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상관계 가족치료
1.1. 대상관계 가족치료의 주요 인물 및 주요개념
1.1.1. 주요학자
1.1.1.1. 마가렛 말러(Margaret Mahler)
마가렛 말러(Margaret Mahler)는 아동의 발달 과정에서 어머니와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말러에 따르면, 유아들은 태어나서 엄마와의 관계 속에서 분리와 독립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어떻게 분리와 독립을 이루게 되는지에 따라 유아의 발달이 달라진다고 설명하였다.
말러는 유아가 엄마로부터 개별화되는 과정을 발달단계로 나누어 설명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유아가 엄마로부터 성공적으로 분리와 독립을 이루지 못하면 다른 사람들과 정서적으로 연결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고, 고립된 삶을 살아가게 된다고 보았다. 즉, 유아와 성인의 경계선 병리의 핵심적인 요인으로 유아의 엄마로부터의 분리와 독립 실패를 들었다.
이처럼 말러는 유아기의 어머니와의 관계가 이후 개인의 대인관계와 적응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하였다. 유아가 어머니로부터 충분히 분리되고 독립을 이루지 못하면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말러의 이론에 따르면, 대상관계 가족치료에서는 내담자의 초기 어머니와의 관계에 주목하고, 개인이 겪은 분리와 독립의 어려움을 탐색하여 보다 건강한 대인관계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한 치료 과제가 된다고 볼 수 있다.
1.1.1.2. 도널드 위니콧(Donald Winnicott)
도널드 위니콧(Donald Winnicott)은 유아의 발달에 있어 환경의 영향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그는 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서는 안전하고 좋은 환경이 필요하며, 그러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어 어머니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위니콧에 따르면, 유아의 발달은 상당한 정도로 환경의 영향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좋은 환경이 유아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유아가 충분한 성숙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안전하고 좋은 환경이 필요하며, 어머니는 가장 중요한 환경 요인이라고 설명하였다. 즉, 돌봄을 잘 받으면 유아는 자아를 제대로 발달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위니콧은 유아에 대한 어머니의 역할(mothering)에 대해서 질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안전하고 좋은 환경이란 "좋은 어머니 역할(good enough mothering)"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어머니는 유아의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유아의 필요를 충족시켜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유아가 배가 고파 울면 먹을 것을 주고, 졸리면 재워주는 등 유아의 욕구에 따라 돌봄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위니콧은 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서는 "좋은 어머니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는 기본적인 신뢰와 안전을 갖게 되고, 외부 세계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새로운 환경과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활발하게 행동할 수 있게 된다.
1.1.1.3. 로널드 페어번(Ronald Fairbairn)
로널드 페어번(Ronald Fairbairn)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이론을 확장하여 대상관계 이론을 발전시킨 심리학자이다. 그는 사람들이 쾌락을 추구하는 존재가 아니라 대상을 추구하는 존재라고 보았다. 페어번에 따르면 사람의 자아는 내면의 삼층 구조를 이루고 있는 요소들의 갈등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와의 관계 속에서 만들어지고 발달한다.
프로이트의 이론에서는 사람의 심리가 본능적 욕구의 충족을 위한 것이었지만, 페어번은 사람들이 대상을 추구하는 존재라고 주장했다. 즉, 사람들은 리비도의 충족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대상이 아닌 실재하는 관계적 존재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페어번은 인간의 내면에 세 가지 다른 내부 대상관계가 존재한다고 보았는데, 그 중 하나는 자기의 의식 부분에 있고 나머지 둘은 무의식 부분에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들 간의 갈등이 인간의 행동을 규정한다고 주장했다.
페어번은 정신분석이론을 대인관계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인간이 단순히 본능적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존재가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아를 형성해 나가는 존재라고 보았다. 따라서 그의 이론은 정신분석학적 이론과 대인관계 이론을 통합하여 개인의 내적 과정을 대인관계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자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1.2. 주요개념
1.1.2.1. 대상(Object)
대상(Object)은 프로이트에 의해 처음 사용된 용어로, 프로이트의 대상은 리비도 충족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사물의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가족상담 이론에서 대상은 유아의 외부 현실에 존재하는 사람, 즉 실체를 지칭한다. 유아는 처음 어머니를 전체로 인식하지 못하고 부분적 대상으로 경험하다가 발달을 통해 어머니를 전체로서, 일관된 형식으로 지각하게 된다.
대상에 대한 인식은 한 대상 안에 좋음과 나쁨이 동시에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되면서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유아는 자기와 대상을 구분하고 자신만의 내적 세계를 형성해나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대상관계 가족치료의 관점에서 대상은 단순한 사물이 아니라 유아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고 발달하는 실체로서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1.1.2.2. 환상(Fantasy)
환상(Fantasy)은 유아가 태어나면서부터 대상을 추구하는 존재이며 환상을 가지고 태어나고 창조하는 본능으로서 유아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아는 환상을 통하여 자기의 세계를 탐험해 나가며 또한 어머니와 소통한다.
환상은 인간의 최초의 정신적 기제의 기초로서 사용되며, 정신적 기제 중 두 가지는 분열과 투사의 동일시이다. 유아는 쾌락의 원리에 따라 쾌락과 불쾌, 고통과 위로, 좋음과 나쁨의 느낌을 내면에서 서로 분리한다. 하지만 어머니에 대한 전능의 환상은 이러한 서로 다른 두 개의 감정을 내면에 동시에 존재할 수 없게 만든다.
상담 시 가족 구성원의 환상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환상이 현재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내면의 역동을 관찰할 수 있다. 즉, 가족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환상이 현실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내적 갈등과 역동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환상은 유아의 발달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담 장면에서도 가족 구성원의 환상을 탐색함으로써 그들의 내적 역동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상관계 가족치료에서 주요한 개념으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