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방암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유방암
1.1. 정의 및 종류
1.2. 병태생리
1.3. 임상증상
1.4. 진단
1.4.1. 자가검진
1.4.2. 유방촬영술
1.4.3. 유방초음파
1.4.4. 조직검사
1.5. 치료
1.5.1. 수술
1.5.2. 항암화학요법
1.5.3. 항호르몬요법
1.5.4. 표적치료
1.6. 간호중재
1.6.1. 통증관리
1.6.2. 낙상예방
1.7. 예후 및 재발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유방암
1.1. 정의 및 종류
유방암은 유방 조직에 생긴 악성 종양을 말한다". 유방암은 발생 부위에 따라 실질조직과 간질조직에서 생기는 암으로 나뉜다. 또한 암세포의 침윤 정도에 따라 침윤성 유방암과 비침윤성 유방암으로 구분된다.
침윤성 유방암의 경우 유관을 이루는 세포에서 기원한 것으로 전체 유방암의 75~85%를 차지한다. 반면 침윤성 소엽암은 소엽을 구성하는 세포에서 기원한 것으로 전체 유방암의 5~10% 정도를 차지한다.
비침윤성 유방암에는 유관 상피내암과 소엽 상피내암이 있다. 유관 상피내암의 경우 유관 세포에 생긴 암이지만 유관의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은 초기 암이며, 소엽 상피내암은 소엽 세포에서 생긴 초기 암이다. 이들은 침윤성 암에 비해 예후가 좋다.
한편 유방 파제트병은 전체 유방암의 1~2% 미만으로 드문 형태의 암으로, 유두 및 유륜 피부에 발생한다.
1.2. 병태생리
유방암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유방의 상피세포는 에스트로겐 등의 여성 호르몬의 자극을 받아 성장 및 분열을 하게 되는데, 유방의 상피세포들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에 노출된 기간이 길수록, 즉 출산이나 모유 수유 경험이 없거나, 초경이 빠르거나 폐경이 늦어 생리를 오래한 여성이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다. 또 폐경 후 여성이 비만한 경우에도 여성호르몬이 많아져 유방암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유방암 환자의 5~10%에서는 유전 소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BRCA1과 BRCA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유전성 유방암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유방암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연구를 통해 유방암 환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을 비교하였을 때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점을 위험인자라고 한다. 유방암의 위험인자로는 여성 호르몬(에스트로겐), 연령 및 출산 경험, 수유 요인, 음주, 방사선 노출, 유방암의 가족력 등이 알려져 있다.
1.3. 임상증상
유방암의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유방암은 한 쪽에서만 만져지는 하나의 종괴가 발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증은 없으며 부드럽지 않고 단단하며 모양이 불규칙하고 움직이지 않는다. 병변 덩어리(멍울)는 직경 1cm에서부터 수 cm까지 다양한 크기로 측정된다. 대부분 유방암은 유방의 상부 외측 4분의 1부위에서 주로 발견된다.
유두 분비물과 퇴축, 림프조직의 폐쇄로 피부부종과 확대된 구멍과 함께 두꺼워진 피부가 되며 이러한 피부는 때로 오렌지 껍질 모양을 나타낸다. 종괴가 촉진되는 경우는 64~70%이며 4-30%의 경우에는 유방 조영술로 발견된다.
그 밖에도 유방피부가 두꺼워지거나 유방의 크기나 모양이 변할 수 있으며, 피부의 색깔이나 감각이 변하거나 유두에서 분비물이 나올 수도 있다. 유방암의 증상은 멍울, 장액성(진물) 혹은 혈성 유두분비, 유방통, 유두함몰, 유두습진 등이다.
1.4. 진단
1.4.1. 자가검진
유방 자가검진은 유방암을 조기에 발견하는데 매우 중요한 검진 방법이다. 유방암 자가검진은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으로, 한 달에 한 번씩 실시하면 유방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여성의 건강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건강행위이다.
유방 자가검진은 10대 후반부터 매달 시행하는 것이 좋으며, 월경이 규칙적일 때는 월경 후 1~7일 사이에 유방 조직이 부드러워져 검사하기 좋다. 폐경이 된 경우에는 매월 첫째 날을 자가검진 일로 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국내 연령별 조기검진 권고안에 따르면 30세 이후부터 매월 1회 유방 자가검진을 권장하고, 35세 이후부터는 2년 간격으로 의사에 의한 임상검진을 받도록 하고 있다. 또한 40세 이후에는 1~2년 간격으로 임상진찰과 유방촬영 검사를 받도록 권고하고 있다.
유방 자가검진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울 앞에 서서 유방을 살펴본다. 유두에...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이은희, 김유정, 안지원, 최예숙, 고영지, 고정미, 김향동, 김현정, 조미희, 주영주(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서울: 고문사.
윤은자, 김숙영, 김옥숙, 소향숙, 서연옥, 이은남, 이은자, 석소현, 박연환, 류은정, 박영미, 백영화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II』. 경기: 수문사
Ivan Damjanov, Valentina L. Brashers 공저(2017). 『병태생리학과 임상적용』. 한국기초간호학회 편역. 서울: 엘스비어코리아
충남대학교병원 대전지역암센터(2019). 『유방암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이해』. 대전: 충남대학교병원 대전지역암센터
최경숙, 김미숙, 이인자, 한상영, 박정애, 이주현. (2011). 『유방암환자 대상 국내 간호중재 연구 분석』. Asian Oncology Nursing, 11(1), 74-82.
김은자, 현진숙, 한정화, 김나현. (2016). 『상담일지에 근거한 재가 유방암 환자의 간호요구도 내용분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0(3), 420-433.
성미혜 외 3명,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2018년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유방암)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46421&cid=60406&categoryId=60406#TABLE_OF_CONTENT14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유방암)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30&cid=51007&categoryId=51007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송경애 외. 2019.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황옥남 외. 2017.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황옥남 외. 2017.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2020. 여성건강간호학Ⅰ.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