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1.1. 퇴행성 질환 치료제
1.1.1. 파킨슨병 치료제
파킨슨병은 흑색질에 위치한 도파민 생산 신경세포의 퇴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파킨슨병 환자는 가면 얼굴, 웅크린 자세, 느린 수의운동, 떨림과 경직, 운동 감소(brady kinesia) 등의 임상증상을 보인다. 이러한 증상은 도파민 결핍으로 인한 것으로, 파킨슨병의 치료 목적은 결국 도파민 기능을 높여 환자의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파킨슨병 치료제는 크게 도파민 작용제, 도파민 수용체 작용제, MAO-B 억제제, COMT 억제제, 항콜린제 등으로 구분된다. 가장 대표적인 약물은 도파민 전구체인 levodopa와 이의 대사를 억제하는 carbidopa의 복합제인 Sinemet이다. Levodopa는 신속하게 흡수되어 도파민으로 전환되지만 말초에서 대사가 빨라 중추신경계 도달량이 적다. 따라서 carbidopa를 병용하면 말초 대사를 억제하여 중추신경계로의 도달량을 높일 수 있다. 이처럼 levodopa와 carbidopa의 병용요법은 파킨슨병 치료의 근간을 이룬다.
도파민 수용체 작용제인 bromocriptine, pramipexole, ropinirole 등은 직접 도파민 수용체를 자극하여 도파민 결핍을 보완한다. 이들 약물은 levodopa에 대한 반응이 파동적으로 나타나는 환자에게 유용하다. MAO-B 억제제인 selegiline과 rasagiline은 도파민을 대사시키는 효소를 억제하여 뇌 내 도파민 농도를 높인다. COMT 억제제인 entacapone과 tolcapone은 levodopa의 말초 대사를 억제하여 중추신경계로의 전달을 증가시킨다. 이들 약물들은 levodopa와 병용 투여하여 그 효과를 높인다.
한편 항콜린제인 benztropine과 trihexyphenidyl은 ACh의 과잉작용을 억제함으로써 파킨슨병의 증상을 완화시킨다. 이들은 주로 levodopa 등의 약물과 병용하거나 증상이 심각하지 않은 초기 환자에서 사용된다.
이처럼 파킨슨병 치료제는 도파민 작용을 높여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을 개선함으로써 운동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치료제는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킬 뿐 근본적인 치료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파킨슨병의 근본 원인인 도파민 신경세포의 퇴행을 막거나 재생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1.2.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알츠하이머병은 노년층에서 가장 흔한 퇴행성 신경질환으로, 초기에는 주로 최근 일에 대한 기억력에서 문제를 보이다가 점진적으로 언어, 판단력 등 다른 여러 인지 기능의 이상을 동반하며, 결국 모든 일상생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를 위해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AChE)를 억제하는 약물과 NMDA-glutamate 수용체의 과도한 흥분을 차단하는 NMDA 수용체 길항제가 사용된다.
먼저 AChE 억제제인 donepezil, galantamine, rivastigmine, tacrin은 중추신경계의 AChE에 선택성을 가지고 있어 손상되지 않은 대뇌 피질의 신경들에서 아세틸콜린(ACh)의 효과를 강화시킨다. 이를 통해 인지 기능의 저하를 일정 부분 지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은 구역, 설사, 구토, 식욕부진, 떨림, 서맥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NMDA 수용체 길항제인 memantine은 NMDA 수용체(N-methyl-D-aspartate receptor)를 차단하여 칼슘(Ca2+)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 이는 AChE 억제제와 병용 투여되어 알츠하이머병 증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초조, 우울, 불안, 환각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현재까지 알츠하이머병의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약물 치료만으로는 증상의 진행을 완전히 막을 수 없다. 따라서 향후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1.1.3. 다발성경화증 치료제
다발성경화증 치료제는 염증 반응을 억제하거나 말이집(myelin) 복구를 돕는 약물들이 사용된다.
먼저, 급성기에 고용량 스테로이드 요법이 사용된다. 스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