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호스피스 및 완화의료
1.1. 호스피스 및 완화의료의 정의
완화의료(palliative care)란 진행성 질환의 완치 가능성이 희박한 말기 환자나 시한부 환자를 대상으로 질환의 개선보다도 질환으로 인한 고통과 증상들을 완화시키는 의료행위가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죽음을 촉진시키거나 연기시키는 것보다도 죽음을 기다리는 과정을 정상으로 받아들이면서 환자가 남은 삶을 능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돌봄(care) 행위이다. 완화의료에서 다루는 환자의 고통과 증상 완화의 범위는 신체적인 뿐만이 아니라 정서적, 심리·사회적, 영적인 욕구의 평가 및 관리까지 포괄하며, 역시 환자의 가족들이 환자의 투병기간이나 환자와 사별한 이후에 겪는 아픔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행위도 완화의료에 해당된다. 곧 환자나 가족을 위해 제공되는 완화의료의 기본 목표는 질환의 치료라 하기보다도 삶의 질의 향상에 있다.
1.2. 호스피스 및 완화의료의 목적
완화의료(palliative care)의 목적은 진행성 질환의 완치 가능성이 희박한 말기 환자나 시한부 환자를 대상으로 질환의 개선보다도 질환으로 인한 고통과 증상들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이는 죽음을 촉진시키거나 연기시키는 것보다도 죽음을 기다리는 과정을 정상으로 받아들이면서 환자가 남은 삶을 능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돌봄(care) 행위이다. 완화의료에서 다루는 환자의 고통과 증상 완화의 범위는 신체적인 뿐만이 아니라 정서적, 심리·사회적, 영적인 욕구의 평가 및 관리까지 포괄하며, 역시 환자의 가족들이 환자의 투병기간이나 환자와 사별한 이후에 겪는 아픔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행위도 포함된다. 따라서 완화의료의 기본 목표는 질환의 치료라 하기보다도 삶의 질의 향상에 있다고 볼 수 있다.
1.3. 호스피스와 완화의료의 차이
호스피스와 완화의료는 모두 말기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돌봄 행위이지만, 호스피스는 완화의료보다 시간적으로 더 제한된 개념이다"".
호스피스(hospice)는 임종(end-of-life, EOL)이 임박한 환자와 그 가족에 초점을 맞추는 돌봄 활동을 의미한다. 이는 환자의 남은 생애 마지막 단계에 집중하여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요구를 총체적으로 충족시키고자 한다"".
반면 완화의료(palliative care)는 진행성 질환의 완치 가능성이 희박한 말기 환자나 시한부 환자를 대상으로 질환의 개선보다도 질환으로 인한 고통과 증상들을 완화시키는 의료행위를 제공한다"". 따라서 완화의료의 시간 범위는 호스피스보다 더 넓은 편이다"".
결과적으로 호스피스와 완화의료는 모두 시한부 환자를 대상으로 한 돌봄 행위이지만, 호스피스가 임종을 앞둔 환자와 가족에 보다 집중한다면 완화의료는 말기 환자의 증상 및 고통 완화에 더 초점을 맞추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4. 웰다잉의 개념과 중요성
웰다잉(well-dying)은 2000년대 중반 죽음준비교육을 대중화하는 과정에서 죽음을 기피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고려하여 당시 유행했던 웰빙(well-being)이란 단어에 착안하여 만들어진 용어이다. 죽음준비교육은 죽음에 대한 구체적인 대비뿐 아니라 죽음을 통해 삶의 가치를 발견하여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삶의 교육이라고도 할 수 있다.
사람은 누구나 반드시 죽으며, 언제 어디서 어떻게 죽을 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죽음준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