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사회복지실천 현장
1.1. 사회복지 실천 현장의 이해
사회복지 실천 현장은 사회복지서비스가 직접적 그리고 간접적으로 실천되는 장소이며, 문제 및 대상에 대해서 포괄하는 개념이다. 사회복지 현장이라고 하는 것은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에 따라 아동복지와 청소년복지, 노인복지, 장애인복지, 여성복지 등을 말한다. 사회복지 실천 현장이란 사회복지의 전문 지식 및 기술을 갖추고 있는 사회복지사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곳을 의미한다. 이때 전문적인 사회복지란 다른 분야의 전문직과 대등한 수준의 자질을 가지고 협력하며, 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정체성이 확실히 드러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사회복지 실천 현장은 사회복지사가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문제와 대상에 대해 포괄적으로 개입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1.2. 사회복지시설의 유형
사회복지시설의 유형은 다양하다. 사회복지시설은 그 목적과 대상에 따라 크게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이용시설은 보호와 돌봄이 필요한 대상자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로, 대표적인 예로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청소년수련관 등이 있다. 이용시설은 지역사회 내에서 대상자들의 생활 지원 및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둘째, 생활시설은 보호와 돌봄이 필요한 대상자들이 일정 기간 동안 거주하며 생활하는 시설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아동양육시설, 노인요양시설, 장애인거주시설 등이 있다. 생활시설은 대상자들의 일상생활을 전반적으로 지원하고 보호하는데 중점을 둔다.
셋째, 지역사회복지시설은 특정 지역 내 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문제 해결 및 복지 증진을 위해 노력하는 시설이다. 대표적인 예로 종합사회복지관, 지역자활센터, 지역아동센터 등이 있다. 지역사회복지시설은 지역 주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이처럼 사회복지시설은 그 목적과 대상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되며, 각 시설은 자신의 고유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며 사회복지 증진에 이바지하고 있다.
2. 경동원 아동양육 시설
2.1. 기관 개요
2.1.1. 기관명
경동원 아동양육 시설의 기관명은 "사회복지법인 경동원"이다. 1959년에 전쟁으로 인해 부모를 잃고 거리에 배회하는 아동들을 기독교 사랑으로 보호하고 양육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1.2. 설립목적
경동원은 1959년에 전쟁으로 인해 부모를 잃고 거리를 배회하던 아동들을 기독교 사랑으로 보호하고 양육하기 위해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