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BIM(Business Information Modeling)의 정의와 개요
1.1. BIM의 정의
BIM(Business Information Modeling)의 정의는 보다 효율적으로 계획, 설계, 시공 및 관리할 수 있는 통찰력과 도구를 제공하는 지능형 3D 모델 기반 프로세스이다. 기존의 CAD 등을 이용한 평면도면 설계에 3D 가상공간을 이용하여 전 건설분야의 시설물의 생애주기의 설계, 시공 및 운영에 필요한 정보, 모델을 작성하는 3차원 설계와 빅데이터의 융복합 기술을 의미한다. 즉, 계획, 설계, 조달, 시공, 유지관리 등 건설의 전주기의 정보를 통합 활용하고, 각 단계의 관계자가 효율적으로 소통하여 건설의 생산·시공·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스마트건설의 핵심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1.2. BIM의 개념적 특징
BIM의 개념적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BIM은 건물을 표현하는 하나의 정보 집합이다. 이는 BIM을 특정 소프트웨어에서 만든 하나 혹은 여러 개의 모델파일로 보는 경우이다. 이 경우 BIM을 Building Information Model로 표현하는 초창기 개념에 속한다. 건물 및 기반 시설물의 형상, 속성 등 다양한 정보를 3차원 모델로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건설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활용할 수 있다.
둘째, BIM을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처리 및 관리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BIM은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혹은 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로 표현된다. 최근 BIM의 구현 및 관리방법이 강조되면서 주로 사용되는 개념이다. 건설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프로세스로 볼 수 있다.
셋째, BIM을 소프트웨어적인 관점에서 빌딩관리를 위한 도구로서 Building Information Modeler로 볼 수 있다. BIM은 오토데스크 사가 2003년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이라는 백서를 내면서 본격화되었지만, 빌딩 관리시스템의 기원은 보다 오래되었다. BIM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건물 및 시설물의 3차원 모델링, 간섭 체크, 시공 시뮬레이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BIM은 건설 프로젝트의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정보를 통합관리하고 활용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다.
1.3. BIM의 목적
BIM의 목적은 디자인 정보를 명확히 하여 설계를 빠른 시간 내에 이해, 평가해 신속한 의사결정을 유도하는 것이다. BIM은 건축계획,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유지, 관리, 에너지 등 건설의 전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기존 2차원 도면정보 체계를 건물의 실제 형상과 정보를 가지는 3차원 솔리드 모델링 기반의 정보체계로 건설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를 통해 BIM은 디자인 정보를 명확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