 창출하고, 장기적으로는 본 사업체에서 결혼한 고객들이 결혼 이후 꽃 주문 등의 의뢰를 해올 것을 기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서로 Win-Win 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2. 사업 분석
2.1. 시장 현황 분석
2.1.1. 웨딩 시장 동향
웨딩 시장 동향은 다음과 같다.
전국 예식장 사업체 수는 945개이며, 전국 예식장 사업 종사자 수는 15,836명이다. 이 중 규모별로는 1-4명 직원 업체가 303개, 5-9명 업체가 228개, 10-19명 업체가 158개, 20-49명 업체가 178개, 50-99명 업체가 70개, 100-299명 업체가 8개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예식장 산업이 중소기업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최근 대기업들도 예식장 사업에 진출하고 있는데, CJ푸드빌,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아워홈, 풀무원EMCD, 삼성웰스토리 등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대기업의 예식장 사업 진출이 늘어나며 예식장 업계의 경쟁이 점차 심화되고 있다.
또한 최근 정부에서 중소기업적합 업종으로 예식장업을 선정하여, 거대기업이 예식장업을 독식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기업이 예식장업에 뛰어들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총괄하면, 전국적으로 약 1,000여개의 예식장 사업체가 운영 중이며, 이들은 주로 중소기업 규모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대기업들의 예식장 사업 진출이 늘어나면서 예식장 업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의 중소기업적합 업종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