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마약 투약 간호 ai"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척수 손상 환자의 간호
1.1. 척수 손상 수준에 따른 기능
1.2. 휠체어 사용 시 고려사항
2.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 대한 사례 연구
2.1. 서론
2.2. 문헌고찰
2.3. 간호사정
2.4. 간호과정
3. 고위험 아동의 간호
3.1. 영양사정
3.2. 발달사정
3.3. 비외상성 간호 및 통증관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척수 손상 환자의 간호
1.1. 척수 손상 수준에 따른 기능
척수 손상 수준에 따른 기능은 다음과 같다.
C3 이상 손상(호흡근이 마비)의 경우 호흡이 어려워 인공호흡기를 사용해야 한다. C4 손상(횡경막을 이용한 호흡 가능)은 자발적 호흡이 가능하지만 팔을 움직일 수 없어 전동 휠체어와 컴퓨터를 머리나 호흡을 이용하여 작동해야 한다. C5 손상(팔꿈치 굽히기 가능)은 보조기 착용으로 숟가락 사용, 세면, 양치 등이 가능하고 손으로 조절하는 전동 휠체어를 사용할 수 있다. C6 손상(손목 위로 젖히기 가능)은 식사, 세면 등의 일상생활을 더 쉽게 수행할 수 있고 수동휠체어를 혼자 밀고 다닐 수 있다. 또한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이 가능하다. C7 손상(팔꿈치 펴기 가능)은 휠체어에서 몸을 들어 올려 침대로 이동할 수 있으며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대부분의 일상생활을 혼자 할 수 있다. C8 손상(손가락 굽히기 가능)은 손가락의 섬세한 동작을 제외한 상지의 모든 근육 힘이 정상이므로 모든 일상생활을 혼자 할 수 있다.
1.2. 휠체어 사용 시 고려사항
휠체어 사용 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휠체어 추진 시 길고 부드러운 반원형의 스토크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짧은 스토크 방법에 비해 휠체어 추진의 횟수를 줄일 수 있으며, 팔이 많이 벌어질수록 어깨 관절의 손상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이러한 동작은 피해야 한다""
휠체어는 가능한 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소재를 이용해 개인 맞춤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수동휠체어 사용 시 팔의 통증이 발생할 경우 전동휠체어로 교체하거나 교대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2.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 대한 사례 연구
2.1. 서론
소화성 궤양 출혈은 위나 십이지장 점막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감염, 약물, 스트레스 등이 주요 원인이다. 특히 한국인의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감염률이 높고 음식 문화로 인해 전파가 쉬워 소화성 궤양에 취약하다. 소화성 궤양이 악화되면 출혈이 동반되어 토혈, 흑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위장 천공이 발생하는 등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도 있다. 따라서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게 양질의 치료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2.2. 문헌고찰
소화성 궤양 출혈(peptic ulcer bleeding)은 위 내벽이 부분적으로 허물어지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소화성 궤양의 주요 원인으로는 심신의 과로, 정신적 스트레스, 만성질환, 해열제나 소염진통제와 같은 약물 등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라는 세균의 감염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화성 궤양의 전형적인 증상으로는 복통, 리듬성 통증, 야간 복통 등이 있으며, 궤양이 악화되면 토혈이나 흑색변 등의 출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의 치료로는 내시경 지혈술, 방사선 중재 치료, 응급수술 등이 필요하며, 퇴원 후에는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와 산분비 억제제 ...
참고 자료
기본간호학2, 양선희 외, 2018, 현문사
재활간호, 김금순 외, 2015, 신광출판사
척수장애 아는 만큼 행복한 삶, 한국척수장애인협회, 2017, 군자출판사
성인간호학 상, LEWIS 외, 2018, 현문사
네이버 건강백과 의약품 사전
드러그인포
서울아산병원, 소화성 궤양 출혈,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21
드러그인포 홈페이지, http://www.druginfo.co.kr/detail/product_cp_cancer.aspx?pid=43624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2판, 현문사, 원종순 외, 2018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윤은자 외 11명, 2019
대한진단검사의학회 홈페이지, http://www.kslm.org/
세브란스병원 건강칼럼, 소화성 궤양, https://sev.iseverance.com/
헬스조선(이주연), 「위장 점막 손상, 소화성 궤양, 자극적인 음식 피해야」, 2019.10.28.,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0/28/2019102800697.html
김영혜 외(2012)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pp16, pp131-134, pp158-163, pp232-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