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교향곡

  • 1
  • 2
  • 3
  • 4
  • 5
  • 6
  • 7
  • 8
>
최초 생성일 2024.11.03
7,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도시교향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도시교향곡의 개념과 역사
1.1. 1920년대 모더니즘과 실험영화의 흐름
1.2. 도시교향곡의 특징

2. 1920년대 도시교향곡의 대표작품
2.1. 찰스 쉴러, 폴 스트랜드의 <맨하탄>
2.2. 알베르투 카발칸티의 <파리>
2.3. 발터 루트만의 <베를린, 도시의 교향곡>
2.4. 지가 베르토프의 <인간 기계>

3. 도시교향곡의 공통적 특성
3.1. 근대 도시의 시간과 공간의 표현
3.2. 조형성과 리듬감의 탐구
3.3. 서정성과 사회비평적 주제의식

4. 현대적 관점에서의 도시교향곡
4.1. 새로운 매체와 기술의 활용
4.2. 도시의 개념과 주제의 확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도시교향곡의 개념과 역사
1.1. 1920년대 모더니즘과 실험영화의 흐름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예술계에는 모더니즘에 기반한 새로운 사조들이 다수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영화 분야에서도 실험적이고 전위적인 시도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졌는데, 1920년대는 실험영화의 전성기라고도 할 수 있다. 실험영화에서는 새로운 형식과 기술을 통한 시각적 탐구가 가장 우선적으로 추구되었다. 이는 곧 추상 애니메이션, 초현실주의 영화, 큐비즘 영화 등 여러 갈래의 형태로 나타났다.

도시교향곡 역시 이러한 맥락 속에서 출현하게 되었다. 특히 도시교향곡은 야외의 도시 경관 속에서 실제적인 시각적 탐구를 수행했는데, 이는 일반적인 다큐멘터리의 형태를 띠기도 했지만 동시에 실험적인 편집이나 실험적인 서사의 대상이 되기도 했기 때문에 실험영화의 범주에 속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다큐멘터리적 형식에서 오는 서정성으로 인해 당대의 다른 실험영화들과는 다소 결을 달리하는 측면도 있었다.


1.2. 도시교향곡의 특징

도시교향곡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근대 도시는 여러 질서들로 가득한 역동적인 공간이었다. 특히 도시의 사람들은 모두 같은 듯 다른 규범 속에서 살아갔는데, 대다수는 (공장)노동자 혹은 소상인이었으므로 이른 아침부터 저녁까지 각자에게 맡겨진 노동을 해야 했고, 일부만이 상류 부르주아 계층으로 여가를 즐길 수 있었다. 물론 어느 곳에도 속하지 못한 빈자들 또한 존재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모든 삶들을 기록하고자 했던 도시교향곡은 그 형식부터 이와 맞닿아, 극 전체가 이른 아침부터 밤까지의 시간을 따라 흐르는 구성이었다. 게다가 장면들에 배치된 주된 소재들 또한 근대 도시의 상징들로 가득 찼다. 예를 들어, '기차', '자동차' '(교차되는) 거리', '빌딩', '철교', '마네킹', '기계 부품' 등이었다. 이러한 소재들이 도시의 상징으로, 특히 영화 속에서 도시를 대변하는 존재들로 사용되었던 이유는 '질서'에서 찾을 수 있다.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이동수단들, 일정한 형태로 뻗어있는 구조물들, 일정한 규칙으로 돌아가는 부속품들에서 볼 수 있듯 말이다. 그러나 이러한 질서는 보는 사람에 따라 긍정적일 수도 부정적일 수도 있는 현상이다. 아마 긍정의 입장은, 일정한 질서를 통해 보이는 심미적 조형성에 감흥을 느꼈을 것이다. 이는 앞서 보았던 <맨하탄>이나 <베를린, 도시의 교향곡>에서의 형태 탐구, 그리고 <파리>의 시간성과 연속성 탐구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부정의 입장은, 과 <인간 기계>의 일부 장면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질서를 대비시킴으로써 부정을 암시하는 서사를 형성해낸다.

하지만 도시교향곡들은 역시 '바라봄'을 기반으로 하여 기록 영상(다큐멘터리)의 형식을 일부 공유하고 있으며, 또한 '질서'가 가장 중시된다는 점에서 실험 영화의 영역에 속한다. 또한 이렇게, 질서를 통한 운율성과 기록을 통한 정서표현은 도시교향곡으로 하여금 '서정성'을 지니도록 한다.


2. 1920년대 도시교향곡의 대표작품
2.1. 찰스 쉴러, 폴 스트랜드의 <맨하탄>

찰스 쉴러와 폴 스트랜드의 <맨하탄>은 도시교향곡의 시작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작품은 맨해튼 지역을 이른 아침부터 밤까지의 시간 순으로 보여주며, 월트 휘트먼의 시 구절을 간자막의 형태로 제시하여 이미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간자막은 스토리라인을 나타내기보다는 도시의 아름다운 경관과 구조물에 대한 묘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찰스 쉴러와 폴 스트랜드가 도시의 조형적 아름다움 자체에 관심을 가졌음을 보여준다""

영화에서는 여러 겹의 빌딩들, 공사장의 철근, 아치형 다리, 배 등에서 수직과 수평, 직선적 형태를 반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 형태들의 반복은 당시 산업화된 도시의 전형적인 이미지로, 이후 실험영화로서의 도시교향곡이라는 장르를 형성하는 데 기반이 되었다""

또한 영화에서는 굴뚝에서 나오는 매연, 배와 기관차의 연기와 같은 이미지가 돋보이는데, 이는 당대에는 새롭고 호기심을 자아내는 요소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이미지들을 롱샷이나 익스트림롱샷으로 담아냄...


참고 자료

Kristin Thompson, David Bordwell, 『Film History』, HS Media, 2011
윤학로, 「장 비고와 도시 교향곡 : <니스에 관하여> 소고」, 『인문언어』, 2009
윤학로, <도시를 기록하는 세 가지 시선>,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2017

네이버 지식백과 “루드비히 판 베토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1954&cid=51045&categoryId=51045
[정승용의 THE 클래식] 고전주의 음악이란 / 정승용 / 경기일보 / 2019.09.16
https://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2163764
[정승용의 THE클래식] 낭만주의 음악의 이해 / 정승용 / 경기일보 / 2019.10.14
https://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8101
첫 번째 음악 이야기 : 베토벤의 운명교향곡 / 정새봄 / truezin / 2020.11.14.
https://www.truezin.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3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