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난소암의 정의 및 중요성
난소는 자궁 양쪽에 있으며 난포를 생산하고 여성호르몬을 만드는 기관이다. 난소암이란 이러한 난소에 암이 생긴 경우를 말한다.""
난소암은 여성암 중 가장 치명적인 질환 중 하나로, 전체 부인암 발생의 약 25%를 차지한다. 난소암의 발생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가족력, 유전적 요인, 장기간의 배란 및 월경 등이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서구화된 식생활과 생활 습관 변화로 인해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난소암은 초기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대부분 진행된 병기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여 크게 관심을 두지 않다가 병이 상당히 진행된 후에야 복부 팽만감, 식욕부진, 소화불량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난소암은 증상이 비특이적이어서 조기 진단이 어렵고, 진단 당시 이미 진행된 상태인 경우가 많아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다.""
이처럼 난소암은 여성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질환 중 하나로, 적극적인 예방과 조기 진단, 효과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난소암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요구되는 이유이다.""
1.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난소암 대상자의 간호과정을 통해 대상자의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해결하고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난소암 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간호진단을 내려 적절한 간호중재를 계획 및 수행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난소암 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난소암의 원인
난소암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여러 요인들이 난소암 발생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 배란 및 생식력과 관련이 있다. 배란과 같은 난소피질 표면상피의 손상을 유발하는 현상들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상피성 난소암 발생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독신 여성, 낮은 출산력, 미산부 등이 위험요인으로 여겨지며, 반대로 수유부와 임신 횟수가 많을수록, 경구피임약을 장기간 복용할수록, 초경이 늦을수록, 폐경이 빠를수록 배란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보호기간"이 길어져 난소암 발생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둘째, 가족력 및 유전적 요인이 관련된다. 대부분의 상피성 난소암은 산발적으로 발생하지만 전체 난소암의 5~10%는 유전성 또는 가족성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BRCA1 또는 BRCA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있는 여성에서 난소암과 유방암의 발생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부위 특이적 가족성 난소암, 유전성 비폴립 대장암 등도 유전적 위험요인에 해당한다.
셋째, 서구화된 식생활 등의 환경적 요인이 관여할 수 있다. 난소종양의 발생이 임신횟수, 초경연령, 폐경연령 등의 변화, 호르몬제제의 노출 등과 연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 여성에서 난소암의 발병이 증가하는 추세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난소암의 발생에는 여성의 생식력, 유전적 소인, 그리고 점점 서구화되고 있는 생활습관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2.2. 난소암의 병태생리
난소암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난소 종양의 발생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그러나 지속적인 배란이나 외부의 자극에 의하여 낭종 발생이 처음 유발이 된다는 가설이 유력하다. 난소 표면에 상처가 생기면 생식세포가 난소내부로 함몰이 되면서 들어가 낭포를 이루며 이 속에 점점 액체가 고이고 유출되지 않아 그 크기가 점점 커지고 낭종이 발생한다"이다.
둘째, 상피성 난소암의 조직학적 유형은 다양하다. 난소암의 90%를 차지하는 상피성 난소암은 장액성이 75~80%, 자궁내막모양이 10%, 점액성이 5%, 투명세포암이 5% 이며, 브랜너종양, 미분화암 등이 1%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비상피성 세포암은 모든 난소암의 10%이며, 생식세포종양, 성삭기질종양, 난소로의 전이암 및 다양한 희귀 난소암 등이 포함된다"이다.
셋째, 장액성 난소암은 난소표면 상피세포의 함입으로 발달하며 장액성 액체를 분비한다. 점액성 난소암은 낭종성 종양으로, 상피성 난소암의 약 5~15%이며, 점액성 난소종양의 약 60%가 경계성 종양이다. 자궁내막모양 난소암은 선종성 양상을 보이며 상피성 난소암의 약 10~15%를 차지한다. 투명세포암은 정확한 발생 빈도를 예측하기 어려우나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