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 캡스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1.3. 용어 정의
2. 문헌고찰
2.1. 교수-학생 상호작용
2.2. 자기주도학습능력
2.3. 학습만족도
3. 연구 방법
3.1. 연구 설계
3.2. 연구 대상자
3.3. 연구 도구
3.4. 자료 수집 방법
3.5. 자료 분석 방법
3.6. 윤리적 고려
4. 연구 결과
4.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2. 수업방식(대면, 비대면)에 따른 정도
4.3. 수업방식(대면, 비대면)에 따른 차이
4.4. 상관관계
5. 논의
6. 결론 및 제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2019년 12월 중국 우한시에서 처음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rona virus disease 19, COVID-19)는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여 2020년 3월 세계보건기구 (WHO)는 펜데믹 상황을 선언하였다. 2020년 초 시작된 전 세계의 코로나 19 상황은 우리의 생활전체에 영향을 미쳤으며, 코로나 19의 상황은 잠시 유행으로 머무르지 않고 2020년 12월 현재도 진행 중이며, 장기적으로 유행을 예견하는 전문가들의 의견까지 더해져 코로나와 더불어 살아야 한다는 것이 현실화 되고 있다.
그렇기에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환경조성에 힘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 2학기에는 사회적 거리두기의 방역지침에 위배되지 않으면서도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들이 시도되었다. 그 중 (비)대면을 선택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학교들이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교육의 많은 부분이 불확실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이전에는 비대면 교육이 필수 상황이었지만 현재 (비)대면수업이 학습자의 선택사항으로 바뀌어 이전과는 많은 차이점이 존재할 것이다.
비대면 수업과 관련된 연구들에서 확인된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갑작스러운 교육환경의 변화는 학생들에게 부담스럽고 혼란스러운 경험이었음을 알 수 있다. 비대면-대면수업을 선택해야 하는 학생들의 학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해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수업방식(대면, 비대면)에 따른 교수-학생 상호작용,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만족도의 정도와 차이를 파악하고,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자기주도적학습능력, 학습만족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1.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경북 지역 대학교 1-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방식(대면, 비대면)에 따른 교수-학생 상호작용,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수업방식(대면, 비대면)에 따른 교수-학생 상호작용,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한다.
둘째, 대학생의 수업방식(대면, 비대면)에 따른 교수-학생 상호작용,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만족도간의 차이를 파악한다.
셋째, 대학생의 수업방식(대면, 비대면)에 따른 교수-학생 상호작용,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1.3. 용어 정의
'1.3. 용어 정의'
"교수-학생 상호작용이란 학생들이 교사가 자신에게 관심을 가지고 이해하려고 하며, 친밀하고 믿을 수 있는 유능한 사람이라고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친밀감과 신뢰감 등의 2개의 하위 요인인 친밀감 9문항과 신뢰감 9문항으로 총 18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좋은 것을 의미한다. 친밀감은 상대방과 정서적 결속감이나 연대감을 가짐으로써 물리적, 정신적 거리가 가깝다고 느끼는 정도이며, 신뢰감은 타인의 의도나 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에 기초해서 취약성을 수용하려는 심리적인 상태를 말한다.""자기주도학습능력이란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필요와 학습 요구를 진단하여 학습활동을 수행하고 자신이 성취한 학습 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학습법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석재 등(2003)이 개발한 척도를 바탕으로 조윤정(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15문항을 중심으로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2. 문헌고찰
2.1. 교수-학생 상호작용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학생들이 교사가 자신에게 관심을 가지고 이해하려고 하며, 친밀하고 믿을 수 있는 유능한 사람이라고 느끼는 정도의 개념을 의미한다"" 비대면 수업에 익숙하지 않은 교수자의 기존방식에 의존하는 강의 위주의 수업 때문에, 학습자는 많은 과제와 상호작용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온라인 학습공간을 통해 다른 사람과 지식을 공유하고 의견을 주고받는 상호작용 활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적 아이디어를 창출해내는 역량을 기르는 것이 대학 교육에서 중요한 몫을 차지하게 되었다"" 온라인 강의에서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학습 동기는 학업을 지속하려는 의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동기의 특징을 사전에 파악할 필요성이 있으며, 교수자의 적극적인 역할에 의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또한 학습 동기는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해진다고 볼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에서 교수 및 학습자 상호작용,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도권 소재 D대학에서 비대면 수업에 참여한 재학생 중 1,352명을 대상으로 학생-교수와의 상호작용은 평균평점 5점 만점에 3.35점이었고, 학습자 간 상호작용은 2.85점,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은 3.59점, 참여도는 3.93점, 학습만족도는 2.90점으로 나타나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참여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다음으로 나타났다"" 교수와의 상호작용에 비해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비교적 낮았다""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교수와의 상호작용은 공지사항의 전달, 질의 응답과정, 수업과정 중의 형태의 피드백 제공, 과제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에 비해 학생간의 상호작용은 교수와의 상호작용이나 대면수업에서 이루어져 왔던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비해 낮아진 상황임을 유추해볼 수 있다""
2.2. 자기주도학습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자가 학습의 전 과정에서 의사결정과 행동의 주체가 되어 다양한 상황에 잘 적응하도록 자신이 학습에 스스로 참여하는 것이다. 대학생은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스스로 학습하고 성취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자기주도적 학습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추어 국가적으로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러닝 콘텐츠 정책과 관련 산업 발전을 지원하여왔다. 이렇게 지금까지 국가적인 관점에서 진행되었던 비대면 온라인 교육 진행은 COVID-19를 기점으로 자연스럽게 대중적으로 수용되고 있다. 또한 유튜브, 클럽하우스 등의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들은 새로운 학습 매체로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앞으로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더 강조될 것이다.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요구를 파악하고 학습목표를 설정하여 학습에 필요한 적절한 자원을 준비하고 학습전략을 선택 및 활용하여 학습 성과를 평가하는 과정이다. Knowles(1975)는 자기주도 학습을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의 요구를 진단하고 학습목표를 설정하며, 학습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확보하고, 적합한 학습전략을 선택, 실행하며, 자신이 성취한 학습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등 일련의 학습과정에서 스스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는 학습'으로 정의 내렸다.
온라인 학습 상황이 물리적인 공간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대면하여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고려할 때,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온라인 학습 준비도의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성취감을 느끼며, 학교생활 적응력, 진로 결정, 구직, 인간관계 ...
참고 자료
2019년 1학기 성인간호학실습 (oo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 보건의료
김춘미 외. 2019. 지역사회보건간호학
김학재, 이동훈, 김찬웅, & 김성희. (2013). 의사-간호사 협력에 대한 의과 대학생과 간호 대학생의 인식의 차이-의사-간호사의 협력. 의료커뮤니케이션, 8(2), 143-149.
손은정. (2011). 간호사의 역할갈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의료행정학과.
김종래, 2009,『병동에서의 전문인력간 업무협력에 대한 의사 및 간호사의 인식』
이영주, & 황지인. (2019). 간호사-간호사 및 간호사-의사 협력 정도와 의료 오류 발생 간의 관계.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5(2), 73-82.
지성애, 손행미, 이계숙, 성영희, 손영희, 강현숙, ... & 김주현. (2003). 임상간호사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9(2), 107-123.
鄭宇鎭. (2000). 병원간 협력 활성화 방안. 보건복지포럼, 5-19
한혜영. WHO, 결국 사상 세 번째 ‘팬데믹’ 선언 “코로나 통제가능”. 중앙일보. 2020년 3월 12일;Sect. 01.
서명희. 간호대학생의 혼합 수업 경험.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22(3):129-137. https://doi.org/10.5762/KAIS.2021.22.3.129
김은경. 사이버대학생의 실재감, 유용·용이성, 학습성과간의 구조적 관계. 서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2010. p. 1-109.
권나희. 원격대학의 실시간 양방향 교육시스템 연구: 실시간 양방향 강의 화면 UI를 중심으로. 서울: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2019. p.1-66.
김수연, 신나민. 동영상 강의 중 딴짓과 몰입의 세대간 비교.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9;25(2):273-298.
Knowles, M. 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Chicago, IL: Follet Publishing Company. 1975.
채유정, 이성혜, 박성희.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배경변인과 특성에 따른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 차이 분석. 영재교육연구. 2016;26(4):611-633.
정미경, 김경현. 사이버 교원 연수의 운영 실태 분석: 국내 사이버 교원연수기관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004;21(3):135-161.
백현기, 신동로, 하태현. 자기조절학습을 이용한 웹 기반 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디지털융복합연구. 2004;2(1):43-56.
민혜리, 이희원.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강의의 특성 연구 : 국내 대학과 해외대학의 강의 체험 분석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011;19(1):57-88.
Berge, Z. Characteristics of online teaching in post-secondary, formal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1997;37(3):35-47.
Gilbert, L., & Moore, D. R. Building interactivity into web courses: Tools for social and instructional interaction. Educational Technology. 1998;38(3):29-35.
Jiang, M. & Ting, E. A Study of students’ perceived learning in a web-based online environment. Proceedings of WebNet World Conference on the WWW and Internet 1999. 575-580.
Astin, A. W.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years revisited. San Francisco: Jossey-Bass. 1993.
박성희.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의사소통과 협동능력에 대한 영향. 평생학습사회. 2015;11(4):115-136.
최보금, 조성희. 대학생의 교수-학생 및 동료학생간의 상호작용 유형 변화에 따른 자기결정성 동기 분석. 교육학연구. 2014;52:29-54.
김태영. 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관계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서울대학교 대학원;2006. p1-110.
조홍식, 조남홍. 체육수업에서 강사-학생들의 영향에 대해. 한국체육과학회지. 2008;17(3):607-618.
조대연. 학습의 자기주도성과 팀내 대인관계기술의 관계. 교육문제연구. 2005; 23 :223-242.
최병연. 초등영재와 일반아동의 자기결정성동기와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2009;8(2):85-104.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생애 능력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의사 소통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중심 으로. 한국 교육 개발원. 2003
김승현, 정옥분. 제 6차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와 학습만족도 및 주관적 학습효과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97;9(2):47-67.
김태영. e-Learning 교수-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 매체의 활용에 관한 인식 비교: 학습자와 교수자를 중심으로. 서울:숙명여자대학교, 원격교육공학대학원:2006. p1-94.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인하대학교교육연구소. 2020;26(2):153-174.
이동주, 김미숙.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멀티미디어 언어교육학회. 2020;23(3):259-277.
이지혜, 하정윤.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교수자 중심 수업과 학습자 중심 수업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16(5):259-278.
강민석, 임걸. 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가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분석. 학국콘텐트학회논문지. 2013;13(11):1014-102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1014
권선희, 류현숙.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에서 교수 및 학습자 상호작용,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21(11):87-97.
김미은, 김민정, 오예인, 정수연. 코로나 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20(17):519-541. http://dx.doi.org/10.22251/jlcci.2020.20.17.519
김영희, 이영미. 역할극 활용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평가방법에 대한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문제해결과정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2;13(1):147-155.
김은정, 김해란. 비대면 온라인 강의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21;22(9):333-340.
이민주.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관련 자기주도 학습능력 영향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2021;19(7):441-449.
목영해. 자기주도학습 개념과 신자유주의. 교육사상연구. 2020;34(2):25-41. doi:10.17283/jkedi.2020.34.2.25
P. J. Smith, K. L. Murphy & S. E. Mahoney. Towards identifying factors underlying readiness for online learning: On exploratory study. Distance education. 2003;24(1):57-67.
최민경, 김진숙.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이 학교생활만족도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문화기술의 융합. 2018;4(4):207-212.
조아라, 노석준. 원격대학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몰입, 학습태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2013;29(4):849-879.
이영, 박인우. 사이버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전략, 교수 실재감,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2012;28(1):137-168.
이두연 이건남.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 수업만족도와 관련 변인.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23(2):1-21.
신소영, 김지심. 수업영향요인과 수업, 교육만족도와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6;16(11):383-402.
한신일, 이정연, 김혜정.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업만족 및 향후수강의도 여부의 관련요인으로서, 인식과 자기효능감의 중요도에 대한 분석적 고찰. 한국교육학회. 2010;48(2):123-148.
허균. 대학생의 이러닝 학습효과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4;16(6):77-84. http://dx.doi.org/10.7472/jksii.2014.15.6.77
전영미, 조진숙. 대학생의 학습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19;19(1):524-534. http://dx.doi.org/10.5392/JKCA.2019.19.01.524
박지영.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과 온라인 과제가치인식이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17;29(3):165-185. http://dx.doi.org/10.17936/pkelt.2017.29.3.008
김범주. 교사 간 협력 정도가 학교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회. 2020;37(1):163-182. http://dx.doi.org/10.24211/tjkte.2020.37.1.163
조은아. 사이버강좌에서 과제가치, 이러닝품질, 학습접근방식,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서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2015. p1-171.
오경록, 신연지. 무용전공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교수행동만족 및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11;20(5):871-882.
이성숙, 김진강. 셀프리더십이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외식조리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2018;82(0):1147-1169.
최인순, 양영옥. 기본간호실습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상남도:가야대학교;2015. p. 1-66
Lim JM, Kim SH, Baek MJ, Kim KH.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flow,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Outcomes on Uncontacted Online Class Satisfa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Internet