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 발목골절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골절에 대한 이해
2.1. 정의
2.2. 원인
2.3. 증상
2.4. 진단
2.5. 치료 및 간호
3. 아동 간호사례
3.1. 간호사정
3.1.1. 일반적 사항
3.1.2. 과거력
3.1.3. 현재 건강문제
3.1.4. 신체사정
3.1.5. 진단적 검사
3.1.6. 약물
3.1.7. 통증 사정
3.1.8. 낙상위험사정
3.2. 간호진단 및 계획
3.2.1.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3.2.2. 말초신경혈관 기능장애 위험성
3.2.3. 석고붕대 적용에 관련된 불안
3.3. 간호수행 및 평가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근골격계의 외상은 소아, 아동들이 응급실을 내원하는 가장 흔한 원인 중에 하나이다. 국내에서는 현재 연간 약 100만명의 15세 이하 소아가 근골격계 외상으로 응급실을 방문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유병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소아는 성인과 달리 성장판이 존재하여, 골절 시 성장판이 망가지면 길이 성장이나 팔다리의 변형등 뼈 성장 장애의 합병증으로 발전될 수 있다. 또한, 소아의 골격계는 성인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성인과 동일한 부위에 골절이 발생해도 골절의 양상이나 치료과정, 예후등이 크게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번 아동 병동 실습을 통해 환아에게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에 대한 복합적인 지식을 배양하고 수행하도록 격려하는등 간호대학생의 역할을 수행하고, 본 간호대학생이 지난 실습을 통한 사례연구로 얻은 지식을 활용하여 환아에게 수행 가능한 간호 행위를 계획, 수행함으로써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이 케이스를 진행하였다.
2. 골절에 대한 이해
2.1. 정의
전완에 있는 요골과 척골이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하며, 대개의 경우 외부의 힘에 의하여 발생한다. 뼈의 주변에 있는 연부 조직이나 장기들의 손상도 흔히 동반된다. 골절편의 수에 따라 단순골절과 분쇄골절로 나눌 수 있다. 단순골절은 한 개의 골절선에 의해 두 개의 골절편이 생기는 경우이며, 분쇄골절은 두 개 이상의 골전선에 의해 세 개 이상의 골절편이 발생하는 것이다.
2.2. 원인
대개의 경우 뼈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외상 후에 발생하게 된다. 직접적인 외상에 의한 골절은 작용한 외력의 크기나 외력이 작용된 뼈의 범위에 따라 조금씩 다르며 교통사고, 타박, 총상 등이 원인이 된다. 손을 짚고 넘어지면 대개 체중의 2~10배 정도의 힘이 전완에 가해진다. 이 경우 넘어질 때 전완에 가해지는 힘이 더욱 크기 때문에 골절 정도가 더욱 심해진다. 요즘에는 인라인스케이트나 스노우보드, 스키를 타는 젊은 사람에게도 흔히 발생한다. 간접적인 외상에 의한 골절은 뼈에 붙은 근육이나 인대가 갑작스럽게 힘이 가해지면서 뼈를 잡아당겨 골절이 생기거나 뼈에 회전력 등이 가해져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등을 말한다. 병적 골절은 골다공증, 종양, 감염 등으로 약해진 부위에 정상적인 뼈에서는 골절을 유발하기에 약한 힘에 의해 일어난 골절을 말한다. 피로골절은 뼈의 일정한 부위에 반복되는 스트레스가 가해질 때 점차적으로 생긴 골절을 말하며, 군인이나 전문적인 운동 선수들에게서 장거리 행군이나 반복된 훈련 후 발생하곤 한다.
2.3. 증상
골절에는 신체검진을 통해 다음과 같은 임상증상을 확인할 수 있다.""
통증 및 압통 - 통증은 주변조직의 손상 및 골절 부위의 중첩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고 그 강도는 대상자에 따라 다르며 기저손상에 의하여 압통이 발생한다.""
기능 상실 - 골절로 인한 심한 통증 및 지렛대 역할 상실로 인하여 발생한다.""
부종 - 골절부위의 장액 축적과 주변 조직의 혈액 유출로 인하여 발생한다.""
점상 출혈 - 골절로 인한 환부의 피하출혈로 인하여 발생한다.""
마찰음 - 골절된 양측 뼈의 마찰로 인하여 마찰음이 발생한다.""
골절부위의 기형 - 출혈로 인한 부종 및 근육의 경련으로 인한 환부의 길이 또는 각도 변화로 인하여 발생한다.""
근육 경련 - 골절로 인해 신경이 손상되어 감각 손상이 동반되며 골절부 골편이 서로 겹쳤을때 환부의 불수의적인 수축으로 인해 발생한다.""
2.4. 진단
골절의 진단은 아동의 징후와 증상, 과거병력, 신체검진, 방사선 검사에 근거하여 내려진다. 나이가 어린 아동의 경우 과거 외상 경력을 알기가 힘든 경우가 종종 있다. 부모가 있다면 이런 정보를 주는 것이 가능하지만, 가장 좋은 정보제공자는 외상을 목격한 사람이다.
방사선 검사는 골절의 발생유무와 골절의 유형을 판단하는 데 가장 믿을 만한 방법이다. 단순 방사선 사진(X-ray)을 촬영하며, 필요 시 컴퓨터 단층 촬영(CT) 등의 특수 검사를 시행한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다친 부위 뿐만 아니라 다치지 않은 반대편 부위도 함께 촬영하여 비교한다.
단순 방사선 검사(X-ray)는 골절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검사이다. 골절 형태를 정확히 알기 위해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며, 손상 부위의 위아래의 관절을 함께 촬영하여 동반 손상 여부를 확인한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정상인과의 비교가 중요하다.
컴퓨터 단층 촬영(CT) 검사는 단순 방사선 사진으로는 골절 진단이 애매하거나 골절의 형태를 명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에 시행한다. 인체의 횡단면을 촬영할 수 있으며, 3차원 입체 컴퓨터 단층 촬영(3D-CT)은 골절을 직접 눈으로 보는 것과 같은 3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어 골절의 진단과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준다.
이처럼 골절의 진단은 병력 조사, 신체 검진, 방사선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가의 판단이 필수적이다.
2.5. 치료 및 간호
대부분의 아동골절은 수술 없이 치료될 수 있다. 치료의 목표는 뼈의 치유능력을 향상시키고, 뼈의 기능과 형태를 회복하여 아동이 가능한 빨리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뼈가 유합되려면 뼈의 파편이 해부학적 위치에 가깝게 근접하여 정렬되어 있어야 하고, 치료되는 동안에는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페쇄형 정복과 석고붕대가 일반적인 치료방법이다. 폐쇄형 ...
참고 자료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약학정보원 – https://www.health.kr/main.asp
드럭인포-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질병관리청 표준예방접종일정표(2021)
성인간호학II 퍼시픽북스. 2019. 박순옥 외 10명 p.407~409
아동청소년간호학II 수문사. 2018. 김희순 외 p,476
성인간호학II 퍼시픽북스. 2019. 박순옥 외 10명 p.409
아동청소년간호학II 수문사. 2018. 김희순 외 p,479~480
아동간호학 국가고시대비 요약집. 퍼시픽북스. 2017. p.195~196
아동청소년간호학II 수문사. 2018. 김희순 외 p,481
아동청소년간호학II 수문사. 2018. 김희순 외 p,484
성인간호학II 퍼시픽북스. 2019. 박순옥 외 10명 p.413~419
네이버지식백과, 골절, 2022.07.26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122&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지식백과, 골절, 2022.07.26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07666&cid=51004&categoryId=51004
네이버지식백과, 골절, 2022.07.26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98197&cid=44416&categoryId=44416
오스게이트 정, 약학정보원, 2022.07.26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8120700001
오파스트 정, 약학정보원, 2022.07.26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1033000006
메디아벤엘정, 약학정보원, 2022.07.26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6012600024
손페리정, 약학정보원, 2022.07.26
https://www.health.kr/searchIdentity/result.asp?didx=32362
위더스페낙정, 약학정보원, 2022.07.26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2710
파지돈주, 약학정보원, 2022.07.26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0206
위너프페리주(1085mL), 지식백과, 2022.07.28.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30616&cid=51000&categoryId=51000
나제론주, 약학정보원, 2022.07.28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1110100005
하원디클로페낙베타주, 약학정보원, 2022.07.28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4101600001
김영혜 외(2019), 아동간호학,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