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수두(Varicella) 개관
1.1. 질병의 정의 및 병태생리
수두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는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virus)의 일종으로, 수두와 대상포진이라는 두 가지 임상증후군을 유발한다"" 수두의 원인균은 대상 포진을 일으키는 원인균과 같다"" 첫 감염은 수두를 유발하며, 지각 신경절에 잠복해 있다가 재발하면 대상포진 증세로 나타난다"" 수두에 걸리면 가렵고, 물집이 잡히는 피부발진을 일으키며, 다른 사람에게 쉽게 전파된다"" 수두는 수두공기 입자, 호흡기의 물방울, 물집이나 염증의 유체를 통해 가족 구성원과 학교 친구들 사이에서 쉽게 전달되며, 의류의 물품 및 노출된 상처로부터 신선한 액체에 노출된 기타 물품과의 접촉에 의해 간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잠복기간은 2~3주, 보통 13~17일이며 수포는 발생 초기일수록 전염성이 강하고, 딱지가 생기면 전염되지 않는다"" 정상 아동에서의 수두감염은 경미하지만 영, 유아 및 면역결핍자와 성인에서는 합병증과 사망률이 높다""
1.2. 발생빈도와 원인
수두는 과거에 수두를 앓은 적이 없거나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은 누구든지 걸릴 수 있는 질병이다""수두 바이러스는 다음과 같은 경로로 전파된다.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에 의한 공기전파, 환자의 수포액에 직접 접촉, 분무 형태의 흡입으로도 전파가 가능한데 특히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대상포진의 경우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감수성이 있는 사람에게 전파를 일으킬 수 있다""수두가 전파될 수 있는 기간은 발진 발생 1~2일 전부터 발진 발생 후 3~7일(수포가 딱지가 될 때까지)이다. 국내에서 수두는 최근 5년간 다발 감염병 발생 규모에서 2~3위로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2012년 수두 발생은 27,770명(29.8%)으로, 전체 감염병에서 두 번째로 많았다""수두는 제2군감염병이므로 확진하거나 의사환자가 있는 경우 즉시 관할 보건소에 신고해야 한다.수두는 매우 전염성이 강한 질병으로, 이전에 수두를 앓은 적이 없거나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은 누구나 걸릴 수 있다. 수두 바이러스는 감염된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 수포액, 에어로졸 등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파된다. 특히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한 대상포진 환자의 경우, 외부로 노출되면 감수성이 있는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다. 수두의 전파 기간은 발진이 발생하기 1~2일 전부터 발진이 딱지가 되는 7일 정도까지이다. 국내에서 수두는 최근 5년간 연 2~3위 수준의 다발성 감염병으로, 2012년에는 전체 감염병 발병 건수의 29.8%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빈도로 발생하고 있다. 수두는 제2군 감염병으로 분류되어 확진 또는 의사환자 발생 시 즉시 관할 보건소에 신고해야 한다.
1.3. 임상증상
잠복기 - 수두의 잠복기는 10~21일이며, 보통 13~17일 후에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전구기 - 수두는 급성 미열로 시작되고 전신증상은 적으며, 전구기에는 권태감, 식욕부진, 두통, 복통 등이 발진이 발생 1~2일 전에 나타날 수 있다. 아동의 경우 발진이 첫 번째 증후로 나타날 수 있다"" 발진의 형태 - 발진은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하기 때문에, 반점에서 구진이나 수포, 농포, 가피의 순서로 급속하게 발전한다"" 발진의 분포 - 발진은 보통 두피와 얼굴에서 처음으로 나타나며, 이후 몽통, 사지로 퍼져 나가는데, 주로 몸통 부위에 병변이 나타난다"" 건강한 아동은 대부분 경미한 증상으로 그치지만, 2~3일간의 권태감, 소양감, 39도의 발열이 있다. 반면 면역결핍 아동의 경우 고열과 광범위한 수포 발적 및 합병증 발생률이 높아지는 등 심한 상태로 진행된다""
1.4. 진단
대부분의 경우 전형적인 임상증상으로 진단이 가능하며, 진단을 위한 특별한 검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발병 2~3주 전에 수두에 노출된 적이 있고 특징적인 수포성 발진 양상을 보인다면 진단을 내릴 수 있다. 그 외에도 수두 특이 IgM 항체가 4배 이상 상승하거나, 검체(수포액, 혈액, 뇌척수액 등)에서 수두 바이러스가 분리되거나 핵산이 검출될 때 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