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화 Wit 분석 종양간호학 감상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화 'Wit' 속 환자의 경험과 의사소통
1.1. 환자의 질병 경험
1.1.1. 신체적 요소
1.1.2. 정신적 요소
1.1.3. 사회적 요소
1.1.4. 영적 요소
1.2. 간호사-환자 의사소통
1.2.1. 의사-환자, 간호사-환자 의사소통
1.2.2. 연명의료 논의
1.3. 임종간호 핵심역량
1.3.1. 증상관리
1.3.2. 완화의료에서 간호사의 역할
1.4. 영적 성장
1.5. 생명의료윤리
1.5.1. 한국간호사 윤리지침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화 'Wit' 속 환자의 경험과 의사소통
1.1. 환자의 질병 경험
1.1.1. 신체적 요소
환자 비비안 베어링은 화학요법의 부작용으로 인해 신체적 고통을 겪고 있다. 베어링은 화학요법을 받으면서 이틀 동안 먹을 것이 없어도 구토를 하고, 책을 읽다가도 백혈구감소증이 오면서 갑자기 열이 나고 통증이 찾아오는 등 여러 가지 신체적인 고통을 경험한다. 이로 인해 가만히 있다가도 갑자기 구토하거나 통증을 느끼게 되면서 정신적 고통도 함께 수반되며, 삶의 활력을 잃어버리게 된다. 화학요법의 부작용으로 인한 신체적 변화들을 몸소 느끼면서 죽음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직감하게 되는 베어링의 모습은 암 환자가 겪는 신체적 고통을 잘 보여주고 있다.
1.1.2. 정신적 요소
화학요법을 받음에 따라 탈모가 오고 하루하루 무력해지는 등 변해가는 자기 몸을 몸소 느끼게 되면서 죽음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직감하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 엄청난 정신적 스트레스가 따라올 것이다. 그리고 베어링은 일반적인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가 아닌 화학요법을 받는 연구대상자처럼 그려지는데, 자신을 인간보다는 연구대상자로 대함에 따라 인간적으로 대우받지 못하는 경험을 통해 인간으로서의 자신감도 점점 잃어가게 될 것 같다.
1.1.3. 사회적 요소
베어링은 병원에 입원하는 동안 가족이나 친구 등 찾아오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 하지만 새벽 4시에 혈관 주사 줄을 막아서 기계 알람이 울리게 하여 간호사가 병실에 찾아오는 장면이 있었는데 이를 통해 베어링이 외로움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베어링의 좁은 대인관계는 참을 수 없는 외로움을 불러일으키지 않았나 싶다. 베어링은 특히나 말기 환자로 주위 사람들의 지지가 필요할 것 같은데 기댈 곳이 간호사뿐이라는 것이 안타까웠으며, 간호사의 환자 지지의 중요성을 다시 깨달을 수 있었다."
...
참고 자료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대한간호협회, 한국간호사 윤리지침,
http://www.koreanurse.or.kr/about_KNA/ethics.php?mn=3#a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