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영업에서 기업 취업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영업 실태와 성공을 위한 전략
1.1. 자영업의 실태
1.1.1. 자영업의 폐업률 및 생존률
1.1.2. 업종별 폐업률 현황
1.2. 자영업 실패의 원인
1.2.1. 사회적 요인
1.2.2. 개인적 요인
1.3. 자영업 성공을 위한 전략
1.3.1. 현장 벤치마킹
1.3.2. 전문가 자문 수용
1.3.3. 트렌드 변화에 대한 유연성
2. 일과 직업에 대한 인식
2.1. 나의 직업에 대한 만족도
2.2. 직업 선택의 계기
2.3. 직업의 긍정적 기능
2.4. 직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2.5. 이상적인 직업에 대한 견해
2.6. 다른 직업에 대한 욕구
2.7. 구직자에게 주는 조언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영업 실태와 성공을 위한 전략
1.1. 자영업의 실태
1.1.1. 자영업의 폐업률 및 생존률
자영업의 폐업률 및 생존률은 매우 높은 편이다. 국세청에 따르면 창업자 106만 8,000명 중 폐업하는 자영업자는 73만 9,000명에 달하여 절반 이상이 창업 후 폐업의 절차를 밟게 된다. 또한 중소기업연구원의 조사 결과, 자영업자의 창업 후 생존 비율은 시간이 지날수록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창업 후 1년에는 83.8%가 생존했지만, 창업 후 3년에는 40.5%, 창업 후 5년에는 29.6%만이 생존했다. 이는 자영업자의 절반 이상이 5년 내에 폐업하게 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자영업의 폐업률은 매우 높고, 생존률은 매우 낮다고 볼 수 있다.
1.1.2. 업종별 폐업률 현황
업종별 폐업률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국세청의 조사에 따르면, 자영업 폐업자 73만 9000명 중 요식업이 20.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소매업이 19.9%, 부동산/임대업이 12.3%, 운수/창고업이 7.3%를 차지하였다.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와도 유사한데, 학생들은 요식업, 소매업, 운수업/창고업, 부동산/임대업 순으로 폐업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처럼 요식업과 소매업이 자영업 폐업률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1.2. 자영업 실패의 원인
1.2.1. 사회적 요인
사회적 요인들은 자영업자의 폐업률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크게 경기적 요인, 비용적 요인, 경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경기적 요인은 소비자물가지수, 지역 내 총생산(GRDP), 실질 GDP 증가율이 낮을수록 자영업자의 폐업률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소비자의 경제적 여건이 좋을수록 자영업은 성황을 이루지만, 그 반대의 경우에는 폐업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비용적 요인은 중소기업대출금리, 임대료, 상용종사자수로 측정한 비용이 클수록 폐업률이 증가한다는 것을 뜻한다. 특히 상용종사자수는 고용계약기간이 길고 근로일수가 많은 근로자를 말하는데, 이러한 근로자의 인건비 증가가 폐업률 증가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경쟁 요인은 동일 행정구역 내 동종 업체수가 많을수록 폐업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특정 상권 내에 유사한 업종의 경쟁업체가 많을수록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폐업률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처럼 자영업자의 폐업률 증가에는 거시경제 상황, 비용 부담, 경쟁 심화 등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2.2. 개인적 요인
자영업 실패의 개인적 요인으로는 자신에 대한 솔직성 부재, 프랜차이즈 본사 선정 실패, 기업가 정신의 부재, 상권 입지 선정 실패 등이 있다.
먼저, 자신에 대한 솔직성 부재는 자신의 부족한 부분에 대해 냉철하게 성찰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이 이 업종에 맞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주변의 권유나 유행 따라 사업을 시작한다면 이는 자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영업자는 자신의 실패에 대한 객관적 자각과 함께 자신의 성향, 적성, 관심사 등을 솔직하게 돌아볼 필요가 있다.
둘째, 프랜차이즈 본사 선정의 실패이다. 자영업 초보자들은...
참고 자료
고중선, 벤처비즈니스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 석사논문, 1991, 40쪽.
국세청, 국세통계연보, 2015.
국세청, 국세통계연보, 2017.
남윤미, 국내 자영업의 폐업률 결정요인 분석, 한국은행 경제연구, 한국은행, 2017, 5쪽.
서울시, 창업 위험 지표, 2017,
이은정, 가게 차렸나요 정신도 차리십시오, 아시아경제, 2015.01.01,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123110141859305
이현정, 소규모 자영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8-39쪽.
통계청, 청년이 선호하는 직장, 2009.
LG경제연구원 – 2020년 국내외 경제전망
정벤윤, (2009). 국제자본이동이 국가위험과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 자본자유화 사례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김화, (2017). 플랫폼 기업의 경쟁: 유로와 무료 콘텐츠 시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이현진, (2004). 지도자의 리더십 연구: 박정희, 김대중 대통령과, 정주영, 이건희 회장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표.1 / 표.2 , 부산항 역사, 부산항만현황, 해양수산정보, 해양정보,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펀드 관련 뉴스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