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미국 군대의 한국 내 병사 COVID-19 검사 요청
1.1. 한국 연구소에서 미군 72명 양성 판정
한국 연구소에서 미군 72명에 대해 COVID-19 양성 판정을 내렸다. 평택의 험프리 부대 내 미국 병원이 임상 샘플을 위 연구소에 전달했고, 관련 법에 의해 경기도 평택시와 결과를 공유했다. 그러나 주한미군은 해당 72명의 확진자들이 한국이 아닌 다른 장소에 배속되어 있던 미군이라고 밝혔다.
1.2. 미군 측은 해당 병사들이 한국 이외의 곳에 배속되어 있었다고 밝혀
미군 측은 해당 72명의 병사들이 실제로는 한국 이외의 곳에 배속되어 있었다고 밝혔다. 주한미군은 평택의 험프리 부대 내 미국 병원에서 채취한 임상 샘플을 한국 연구소에 보냈고, 이 연구소가 해당 72명의 병사들에게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내린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주한미군은 이들 양성 판정을 받은 병사들이 한국이 아닌 다른 장소에 배속되어 있었다고 밝혔다.
1.3. 평택시, 미군과 COVID-19 감염 정보 공유 합의 요청
평택시는 주한미군 기지 내 거주하는 미국 시민들에 대한 코로나19 검사와 감염 정보 공유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미군과 해당 내용에 대한 계약 체결을 요청하였다. 평택시는 주한미군 제 캠프 험프리스와 오산 공군기지에 근무하면서 기지 밖에 거주하는 모든 미국인에 대해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실시할 것을 요구하였다. 또한 평택시는 미군과 코로나19 감염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계약을 체결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미 국방부는 평택시의 요청에 대해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1.4. USFK, 추가 확진자 보고
추가 확진자 보고에 따르면, 주말 동안 주한미군은 추가 감염자를 보고하였고 총 감염자가 병사, 그의 가족 및 접촉자를 포함하여 총 19명에 이르렀다. 감염자들은 평택의 험프리 부대 및 오산 공군기지와 대구 내 부대에 흩어져 있었다. 이는 미군 내에서 COVID-19 감염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추가 확진자 보고는 주한미군이 COVID-19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감염 관리와 예방을 위한 조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2. 김치 내 균 분석 실험
2.1. 실험 목적 및 이론
본 실험의 목적은 현미경을 통해 김치 안에 들어있는 균의 morphology를 관찰하여 Lactobacillus가 들어있는지 확인하고, safety test를 통해 김치의 안전성을 확인하며, 김치 안에 어떠한 균이 있는지 확실하게 보기 위해 plating한 균을 회사로 보내 sequencing해 보는 것이다.
Lactobacillus는 유산균 그룹에 속하는 대표적인 균속으로, 이 속에 속하는 대부분의 균이 lactose나 sugars를 lactic acid로 바꾸어 에너지를 획득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Lactobacillus는 Gram positive이며 형태적으로는 대부분 rod shape을 나타내지만 Coryne형을 나타내기도 한다. 대부분 운동성이 없고, catalse negative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산소가 적은 환경에서 잘 자라며, 산도에 내성을 보이는 것이 많고, 영양 요구성이 복잡하여 당류 외의 많은 아미노산이나 비타민류를 요구한다.
본 실험에서는 김치 시료에서 Lactobacillus를 분리하고자 하므로, Lactobacillus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MRS 배지를 사용하였다. MRS 배지에는 sodium acetate가 함유되어 있어서 Lactobacillus와 경쟁하는 다른 bacteria들(Leuconostoc 또는 Pediococcus)의 성장을 억제한다.
또한 biogenic amine test와 hemolysis test를 통해 김치 내 균의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Biogenic amine은 식품에 함유되어 있을 경우 독성 증세를 유발할 수 있는 질소화합물이다. Hemolysis test는 세균이 만들어내는 효소인 streptolysin에 의해 적혈구가 용혈되는 현상을 관찰하여 세균의 병원성을 확인하는 실험이다.
종합적으로 이번 실험을 통해 김치 내 Lactobacillus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김치 내 균총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2.2. 실험 재료 및 방법
실험 재료 및 방법이다.
대구지역 가정 김치, 알코올램프, spreader, 알코올, 파이펫, tip, e-tube, PBS, falcon tube 등의 실험 재료를 사용하였다. 실험 기구로는 incubator, 현미경, slide gla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