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산업심리학 분야에서 많은 기업들이 취업 장면에서 서류, 인적성 검사, 능력 검사, 다양한 면접 등을 실시하고 있다. 기업의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이러한 선발 기법들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조사해 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통해 각 기법들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선발 방법 또는 도구를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 입장에서 보면 신입사원을 선발할 때 발탁한 인재가 곧바로 역량을 발휘하여 성과를 낼 수 있어야 한다. 과거에는 신입사원의 역량을 미리 파악하는 데 그쳤지만, 최근에는 직무시험, 인성검사, 역량검사 등을 활용해 기대만큼 성과를 내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하지만 현행 국내 공채제도의 경우 지원자를 걸러내는 변별력은 높일 수 있지만, 비용에도 투자할 수 있는 인재를 채용해야 할까 하는 고민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가장 효율적인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부적격 요인 배제, 선발 단계 독립성 유지, 지원자 긍정 요인 평가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기업이 사용하는 선발기법의 장단점을 평가하고, 공기업의 선발 사례를 중심으로 가장 적합한 선발도구를 선정하면서 이에 대한 나의 의견을 작성하고자 한다.
2. 기업의 모집 및 선발 프로세스
2.1.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2.1.1. CJ가 원하는 인재상
CJ가 원하는 인재상은 유연함, 전문성, 오픈마인드, 성장 포텐셜, 책임감, 가치공유의 6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유연함은 환경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CJ는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 환경 속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인재를 원하고 있다.
둘째, 전문성은 타인에 비해 탁월한 전문지식 및 역량을 보유하고, "Only-One" 정신을 구현할 수 있는 인재를 말한다. CJ는 단순한 범용 인재보다는 특정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선호한다.
셋째, 오픈마인드는 열린 마음으로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자질을 뜻한다. CJ는 폐쇄적이거나 배타적인 태도가 아닌, 외부의 아이디어와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인재를 원하고 있다.
넷째, 성장 포텐셜은 성장잠재력을 소유하고 있는 인재를 의미한다. CJ는 단순히 현재의 역량뿐만 아니라 미래 성장 가능성까지 고려하여 인재를 선발하고자 한다.
다섯째, 책임감은 자신의 일에 책임감을 느끼고 최고를 추구하는 자질이다. CJ는 자신의 역할과 업무에 최선을 다하는 인재를 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가치공유는 CJ의 조직 가치와 개인의 가치가 융합하는 인재를 뜻한다. CJ는 단순히 직무 능력뿐만 아니라 기업문화와 잘 어울릴 수 있는 인재를 선호하고 있다.
이처럼 CJ는 단순한 스펙과 지식 습득을 넘어서 실제 업무현장에서 발휘될 수 있는 다양한 능력과 자질을 갖춘 인재상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급변하는 경영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인재를 확보하여 기업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CJ의 전략적 선택으로 볼 수 있다.
2.1.2. 신라호텔이 원하는 인재상
신라호텔이 원하는 인재상은 '서비스 지향형 인재', '변화 지향형 인재', '미래 지향형 인재'로 볼 수 있다.
신라호텔은 최고의 서비스로 고객을 감동시킬 수 있는 서비스 마인드를 갖춘 인재를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호텔 산업에서 서비스는 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호텔 신라는 종사원의 서비스 마인드를 채용 시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또한 끊임없는 자기 혁신을 통해 개인 및 조직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변화 지향형 인재를 원한다. 급변하는 호텔 산업 환경에서 새로운 변화와 혁신을 선도할 수 있는 인재상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미래를 준비하며 도약할 수 있는 진취적 기상을 가진 미래 지향형 인재를 선호한다.
이처럼 신라호텔은 우수한 서비스 제공, 변화 주도, 미래 대비 등 호텔 산업에서 필요한 핵심 역량을 갖춘 인재를 채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마인드, 창의성, 도전정신 등을 중요한 채용 기준으로 삼고 있다.
2.1.3. 두 기업의 인재상 비교
CJ와 신라호텔의 인재상 비교는 다음과 같다.
CJ는 유연한 자세, 전문성, 열린 마음, 성장 잠재력, 책임감, 가치 공유를 중요한 인재상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CJ는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탁월한 전문성을 갖추면서도 다양성을 수용하고 성장 의지가 높으며 책임감과 조직 가치 공유 능력을 갖춘 인재를 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CJ는 급변하는 경영 환경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를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