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족신화에대해서술하고나의가족이공유하고있는가족신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체계로서의 가족
1.1. 체계로서 가족을 바라보는 시각
1.2. 가족체계의 주요 특징적 개념
1.2.1. 가족하위체계
1.2.2. 가족경계선
1.2.3. 순환적 인과관계
1.2.4. 가족신화
1.2.5. 제휴
1.2.6. 핵가족 정서체계
1.2.7. 가족투사과정
1.2.8. 가족생활주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체계로서의 가족
1.1. 체계로서 가족을 바라보는 시각
인간은 여러 개의 하위체계로 구성된 살아 있는 체계이며, 개인은 각각의 하위체계를 구성하는 동시에 보다 큰 체계에 속해 있다. 가족 역시 전체 확대가족의 한 부분이고, 확대가족은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한 요소이며, 이러한 지역사회가 모여서 시·군·구가 되고 국가가 된다. 이처럼 가족은 더 큰 체계의 한 요소이며 많은 다양한 체계들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유지·발전된다고 볼 수 있다.
가족은 다양한 체계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부부하위체계, 형제하위체계, 부-녀 하위체계, 모-녀 하위체계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체계간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체계이론에서 가족은 한 개인이 다른 가족 성원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게 되면 성장하고 발전하겠지만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하게 되면 갈등과 퇴행, 문제행동을 보이게 된다고 보고 있다.
기본적으로 체계는 안정성을 유지하려고 하고 체계를 이루는 요소들은 체계가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존재가 되려 한다. 그러나 안정적인 균형이 깨지게 되면 갈등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는 체계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더 이상 체계의 안정이나 공동의 목적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타협이나 화해 없이 각자의 방향과 목적만을 추구하게 된다.
이처럼 가족은 체계론적 시각에서 볼 때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가족 전체가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하나의 사회체계로 이해할 수 있다. 가족 체계 내에서 개인의 행동이나 변화는 가족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가족의 특성 및 기능은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특성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 전체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1.2. 가족체계의 주요 특징적 개념
1.2.1. 가족하위체계
가족은 그 안에 부부 하위체계, 부모-자녀 하위체계, 형제-자매 하위체계, 여성하위체계, 남성하위체계와 같이 여러 개의 하위체계를 포함하며, 이러한 하위체계로 구성된 가족은 그보다 넓은 학교나 지역사회와 같은 상위체계의 부분이 된다""
부부 하위체계는 두 사람이 결혼을 해서 새로운 가족을 이룰 때 형성되며, 부부 하위체계를 형성하는데 관련되는 과정은 조정이다. 조정은 배우자간의 역할에 적응하고 역할을 협상함을 의미한다""
부모 하위체계에서 각 배우자는 자녀에게 엄격함과 자상함을 적절히 조화롭게 제공하기 위해서 상호간에 서로 지원하고 조정하는 문제에 직면한다. 부모가 책임을 떠맡게 되는데 무슨 문제에 관해 언제 어떻게 책임을 맡느냐는 것이 또 하나의 중요...
참고 자료
박수원 저, ‘가족 체계유형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 서울, 2003
김유숙, (2007), 『가족상담』, 학지사
구현정외, (2005), 『의사소통의 기법』, 법문사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