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업스토어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팜업스토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비건 베이킹 밀키트 비즈니스 모델
1.1. 오스트왈드의 비즈니스모델 캔버스
1.2.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치제안과 주요 기능
1.3.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 가설과 가설 검증
1.4. 실험 설계와 가설 검증 방법

2. 온라인 마케팅 전략 사례 분석
2.1. 저주파 안마기 '클럭'의 STP 전략
2.2. 저주파 안마기 '클럭'의 4P 마케팅 믹스 전략

3. 올리브영 기업 분석
3.1. 상황 분석
3.1.1. 3C 분석
3.1.2. SWOT 분석
3.2. 환경 분석
3.2.1. 미시적 환경 분석
3.2.2. 거시적 환경 분석
3.3. STDP 전략
3.3.1. 시장세분화(Segmentation)
3.3.2. 타겟팅(Targeting)
3.3.3. 차별화(Differentiation) 및 포지셔닝(Positioning)
3.4. 7P 마케팅 믹스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비건 베이킹 밀키트 비즈니스 모델
1.1. 오스트왈드의 비즈니스모델 캔버스

오스트왈드의 비즈니스모델 캔버스는 비건 베이킹 밀키트 사업의 핵심 요소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모델이다. 비건 베이킹 밀키트 사업의 핵심 파트너십(Key Partners)에는 유통·물류 업체, 제품 제조업체, 레시피 개발자, 금융(결제)업체, 판매 업체(스토어팜, 오픈마켓),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등이 포함된다. 핵심활동(Key Activities)으로는 상품 판매, 유통 마케팅, 어플리케이션 개발 등이 있다. 가치제안(Value Proposition)은 비건 베이킹 밀키트, 신선식품 빠른 배송 및 편리함, 자체 레시피 생산, 저렴한 가격, 편리한 UI, 비건식 밀키트로의 확장 등이다. 고객관계(Customer Relationships)는 고객의 소리, 콜센터, 커뮤니티 등이며, 고객세그먼트(Customer Segments)는 일반 고객, 다이어트하는 사람, 비건식단 섭취자, 취미가 베이킹인 사람, 비건 제과제빵사 등이다. 핵심자원(Key Resources)은 직원, 상품 개발/기획인력, 어플리케이션 개발 인력, 유통인력 등이다. 채널(Channels)은 SNS, 웹사이트(PC), 오픈마켓, 스토어팜, 자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이다. 비용구조(Cost Structure)에는 유통 비용, 마케팅 비용, 판매 비용, 온라인 및 어플리케이션 UI 개발 및 유지 비용, 인건비 등이 포함되며, 수익원(Revenue Streams)은 상품 판매, 판매 수수료, 광고비 등이다.


1.2.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치제안과 주요 기능

비건 베이킹 밀키트는 현재 국내에 출시되지 않은 새로운 제품으로, 고객에게 다음과 같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비건 베이킹 밀키트를 제공함으로써 저가의 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기존에는 비건 빵, 디저트 등 완제품만 판매되고 있었지만, 이 제품을 통해 고객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비건 베이킹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둘째, 신선식품의 빠른 배송과 편리함을 제공한다. 판매업체 기준 2일 내외로 배송이 이루어지며, 향후 당일배송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언제 어디서나 신선한 재료로 비건 베이킹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셋째, 자체 개발한 다양한 비건 베이킹 레시피를 제공한다. 고객들은 별도의 레시피 책 구입이나 베이킹 클래스 수강 없이도 손쉽게 비건 베이킹을 즐길 수 있다.

넷째, 저렴한 가격으로 비건 베이킹을 즐길 수 있다. 대량 구매에 따른 고비용의 가치사슬을 끊고, 필요한 양만큼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섯째, 편리한 UI를 통해 고객의 쇼핑 경험을 높인다. 앞으로 사이트 및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직관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UI를 구축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비건 베이킹 밀키트로 시작하여 향후 비건 식단 전반으로 사업을 확장할 수 있다. 현재 공급이 부족한 비건 제품군을 선도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비건 식단 전문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비건 베이킹 밀키트는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1.3.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 가설과 가설 검증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 가설은 사업의 성공과 실패를 판단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바탕으로 도출된 핵심 가설은 실험을 통해 검증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사업의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다.

우선, 비건 베이킹 밀키트 사업의 핵심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1: 비건 베이킹 레시피를 구하는 것이 힘들 수 있다.
가설2: 대용량 재료가 아닌 베이킹 1회를 할 수 있는 재료와 레시피로 밀키트를 구성한다면, 1회성으로 취미를 즐겨보거나 비건 빵을 먹고 싶은 사람이 구매할 것이다.
가설3: 처음 창업을 시작할 때, 투자자를 알아보는 것이 힘들 수도 있다.
가설4: 우리나라에 비건 식품의 수요가 얼마나 될지 모른다.

이러한 핵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필요하다:

가설1 검증: 비건 빵집의 사장님들, 비건 베이킹 스튜디오 강사들과 협의하여 레시피 협엽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협엽에 동의한 사람과 동의하지 않은 사람의 수를 비교하고, 만들 수 있는 레시피의 수량을 측정한다. 만들 수 있는 레시피가 없다면 직접 연구, 개발하여 레시피를 제작한다.

가설2 검증: 비건 식품 커뮤니티, 빵을 좋아하는 모임의 커뮤니티에 밀키트를 홍보하여 체험단을 구성하고, 향후 판매시 구매 의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체험단 참여자 수와 구매 의사가 있는 사람의 수를 측정한다.

가설3 검증: 비건 식품의 투자처를 알아본다. 2021년 스타트업 투자 주요 트렌드가 '홈트·비건·밀키트'인 만큼 비건 및 밀키트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가설4 검증: 우리나라 비건 식품의 수요에 관련된 신문 기사와 설문조사...


참고 자료

오세조, 박충환, 김동훈 외 2명 저, 마케팅원론, 박영사, 2017.02.25
http://www.fi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64683
http://www.breaknews.com/635172
https://www.hankyung.com/article/2017113073931
http://kr.people.com.cn/n3/2018/1211/c208059-9527392.html
https://blog.naver.com/b0069/221163209096
http://www.oliveyoung.co.kr/store/main/main.do?chlNo=6&chlDtlNo=40&_CAD=nbsa03
http://kpenews.com/View.aspx?No=2853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