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 입구를 막고 있는 것으로, 그 원인이 불확실하지만 산모들의 나이가 많을수록 전치태반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전치태반은 우리 주위에서 끊임없이 일어날 수 있는 질병 중 하나이다"" 현대의학의 발달로 적절한 수혈과 원활한 수액공급, 제왕절개분만 등으로 모성사망률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조산이나 저체중아 출산 등으로 발생한 신생아 합병증은 아직도 일반 산모군에 비하여 현저히 높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전치태반에 대해 정확히 알고 대상자의 현재 상태와 대상자가 지닌 문제를 상세히 파악함으로써 올바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 빠른 회복을 돕고자 한다""
1.2. 연구 기간 및 방법
본 연구의 기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 기간은 2) 방법 부분에 명시된 바와 같이 00대학교 병원 분만실에서 김00(F. 36)님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기간에 대한 구체적인 명시는 없지만, 사례연구의 특성상 실습기간 내에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대상자와의 대화, 관찰, EMR을 통한 차트 확인, 정보조사, 임상병리 결과 조회 등을 이용하였다. 또한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NANDA 간호 진단과 중재 가이드, 여성 간호학 1, 2 등의 참고문헌을 활용하였다.
즉, 본 연구는 실습 기간 내에 특정 대상자를 선정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사례연구의 형태로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1.3. 문헌 고찰
1.3.1. 여성의 생식기 구조
여성의 생식기 구조는 외생식기와 내생식기로 구분된다. 외생식기에는 불두덩, 대음순, 소음순, 음핵, 질전정 및 회음이 포함되며, 내생식기에는 질, 자궁, 난관, 난소가 포함된다.
외생식기 중 불두덩은 두덩 결합의 앞면을 덮고 있는 지방조직과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진 융기된 부분으로, 성관계 시 치골결합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대음순은 피부로 덮인 2개의 지방조직의 둥근 주름으로, 땀샘과 기름샘이 풍부하다. 소음순은 대음순의 내측에 있는 2개의 판상 주름으로, 기름샘과 신경, 혈관이 풍부하다. 음핵은 길이 2cm 정도의 작은 돌기 모양으로, 혈관과 지각신경종말이 풍부하게 분포하여 여성의 흥분성 기관 역할을 한다. 질전정은 질과 요도, 스킨샘, 바르톨린샘이 개구하는 부위이며, 스킨샘은 질의 윤활 작용을 돕는 점액을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