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유능한 관찰자로서 전문성과 부모로부터 신뢰를 얻기 위한 전략
1.1. 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관찰자로서의 역할
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관찰자로서의 역할이다. 보육교사는 영유아의 전반적 발달상황에 대해 관찰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관찰결과를 보육계획안에 적용함으로서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보육교사는 관찰자의 역할을 충실히 임함으로서 영유아의 개별적 차이와 요구사항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1.2. 유능한 관찰자로서 전문성과 부모로부터 신뢰를 얻기 위한 전략
유능한 관찰자로서 전문성과 부모로부터 신뢰를 얻기 위한 전략은 다음과 같다.
아이로 하여금 잘 인사하기, 존댓말 하기를 훈육하는 것만으로도 부모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아이들 중에는 어른들에게 어떻게 인사하는지 알지 못하는 아이들도 있고, 존댓말을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아이도 있다. 이에 보육교사는 어떤 아이들이 존댓말을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지 그리고 어른들에게 인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지를 관찰하고, 아이로 하여금 어른들에게 제대로 인사하고 존댓말을 사용하도록 훈육하는 것으로 부모로부터 유능한 보육교사로 인정받을 수 있다."
가정통신문이나 알림장에 개별 영유아의 문제상황과 그에 따른 가정교육법을 적는 것으로도 부모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보육교사가 개별 아동에 대한 관찰을 지속하면서, 아동의 문제행동(편식, 폭력, 틱장애 등)을 부모에게 가정통신문이나 알림장을 통해 알리고, 그에 따른 대처방식(가정교육, 의료적 치료 등)을 알릴 수 있다면, 부모는 보육교사에 대한 신뢰를 가지게 될 것이다."
교사가 아이들을 반갑게 맞아주고 부모에게 인사를 잘 하는 것으로 부모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인사는 모든 인간관계에 있어 기본이 된다. 보육교사가 아이들을 어린이집에 등원시키는 부모에게 반갑게 인사하고, 아이들을 사랑으로 훈육한다면 당연히 부모는 보육교사를 인격적으로 신뢰하게 됨은 물론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인정하게 될 것이다. 반면 보육교사가 학부모에게 반갑게 인사하기는커녕 퉁명하게 대하게 된다면, 어떤 부모라도 그러한 보육교사를 신뢰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등원하지 못한 아동을 알뜰히 챙기고, 아이의 건강상의 문제나 기타 가정상황을 세밀하게 묻는다. 어린이집에 위탁된 아이들은 수시로 몸이 아프고 감기나 전염병에 감염되어 어린이집에 등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아이들이 등원하지 못했을 때, 보육교사가 직접 부모에게 연락을 취하여 아이의 건강상태가 어떤지, 건강상의 차도는 있는지를 물어본다면, 보육교사는 간접적인 방식으로 아동에 대한 관찰을 지속할 수 있음은 물론 보육교사에 대한 부모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1.2.1. 아이로 하여금 잘 인사하기, 존댓말 하기를 훈육하는 것만으로도 부모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아이로 하여금 잘 인사하기, 존댓말 하기를 훈육하는 것만으로도 부모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아이들 중에는 어른들에게 어떻게 인사하는지 알지 못하는 아이들도 있고, 존댓말을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아이도 있다. 이에 보육교사는 어떤 아이들이 존댓말을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지 그리고 어른들에게 인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지를 관찰하고, 아이로 하여금 어른들에게 제대로 인사하고 존댓말을 사용하도록 훈육하는 것으로 부모로부터 유능한 보육교사로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1.2.2. 가정통신문이나 알림장에 개별 영유아의 문제상황과 그에 따른 가정교육법을 적는 것으로도 부모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보육교사가 개별 아동에 대한 관찰을 지속하면서, 아동의 문제행동(편식, 폭력, 틱장애 등)을 부모에게 가정통신문이나 알림장을 통해 알리고, 그에 따른 대처방식(가정교육, 의료적 치료 등)을 알릴 수 있다면, 부모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