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들어가며
1.1. 저자의 문제의식
도킨스는 우리에게 삶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그에 의하면 살아 숨 쉬는 우리는 사실 태초에서 지금까지 여러 다른 생명체의 몸을 통해 끊임없이 그 명맥을 이어온 DNA의 '계획'에 따라 움직이는 기계일 뿐이다."그래서 그는 DNA를 '불멸의 나선'이라 부르고 그의 지령에 따라 움직일 수밖에 없는 모든 생명체를 '생존기계'라 부른다."이러한 점을 미루어 보면, 도킨스는 철저히 자연과학적 입장에서 생명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생명이 가지고 있는 모든 종류의 관념에서부터 자유롭기를 시도한다."여기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생명의 존엄함이 아닌 통계적으로 바라본 생물 생존패턴의 자료화라고 볼 수 있다."철저한 관찰을 통한 귀납적 추론으로 그는 생명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이기성을 파헤치고 있는 것이다."
1.2. 새로운 관점의 제시
도킨스는 우리에게 삶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그에 의하면 살아 숨쉬는 우리는 사실 태초에서 지금까지 여러 다른 생명체의 몸을 통해 끊임없이 그 명맥을 이어온 DNA의 '계획'에 따라 움직이는 기계일 뿐이다"" 도킨스는 철저히 자연과학적 입장에서 생명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지만, 생명을 유전자에 의해 지배되는 생존기계라고 표현함으로써 생명이 가지고 있는 모든 종류의 관념에서부터 자유로워지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생명의 존엄함이 아닌 통계적으로 바라본 생물 생존패턴의 자료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철저한 관찰을 통한 귀납적 추론으로 도킨스는 생명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이기성을 파헤치고 있다""
2. 도킨스의 주요 논점
2.1. 유전자 결정론
도킨스는 유전자가 생명체의 행동과 진화를 결정한다는 유전자 결정론을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생명체는 단순한 "생존 기계"에 불과하며, 유전자의 복제와 전달이 생명체 행동의 근본 원인이다. 유전자 결정론은 생명체의 행동과 진화가 유전자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즉, 행동과 진화가 환경이나 문화의 영향을 받기보다는 유전자의 지시에 따른다는 것이다.
이러한 유전자 결정론은 기존의 생물학적 관점을 변혁시킨 획기적인 이론이다. 전통적으로 생물학자들은 개체나 종의 생존과 진화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도킨스는 유전자 수준에서 생명현상을 설명하고자 했다. 그에 따르면 유전자가 자신의 복제를 위해 이기적으로 행동하며, 생물체는 단순히 유전자의 보존과 전달을 위한 "생존 기계"에 불과하다. 이는 생물체가 자율적인 존재가 아니라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수동적 존재라는 의미이다.
도킨스는 이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다양한 생물학적 관찰과 실험 사례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그는 동물들의 이타적 행동이나 인간의 문화적 전통 등이 결국 유전자의 이기적 복제 전략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즉 생명체의 행동과 사회적 관계가 모두 유전자의 복제와 전달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도킨스의 유전자 결정론은 획기적이지만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일부 과학자들은 유전자의 역할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환경이나 문화의 영향을 간과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