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항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항해술의 기초
1.1. 항해의 정의와 분류
1.2. 항해 용어 정리
1.3. 거리와 속력
1.4. 방위와 침로
2. 항로 표지
2.1. 등화 표지
2.2. 주간 표지
2.3. 음향 표지
2.4. 전파 표지
2.5. 특수 신호 표지
2.6. 국제 해상 부표방식
3. 연안 항법
3.1. 실측 위치와 추측 위치
3.2. 위치선과 선위 측정법
3.3. 선위 오차
4. 항해 계획
4.1. 항해 계획의 준비
4.2. 항해 계획의 작성 방법
4.3. 항해 계획의 시행 및 평가
5. 대양 항법
5.1. 항정선항법
5.2. 대권항법
5.3. 집성대권항법
5.4. 항로 선정 시 고려사항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항해술의 기초
1.1. 항해의 정의와 분류
항해는 선박을 바다 위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지식 및 기술을 의미한다. 항법의 분류는 선위(선박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따라 지문항법, 천문항법, 전파항법으로 나뉜다.
지문항법은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연안항법(실측항법)과 대양항법(추측항법)이다. 연안항법은 연안(지상)의 물표를 관찰하여 선위를 계산하는 방법이고, 대양항법은 항정과 침로 기반으로 선위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대양항해 시 이용된다. 천문항법은 육지와 멀리 떨어져 항해하는 경우 천체의 고도를 이용하며, 전파항법은 전파의 특성(등속성, 직진성, 반사성)을 이용하여 선위를 측정한다.
이처럼 항해는 선박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선위를 결정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1.2. 항해 용어 정리
항해(航海)란 선박을 바다 위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지식 및 기술을 의미한다. 항해의 방법에는 크게 지문항해, 천문항해, 전파항해가 있다. 이 중 지문항해는 연안항해와 대양항해로 구분된다. 연안항해는 연안의 물표를 관찰하여 선위를 계산하는 방법이고, 대양항해는 항정과 침로 기반으로 선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항해와 관련된 주요 용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권은 지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으로 구를 자를 때 나타나는 큰 원이며, 소권은 지구의 중심을 지나지 않는 평면으로 구를 자를 때 나타나는 작은 원이다. 둘째, 지축은 지구의 자전축을 의미하고 양 끝을 지극이라 한다. 셋째, 자오선은 지축을 지나는 대권이며, 본초자오선은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가는 자오선이다. 넷째, 적도는 지축에 직교하는 대권으로 위도 측정의 기준이 된다. 다섯째, 거등권은 적도와 평행한 소권으로 위도를 나타낼 때 이용된다.
여섯째, 항정선은 지구 표면의 모든 자오선과 동일한 각도로 만나는 곡선으로, 선박이 일정한 침로를 유지하면서 항행할 때 지구 표면에 그리는 항적을 의미한다. 일곱째, 위도는 어느 지점을 지나가는 거등권과 적도 사이의 자오선상의 호의 길이이며, 경도는 어느 한 지점의 자오선과 본초자오선이 이루는 적도의 호이다.
여덟째, 편차는 진자오선과 자기자오선의 교각, 자차는 자기 자오선과 선내 나침의 남북선의 교각, 나침의 오차는 선내 나침의 남북선과 진자오선의 교각을 의미한다. 아홉째, 방위는 기준선과 관측자 및 물표를 지나는 대권이 이루는 각을 북을 000도, 시계방향으로 360도까지 측정한 것이며, 침로는 선수미선과 선박을 지나는 자오선이 이루는 각으로 진행하려는 방향을 말한다.
이처럼 항해와 관련된 주요 용어들을 정리하면, 선박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해를 위해 이해하고 숙지해야 할 기본 개념들이라 할 수 있다.
1.3. 거리와 속력
선박이 운항하는 데 있어 거리와 속력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거리는 직진성을 가진 선박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내며, 속력은 선박이 단위 시간당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의미한다.
먼저 거리의 측정 단위는 해리(Sea mile)이다. 해리는 지구 표면 위에서 1분(1')의 위도 거리로서, 1마일(mile)과 동일하다. 하지만 실제 거리는 지구 표면의 위도에 따라 실제 길이가 다르므로, 일반적으로 위도 45도에서의 해리를 기준으로 1해리는 1852m로 정의된다.
속력은 선박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데, 속력의 단위는 노트(knot)이다. 노트는 1시간에 1해리를 항주하는 속력으로 정의된다. 선박의 속력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대수속력(Log speed)이고 다른 하나는 대지속력(Ground speed)이다.
대수속력은 선박 자체의 속력을 나타내며, 선박의 속력측정기(Log)로 측정된다. 따라서 대수속력은 선박이 물 위에서 실제 항주한 속력을 의미한다. 반면 대지속력은 육지를 기준으로 한 속력으로, 바람이나 해류 등 외력의 영향을 받는다. 대지속력은 위치 측정기기(GPS 등)로 측정할 수 있으며, 대수속력에 외력에 의한 속도 증감분이 가감된 값이라고 할 수 있다.
거리와 속력은 항해 계획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항해 계획 수립 시 출발지와 도착지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실제 항해 중에는 대수속력과 대지속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계획된 항해 시간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AI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 기상 데이터와 선박 운항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최적의 항로와 속력을 제안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를 통해 선박의 연료 효율성을 높이고, 안전하고 경제적인 운항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4. 방위와 침로
방위와 침로는 선박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해에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방위는 선박의 위치와 관련된 개념으로, 기준선과 관측자 및 물표를 지나가는 대권이 이루는 각을 북을 0도, 시계방향으로 360도까지 측정한 것이다. 선박은 진방위, 자침방위, 나침방위, 상대방위 등 다양한 방위를 사용하여 항해한다.
진방위는 관측자를 지나는 진자오선과 관측자를 지나는 대권이 이루는 각이다. 자침방위는 관측자를 지나는 자기자오선과 관측자를 지나는 대권이 이루는 각이다. 나침방위는 나침의 남북선과 관측자를 지나는 대권이 이루는 각이다. 상대방위는 선수 방향을 0도로 하여 360도까지 측정한 방위이다.
침로는 선수미선과 선박을 지나는 자오선이 이루는 각으로, 선박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침로에는 진침로, 시침로, 자침로, 나침로 등이 있다. 진침로는 진자오선과 항적이 이루는 각이고, 시침로는 진자오선과 선수미선이 이루는 각이다. 자침로는 자기자오선과 선수미선이 이루는 각이며, 나침로는 나침의 남북선과 선수미선이 이루는 각이다.
선박의 선수 방향은 선수미선과 자오선이 이루는 각을 말하며, 선수 방향은 계속해서 변화한다. 직항 진침로는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그은 항정선과 진자오선이 이루는 각이다.
기온이 높아지면 광달거리가 감소하고, 기온이 수온보다 높으면 광달거리가 증가한다. 이와 같이 기상 요인이 선박의 항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항해 계획 수립 시 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방위와 침로는 선박의 안전하고 정확한 항해를 위해 필수적인 개념이며, 선박 항해사는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2. 항로 표지
2.1. 등화 표지
등화 표지는 항해하는 선박이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도록 해당 해역의 위험물과 항로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지이다. 등화 표지에는 등대, 등부표, 등선 등이 포함된다.
등화 표지는 밤낮으로 항해하는 선박에게 필수적인 항로표지이다. 등화 표지에는 등...
참고 자료
고재우·임봉택·최창묵 공저, 『재미있는 항해학개론』,(부산: 세종출판사, 2018)
공길영 저, 『선박항해사전』,(부산: 다솜출판사, 2015)
김동준·설현주·김진주, 「실해역 환경을 고려한 선박의 최적항해계획 알고리즘 연구」,『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9 , No.2,(2016)
유윤자·최형래·이정렬,「항로최적화기술 시물레이션 비교 결과』, 『대한조선학회논문집』, Vol..52.No,2(2015)
윤여정·전승환·문성배 공저, 『지문항해학』,(부산: 해광출판사, 2013)
조창선·한정식 공저, 『해양수로용어사전』,(서울: 그린프린팅, 2015)
한국선급 역, 『SOLAS』,(부산: 해인출판사, 2012)
IMO(2017), 『STCW, Convention and STCW Code 2017』
IMO(2017), 『Ship’s Routeing 2017 ED』
ICS(2016), 『Bridge procedure guide 5th Ed』
한국해양수산연수원 편, 『선교자원 및 팀관리』,(부산: 한국해양수산연수원, 2014)
서현재·김현·정재곤,『해상물품운송계약론』,(서울: 박영사, 2009)
진재희, 『해상화물클레임이야기』,(서울: 진원사, 2016)
WITHERBY(2019), 『Passage Panning Guidelines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