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 간호사 의료사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투약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QI 활동
1.1. 환자안전행위계획
1.2. 전산화된 환자안전보고 시스템
1.3. 팀 구성
1.4. 투약 안전사고의 원인파악 및 기대목표 설정
1.4.1. 투약 안전사고의 원인
1.4.2. 투약 안전사고의 기대목표
1.5. 투약 안전사고를 개선하기 위해 알고 있어야 하는 지식
1.5.1. 투약오류
1.5.2. 투약 관련 용어
1.5.3. 5 rights를 통한 오류 없는 정확한 투약
1.5.4. 아동의 약 용량 계산
1.5.5. 소아에게 약물 투여 시 고려사항
1.6. 개선방안 및 평가계획 수립
1.6.1. 개선활동 계획
1.6.2. 개선활동 추진일정
1.6.3. 평가계획
2. 의료의사소통 관련 임상상황
2.1. 의사소통 1
2.1.1. 문제확인
2.1.2. 해결방안
2.2. 의사소통 2
2.2.1. 문제확인
2.2.2. 해결방안
2.3. 의사소통 3
2.3.1. 문제확인
2.3.2. 해결방안
2.4. 의사소통 4
2.4.1. 문제확인
2.4.2. 해결방안
2.5. 의사소통 5
2.5.1. 문제확인
2.5.2. 해결방안
3. 간호윤리 문제와 개선방안
3.1. 간호 윤리
3.2. 간호윤리와 관련된 문제와 본인의 생각
3.3. 해당 간호윤리 문제해결을 위한 개선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투약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QI 활동
1.1. 환자안전행위계획
환자안전행위계획은 의료인들이 행하는 안전을 위한 수칙 또는 계획된 행위로, 환자안전을 증진시킬 수 있다. 특히 투약오류 예방을 위한 행위계획의 대표적인 예로 투약조정행위가 있다. 투약조정행위는 처방과 투약력을 비교하여 투약 적용 시 환자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투약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과정이다.
소아병원에서 지속적인 환자안전행위계획 시행으로 인해 투약으로 인한 위험발생이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투약오류 감소의 결정적 요인은 단일 오류예방행위가 아니라 조직 전반의 안전을 위한 계획행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환자안전을 위한 계획 행위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환자안전행위계획은 투약오류를 포함한 다양한 환자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계획된 안전행위를 통해 의료진의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실제 임상에서 환자안전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1.2. 전산화된 환자안전보고 시스템
전산화된 환자안전보고 시스템은 임상에서 발생한 의료오류에 대해 보고하게 하여 차후의 오류발생을 감소시키도록 해주는 공식적인 보고체계이다. 웹을 이용한 보고를 통해 발생한 환자안전문제에 즉각적으로 개입할 수 있으며, 조직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사용하기 간편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환자안전에 기여하고 있다.
투약오류 중 정확한 용량, 잘못된 주입속도, 과용량으로 잘못 투약하는 경우 등의 용량 관련 오류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 이를 위해 간호사의 약물계산 능력이 필요하지만, 전산화된 환자안전보고 시스템의 약물용량계산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자동으로 용량을 계산해주어 수기 계산했을 때보다 오류건수를 줄이며, 환자의 치료에도 효과를 발휘했다.
즉, 전산화된 환자안전보고 시스템은 임상에서 발생한 의료오류에 대해 실시간으로 보고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투약오류와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발생한 오류에 대해 신속하게 개선활동을 펼칠 수 있어 환자안전 증진에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1.3. 팀 구성
액팅간호사, 주임간호사, 수간호사 부서장이 포함된 TF팀이 구성된다"" 팀은 투약사고의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활동을 계획 및 시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수간호사 부서장은 프로세스를 감독하며, 주요 약물 관련 매뉴얼 제작 및 비치, 주기적인 투약 관련 간호사 교육 진행, 투약사고 발생 시 사건보고서 작성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주임간호사는 회의 기록 및 이해관계자들과의 연락 등 간사 역할을 맡는다.
액팅간호사는 활동일정 및 개선안 수립, 시행 등 실질적인 QI 활동을 담당하며, 약품 관리 및 보관, 투약처방 확인 및 5rights 준수, 약물 라벨링 등을 수행한다.
1.4. 투약 안전사고의 원인파악 및 기대목표 설정
1.4.1. 투약 안전사고의 원인
투약 안전사고의 원인은 환자의 신체적 특성, 환경적 요인, 의료진(간호사) 요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발생한다.
환자의 신체적 특성으로는 아동의 경우 신체 기능의 미숙으로 인해 매우 적은 용량의 투약용량이 필요하며, 독성에 더욱 민감하여 성인보다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의료진의 인력 부족과 과중한 업무부담, 병원 규모 및 환자의 중증도가 높아 의료인의 피로도가 높은 점, 고위험 약물에 대한 경고문 미부착, 약물 구비통에 약물 이름이 적혀있지 않거나 비슷한 약물이 구분되어 있지 않은 점 등이 있다.
의료진(간호사) 요인으로는 5 rights(약명, 용량, 환자, 경로, 시간) 확인 미흡, 투약에 관한 의료진과 보호자 간의 의사소통 부족, 투약 교육체계 미흡, 부족한 임상 경력 및 의료진의 지식 결핍, 환자안전관리에 관한 인식 부족 및 감독 의무 소홀, 의료인의 직무 스트레스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투약 안전사고는 환자의 신체적 특성, 열악한 병원 환경, 의료진의 역량과 인식 부족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게 된다.
1.4.2. 투약 안전사고의 기대목표
투약 안전사고의 기대목표는 투약오류 발생률 감소,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증가, 투약 지침 시행률 증가, 환자안전 및 약물 투약에 관한 교육 수행 증가, 투약 QI활동 컨퍼런스 월 1회 시행 등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아동 약물투약과 관련된 환자안전관리 지침 개발 활동을 통해 아동의 약물투여오류에 관한 환자안전보고서 건수를 80% 이상 감소시키는 것이다. 둘째, 약물투약을 주업무로 하는 인력을 대상으로 QI 활동 시행 전후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설문을 실시하여 활동 전 대비 평균점수 10점 이상 상승시키는 것이다. 셋째, 환자안전 및 약물 투약에 관한 교육 후 의사소통 문서화 이행률이 80% 이상 증가시키는 것이다. 넷째, 3개월마다 간호사 대상 환자안전 및 약물투약에 관한 교육을 시행하는 것이다. 다섯째, 투약 QI활동 컨퍼런스를 월 1회 시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대목표를 달성함으로써 투약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고, 환자안전관리의 중요성을 높이며, 간호사의 투약 관련 지식과 실제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5. 투약 안전사고를 개선하기 위해 알고 있어야 하는 지식
1.5.1. 투약오류
투약오류란 환자에게 약이 처방되어 투여되는 모든 과정에서 환자에게 발생되는 오류를 말하며, 병원 내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위해사건이다. 투약오류는 조직적 요인과 개인적 성향이 함께 작용해서 발생하게 되며, 환자의 생명 위협과 막대한 의료비용의 추가를 초래한다.
간호사의 투약 근접오류 또한 개인이 발생시키는 오류이지만, 발생 원인을 추적해보면 개인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조직의 시스템적인 문제도 포함된다.
투약오류는 처방, 조제, 투여단계의 오류로 구별할 수 있는데, 그중 간호사에 의한 투여단계에서의 오류가 53.0%로 가장 많았다. 이는 투약과정의 마지막 단계이기 때문이며, 간호사의 부주의로 인한 오류 위험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서별 투약오류 특성의 경우 모든 부서에서 정맥주사제 오류가 가장 많았으며, 어린이 병동은 수액 주입의 30.2%를 차지했다. 투약오류 사고 약물 중 정맥 주사제가 과반 이상이었으며, 잘못된 용량으로 투약하는 오류가 가장 많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바...
참고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QI 뉴스레터, https://www.hira.or.kr/main1.do
김명수 외, 투약오류예방 시스템 구축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행위계획, 성인간호학회지, 2015;27(1):1-10.
김미예 외, 아동건강회복간호, 수문사, 2018
김준규 외, 임상간호사의 투약오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대학교 간호학과, 2021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장 이경이, 바코드/RFID 도입을 통한 오류개선 및 업무효율 향상, 한국의료질향상학회, 2019
송수연, 영아 목순 앗아간 ‘투약 오류’ 사고 예방하려면..., 청년의사, 2022.05.09.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2811
신나라, "약물 50배 초과" 제주대병원 투약 오류, 코로나 영아 사망, 여성조선, 2022.04.29., http://woman.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97615
양금덕 기자, 부산대병원, PDA 활용한 환자안전관리시스템 구축, 청년의사, 2018.03.17.,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3628
여혜숙, “투약오류 사고 막으려면, 안전한 시스템 구축해야”, 현대건강신문, 2022.11.11.,
http://www.hnews.kr/news/view.php?no=60523
이성주 외, 응급실에 내원한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자동화 약 처방 프로그램의 효용성, 가천대학교 길병원 응급의학교실, 대한응급의학회지, 2012
조윤주,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중요성 인식 및 수행, 2012, p49
청년의사, 예방 가능한 환자안전사고 ‘투약오류’ 줄이려면?, 2021.05.14.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0618
간호윤리학, 계축문화사, 고진강. 고지은, 2019
간호윤리의 중요성 및 윤리학의 기본개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간호부, 2011
이은영, 지희주, & 조정숙. (2021). 연명의료결정법에 따른 환자의 연명의료중단 등 결정에서 간호사의 역할. 생명, 윤리와 정책, 5(1), 97-114.
안경진, 공병혜, & 송윤진. (2020). ‘연명의료결정법’시행 이후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 연명의료결정 및 임종기 돌봄 경험 연구. 생명윤리, 21(2), 31-53.
“연명의료 중단해 살인자 됐다” 의사 고소…제2 보라매 사건?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04522
'삶의 위대함은 존엄한 죽음으로 완성된다' 박중철 교수(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https://www.dailymedi.com/news/news_view.php?wr_id=882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