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비버 비효과적 대처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대상자 정보
1.1. 일반적 정보
1.2. 현재 병력
1.3. 가족력
1.4. 현재 상태
1.4.1. 정신상태 검진
1.4.2. 신체상태 검진
1.4.3. 사회, 경제적 기능사정
1.4.4.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
1.4.5. 환자의 지지체계
2. 간호과정
2.1. 판단력 손상과 관련된 비효과적 대처
2.2. 문제해결기술의 부족과 관련된 손상된 가족 대처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대상자 정보
1.1. 일반적 정보
월터 블랙은 만 51세의 남성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기혼자이며 배우자와 두 명의 아들과 함께 살고 있다"" 그는 과거에 장난감 회사의 대표를 역임하였으나, 현재는 무기력하고 우울한 상태이다. 월터의 종교는 없으며, 경제상태는 보통 수준이다""
1.2. 현재 병력
월터 블랙은 약 2년 전부터 주요 우울 장애를 앓고 있다"" 월터는 2년 전부터 우울증이 발병하여 증상이 지속되고 있다. 그는 무력감과 우울감, 절망감을 느끼며 자살시도를 2차례나 하였다. 첫 번째는 욕실에서 목을 맸으나 실패했고, 두 번째는 10층 베란다에서 뛰어내리려 했으나 실패하였다. 또한 자신의 손목을 절단하는 자해 행동도 보였다. 월터는 약물 치료를 받아왔지만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으며, 현재는 약물을 복용하지 않고 있다. 그는 병원 치료에 대한 거부감이 크고, 대신 인형 '비버'와 대화하며 자신의 우울한 감정을 달래려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이 월터의 증상을 호전시키기보다는 오히려 악화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1.3. 가족력
가족력은 월터의 우울증 발병과 관련하여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월터의 아들 포터는 아버지의 우울증으로 인한 행동에 부끄러움을 느끼며, 아버지와는 다른 삶을 살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월터의 아내 메레디스는 월터의 증상을 이해하려 노력하지만 결국 힘들어하며, 월터를 혼자 두고 떠나는 등 가족들이 월터의 우울증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월터의 가족들은 그의 우울증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월터의 상태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1.4. 현재 상태
1.4.1. 정신상태 검진
정신상태 검진 결과는 대상자가 명료한 의식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지남력 및 기본적인 지적 기능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행동 및 활동 상태는 거의 없으며, 언어적 상호작용도 매우 제한적이었다"" 대상자의 정서 상...
참고 자료
이미형 외, 『정신건강간호학[제6판]』, 현문사, 2019
송경애 외,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2017
박명화 외, 『노인간호학』, 정담미디어, 2017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http://www.eosmhc.or.kr/new/html/sub04_2_3.html 대구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 SSI-BACK
보건복지부 / CSE-D척도
한국심리상담연구소(http://www.kccrose.com/) / 관계 효율성 훈련(E.T) – 효과적인 부모역할 훈련(P.E.T.)
한국심리상담연구소(http://www.kccrose.com/) / 인간관계와 자기표현훈련
한국심리상담연구소(http://www.kccrose.com/) / 마음의 문을 여는 8가지 열쇠
http://suicideprevention.or.kr/02_sub/05_sub.html 한국 자살 예방협회
https://www.familynet.or.kr/web/index.do 건강가정지원센터
http://www.nmhc.or.kr/introduction/history.php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http://www.kccrose.com/ 한국심리상담연구소
『간호대학생을 위한 왜?어떻게? 10. 정신간호』, 2018, 의학교육,108~148P
임숙빈 외 6명, 정신간호총론 제 7판 수정판,수문사, 2017, 337~35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