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실습 느낀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문헌고찰
2. 접촉주의 감염관리
2.1. 접촉주의 정의 및 종류
2.2. 접촉주의 감염병의 검사방법 및 치료
2.3. 접촉주의 감염관리의 현황
3. 임상에서의 접촉주의 적용
3.1. 접촉주의 매뉴얼 임상 적용
3.2. 접촉주의 매뉴얼의 한계
4. 개선과 제언
4.1. 의료현장을 고려한 감염관리지침 수립
4.2. 감염환자 확인 시스템 마련
4.3. 항생제 사용 관리 강화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의료관련감염은 의료기관 내에서 환자나 의료종사자에게 발생하는 감염을 말한다. 이는 환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주요 문제 중 하나로 간주된다. 특히 다제내성균 감염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기존 항생제로 치료가 어려워 환자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제내성균 중에서도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다제내성 녹농균(MRPA),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MRAB),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RE) 등은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 병원체는 치료에 어려움을 겪게 하고, 전파력이 강해 의료기관 내 집단발생이 우려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제내성균 감염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접촉주의 감염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접촉주의 정의와 종류, 감염병의 검사방법 및 치료, 접촉주의 감염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임상 현장에서의 접촉주의 매뉴얼 적용과 한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의료현장을 고려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1.2. 문헌고찰
원발성 간암의 80~90%는 간의 실질세포(간세포암)에서 발생하며, 나머지 10%는 담관에서 발생하는 담관세포암이다. 간암의 진행 과정은 비슷하지만, 이 종양들은 양성 혹은 악성이다. 간의 샘종(adenoma)은 주로 20대와 30대의 여성에게 발생하는 간의 양성 종양이다. 악성 종양으로는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이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암 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 간암은 남자의 경우 위암, 대장암, 폐암 다음으로 많으며 40~50대에 흔히 발생한다. 다른 유형의 악성 종양으로는 담관세포암이 있다.
간암의 중요한 원인은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이며, 그 외에 부패된 땅콩, 옥수수 등에 피는 아스페르길루스라는 곰팡이에 존재하는 아플라톡신 B1이라는 발암 물질의 섭취, 알코올성 간염과 모든 원인의 간경화증이 간암 발생을 일으킬 수 있다. 우리나라 간암 환자의 70%가 B형 만성 간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10% 정도는 C형 만성 간질환과 연관된다. 알코올성 만성 간질환과 관련된 경우도 약 10% 정도이며, 원인이 불명확한 경우가 나머지 10%를 차지하는데 비만 등과 관련된 지방간염이 원인으로 의심받고 있다.
간세포암의 중요한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양성 간종양인 간의 샘종은 혈관 분포가 많아 위험하며, 파열될 수 있고 출혈이 있을 수 있다. 악성 간종양인 간세포암의 경우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이 중요한 원인이 되며, 이러한 위험요소에 노출된 사람은 간암에 걸릴 위험이 높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단기간에 간암 환자가 되는 것은 아니며, 대개 수십 년에 걸쳐 여러 번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축적되어야 암이 발생한다. 전이성 간종양은 간이 혈류량이 많고 크기가 크며 주요 복부 장기로부터의 문맥계로 배액되기 때문에 모든 암으로부터 전이가 잘 일어나는 기관이다.
간암의 증상은 다양하지만 대부분의 증상은 종양이 상당히 커질 때까지는 나타나지 않는다. 간세포암의 초기 증상은 오른쪽 상복부 덩어리 만져짐, 상복부 팽만감, 피로, 체중감소, 복통 등이며, 후기에는 피로감 악화, 식욕부진, 허약감, 황달, 복수, 간부전 증상 등이 나타난다. 간암의 진단은 초음파, CT, 간스캔, 간동맥 촬영법, MRI 등의 영상검사와 혈액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혈액검사 결과 ESR 증가, 빈혈, 고빌리루빈혈증, 알칼리 인산분해효소 상승, ALT/AST 상승, 저혈당, 저알부민혈증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종양표지자인 알파태아단백(AFP)이 증가하는 경우가...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수문사 (2022) :17장 간.담낭과 췌장의 건강문제와 간호
차영남 외 공저(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원종순 외 4명 공저 :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 현문사
통계청 https://kostat.go.kr/ansk/
국민건강보험공단 https://www.nhis.or.kr/
드러그인포, 약품검색 https://www.druginfo.co.kr/detail/product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의학정보(간암):서울대학교병원http://www.snuh.org/health/nMedInf
질병관리본부,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 충북, 2017.
질병관리본부, 다재내성균 감염관리지침, 2012.
질병관리본부, 의료관련감염병 관리지침, 2016.
법제청,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2023.
질병관리청, 의료관련감염, 함께 실천하고 예방해요!, 2023.10.17
“6종 항생제 내성균 5년 집계했더니… MRSA가 47%”, 메디소비자뉴스, 2019.04.26
“의료현장 고려한 ‘항생제 내성균’ 감염관리안 필요”, 의학신문, 2020.05.25.
송경애, 박형숙 외. 최신 기본간호학 Ⅰ. 파주 : 수문사; 2019
황옥남, 유양숙 외. 성인간호학 상권. 제 7판. 서울 : 현문사; 2019
박은영, 송미령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 서울 : 현문사; 2019.
김정애 외.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1판. 파주: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흉부 X선 촬영(인터넷). 2022.10.15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TEST&medid=BA000042
서울아산병원. 산도(인터넷). 2022.10.15.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85
서울아산병원. 크렉산주(인터넷). 2022.10.15.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X-CL20
약학정보원. 룸제브퀵펜주(인터넷). 2022.10.15.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20123000009
서울아산병원. 트레시바 플렉스터치주(인터넷). 2022.10.15.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P-TRESIB
네이버 약학용어사전. 트리마돌(인터넷). 2022.10.1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82560&cid=59913&categoryId=59913
서울아산병원. 리피토 정(인터넷). 2022.10.15.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LIPIT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