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처용가의 배경설화를 통해 처용은 어떤존재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처용의 이해
1.1. 처용가와 배경설화
1.2. 처용의 정체에 대한 다양한 관점
1.2.1. 동해 용왕의 아들로서 '신인'이라는 관점
1.2.2. 임금을 보필하는 '신하'라는 관점
1.2.3. 궁중 연희로서의 볼거리라는 관점
1.3. 현대적 관점에서의 처용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처용의 이해
1.1. 처용가와 배경설화
처용가와 배경설화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문화 요소로, 처용이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그의 삶과 역할을 보여주고 있다.
처용가는 『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 중 하나로, 처용이라는 인물의 사연을 노래로 전해준다. 처용은 동해용왕의 아들로 태어나 헌강왕을 따라 서울로 왔고, 당시 궁중연희의 한 부분으로 역할을 하게 된다. 처용의 아내가 역신에 의해 탐해지자, 처용은 노여워하지 않고 오히려 노래와 춤을 추어 역신을 감동시켰다고 한다. 이후 처용의 모습을 그린 부적이 민간에서 널리 활용되면서 처용가가 전해져 오게 되었다.
배경설화 또한 처용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삼국유사』에 기록된 처용의 배경설화에 따르면, 신라의 헌강왕이 개운포에 놀러 갔다가 돌아가려 할 때 동해용의 변괴로 길을 잃게 된다. 이에 헌강왕은 근처에 용을 위한 절을 세우게 하고, 동해용이 일곱 아들과 함께 나타나 왕의 덕을 칭송하며 노래와 춤을 선보인다. 그중 한 아들이 바로 처용이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처용가와 배경설화는 처용이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엮여 있으며,...
참고 자료
귀신을 쫓은 처용가, 저자 일연, 그림 이대종, 출판 킹덤하우스, 2011.07.15.
박경우. (2008). 처용 담론의 추이와 그 전승의 문제. 열상고전연구, 28, 411-424.
처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5583&cid=46620&categoryId=46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