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어형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신조어의 정의와 특징
1.2. 기존 신조어 연구 동향
2. 코로나 시대 신조어
2.1. 코로나 시대 신조어 수집 방법
2.2. 코로나 시대 신조어 분석
3. 신조어 형성 원리 분석
3.1. 기존 신조어 형성 원리 분류법 고찰
3.2. 새로운 신조어 형성 원리 분류법 제시
4. 파생어 형성 규칙의 제약과 단일어화
4.1. 파생어의 개념
4.2. 파생어 형성 규칙의 제약
4.3. 파생어 형성과 단일어화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신조어의 정의와 특징
신조어(新造語)는 고유어나 외래어 등 기존 언어를 새롭게 조합하여 만든 말이나 기존 어휘의 일부를 자라내어 형태를 변화시켜 만든 말을 의미한다"" 신조어는 새로운 말이라는 뜻의 신어(新語)와 혼용되기도 하는데, 신어는 신조어보다 큰 범위를 가진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신어를 만들 때는 기존의 단어 도움 없이 완전히 새로운 단어를 창조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기존의 단어를 바탕으로 이차 어휘를 생성하는데, 이렇게 기존 단어를 바탕으로 생성된 이차 어휘들을 신조어라고 칭한다""
1.2. 기존 신조어 연구 동향
기존 신조어 연구 동향은 다음과 같다"
신조어(新造語)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신조어의 조어 방식에 따라 신조어를 분류하였다. 대체로 신어(新語)를 '단일어-복합어', '복합어: 합성어-파생어-혼성어-축약어'와 같이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김광해(1933)에서는 신어를 '전적으로 새로운 어형을 창조하는 경우', '계획조어로 만들어진 고유어', '외래어 차용', '기존 단어의 복합어', '의미가 바뀌는 경우'로 분류하였다. 문금현(1999)에서는 기존의 단어에 바탕을 둔 방식인 '체계적인 방식', 기존 단어를 그대로 활용하는 방식인 '재활용의 방식', 기존 단어의 도움 없이 생성하는 방식인 '산발적인 방식'으로 나누었다. 김용선(2010)에서는 단어 형성에는 '형태적 기제(규칙, 유추, 절단)'와 '의미적 기제(은유, 환유)'가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단어 형성 방법으로 '형태 조작(창조, 부가, 축소), 의미 조작(은유, 환유)'을 제시하였다. 안주현(2020)은 앞서 설명한 문금현(1999)의 방식을 수정하여 기존 형식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 '차용어'를 포함시키고, 이분법적 체계로 바꾸었다.
이처럼 기존 신조어 연구는 주로 신조어의 조어 방식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고 볼 수 있다.
2. 코로나 시대 신조어
2.1. 코로나 시대 신조어 수집 방법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을 통해서 코로나 관련 신조어를 수집하였다""
첫 번째는 설문 조사로, 구글 폼(google form)을 통해서 익명으로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에서는 마기꾼, 코스크, 턱스크, 확찐자, 텔술, 집관, 코로나 블루, 마해자, 코로롱, 슈퍼면역자, 방역패스, 역마기꾼, 언택드, 야로나, 사회적 거리두기, 온택트, 이 시국, 방술, 코시국, 코캉스, 산스장, K-방역(케이방역) 등이 수집되었다""
두 번째는 각종 문헌과 인터넷 조사를 통해서 앞서 진행했던 설문 조사에서 부족했던 어휘 수집 정도를 보충하였다"" 문헌과 인터넷 조사에서는 COVID19, 코파라치, 상상코로나, 코로나케이션, 스테이케이션, 코로나 학번, 코로나 세대, 포스트 코로나, 작아격리, 돌밥돌밥...
참고 자료
강현석 외 9명. (2014).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 글로벌콘텐츠.
백선주. (2021). 코로나 시대 신조어의 형태론적 분석: 외래어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2(6), 963-973.
이승재. (2021). Covid-19 관련 신조어와 사회문화적 관계에 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29(4), 65-81.
장경현. (2011). 신조어 연어의 형성 원리, 인문논총, 66, 269-297.
전명미, 최동주. (2007). 신어의 단어 형성법 연구 -2002, 2003, 2004 신어를 대상으로 -. 한민족어문학, 50(0), 37-70.
오동섭. (2021). 코로나19 시대를 읽는 10가지 키워드, 54, 41-70.
김보현. (2020). 신조어를 활용한 한국어 단어 형성법 교육 내용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20(0), 204-220.
문금현. (1999). 현대국어 신어(新語)의 유형 분류 및 생성 원리. 국어학(國語學), 33(0), 295-325.
안주현. (2020). 신어 형성의 음운론적 특성 연구 -2002~2018년 신어를 대상으로-. 어 문론총, 84(0), 9-34.
이수진, 강현아, 남길임. (2020). 코로나19 신어의 수집과 사용 양상 연구 -주제 특정적 신어의 수집과 사용에 대한 고찰-. 한국사전학, 36, 136-171.
한국어 문법 총론 1 구본관 외 4 집문당
한국어표준문법 유현경 외 9인 집문당
한국어문법 배주채 신구문화사
한국어문법론 강의안 중앙사이버평생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