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급성사구체신염, 급성신우신염 법적 윤리적 의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급성 신우신염 간호과정 사례 보고서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1.2. 연구 기간 및 방법
1.1.3. 문헌고찰
1.2. 본론
1.2.1. 간호사정
1.2.1.1. 간호력
1.2.1.2. 신체검진
1.2.1.3. Vital Sign
1.2.1.4. 진단검사
1.2.1.5. 약물
1.2.2. 간호과정 적용
1.2.2.1. 요로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1.2.2.2. 설사와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1.3. 결론
1.3.1. 연구 결과의 정리
1.3.2. 실습 소감
1.4. 참고문헌
2. 간호관리 보고서: 간호사고 판례에 따른 법적, 윤리적 의무와 책임
2.1. 사례 소개
2.2. 법적, 윤리적 기준 및 분석
2.3. 결론 및 제언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급성 신우신염 간호과정 사례 보고서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급성 신우신염은 요로감염의 일종으로 신장과 상부요로에 세균 감염이 발생하여 염증이 생긴 것을 말한다. 이는 인체 내의 감염증에서 호흡기 감염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자가 간호능력이 떨어지고 기저귀를 사용해야하는 어린 아동의 경우 요로계 감염 후 간호 및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급성 신우신염으로 인해 고열, 오심, 구토 및 요통이 발생하며 합병증으로는 신장농양 및 패혈증과 반복적인 신우신염은 신장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case study를 통하여 병태생리와 그 간호 중재에 대해 연구하여 급성 신우신염에 대한 실제적인 지식을 함양함과 동시에 급성 신우신염 아동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1.1.2. 연구 기간 및 방법
본 연구는 2019년 4월 2일부터 2019년 3월 9일까지 창원**병원 53병동에 입원하신 4개월 남**님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대상자의 APN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대상자를 관찰하고 EMR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그 과정에서의 의문 사항은 이 분야에 대해 잘 아시는 간호사 선생님들께 도움을 부탁드렸다.
1.1.3. 문헌고찰
급성 신우신염의 원인은 세균이고 그중에서도 대장균의 감염에 의한 것이 많으며, 특히 처음부터 급성신우염이면 대장균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신우신염은 항생제 사용의 증가로 점차 원인균의 종류가 변하여 최근에는 대장균을 비롯한 변형균이나, 녹농균과 같은 그람음성간균이 상당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요로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요정체이다. 대개 소변은 무균상태지만 37℃에서는 소변이 훌륭한 균배양의 매개체 구실을 한다. 그러므로 방광 내에 소변이 남아 있으면 세균이 요도에서부터 풍부한 매개체 안에서 빠르게 자리 잡게 된다. 신우신염은 방광과 요로 사이의 구조적 이상이나 역류 현상, 요로에 종양, 협착, 결석, 전립선 비대 등이 있어 소변의 흐름이 자유롭지 못할 경우 빈도가 현저히 증가한다. 세균이 신장으로 침입하는 경로는 혈관과 림프관 그리고 요관이며 이중 요관이 특히 중요하다. 예를들면 세균감염에 의하여 요도염이나 방광염이 발생되고 어떤 원인에 의해 소변이 아래에서 위로 역류하는 이상현상이 생기면 세균이 신장으로 역행하여 신우신염이 발생하게 된다. 여아의 요도는 짧고, 질이 항문과 가까이 있어 대장균에 감염되기 쉽고, 꽉 조이는 옷이나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어 더욱 감염되기 쉽다. 구조적 기형에 의한 경우와 신생아기를 제외하면 2-6세 사이에 주로 발병되며, 여아가 남아보다 10-30배 더 많은 발병률을 보인다.
1.2. 본론
1.2.1. 간호사정
1.2.1.1. 간호력
남**님의 간호력은 다음과 같다. 남**님은 4개월 여자아기로 진단명은 Acute pyelonephritis이다. 출생 시 체중은 3.5kg이었으나 현재 체중은 8kg이다. 가족력 상 별다른 질병력이나 수술경험, 알레르기 등은 없었다. 입원 전 5일째부터 간헐적 설사 증상이 있었으며, 입원 전날부터 고열이 발생하여 LMC를 내원하였고, 이후 검사상 R/O UTI 소견으로 본원에 내원하게 되었다. 기저질환이나 선천성 기형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남**님은 특별한 기저질환 없이 요로감염으로 인한 급성 신우신염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2.1.2. 신체검진
신체검진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BCG 접종이 된 상태이며, DPT 1차에서 5차까지, MMR 접종은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소아마비 1차에서 4차 접종까지 시행하였고, B형 간염 예방접종도 받지 않은 상태이다. 아기의 예방접종력을 확인한 결과, 아직 일부 권장 접종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검진 결과, 체중은 8kg, 키는 70cm로 측정되었다. 전반적인 활력징후와 신체상태는 양호한 편이었으나, 간헐적인 설사와 발열 증상이 관찰되었다...
참고 자료
김영혜, 2018, 최신아동건강간호학, 수문사, 제1판, 850쪽
황옥남, 2018, 성인간호학1, 현문사, 제7판, 411쪽
양선희, 2018, 핵심 기본간호수기, 현문사, 제2판
양선희, 2018, 기본간호학1, 현문사, 제3판, 222쪽
양선희, 2018, 기본간호학2, 현문사, 제3판, 17쪽
원종순, 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187쪽
킴스온라인(http://www.kimsonline.co.kr/)
대한비뇨의학회(http://www.urology.or.kr/)
세브란스병원(http://sev.iseverance.com/)
서문경애 외, 『제2판 간호관리학』, 현문사, 2020
이영란 외, 『보건의약관계법규』, 신광출판사, 2021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LSW/main.html
판례 https://www.law.go.kr/precInfoP.do?mode=0&evtNo=2005%EB%8F%848980#AJA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